2009. 3. 7.흙날. 맑음

조회 수 1348 추천 수 0 2009.03.21 11:55:00

2009. 3. 7.흙날. 맑음


바깥 수돗가를 청소합니다.
늦가을 내내 은행껍질을 씻어내고 나면
겨울 한 계절은 쉬는 그곳입니다.
터지지 않도록 물을 잠가두고
벽면에 걸어둔 호미자루들이 겨울을 날 적
바래가는 노란 천막처럼
그 안 역시 그리 낡아가는 듯하지요,
마치 다시는 물이 나오지 않을 것만 같이.
날리던 마른 잎들이 들기도 하고
흙먼지가 날아와 앉기도 해서
때로는 을씨년스런 풍경이 되어
마음이 덩달아 신산스러움 일고는 하였더이다.
그러나 변함없이 봄이 왔고
묵은 먼지를 털고 다시 물을 틉니다.
생기가 돌지요.

소사아저씨는 대문 앞 꽃밭을 단장시켜줍니다.
마른 풀을 뽑고 흙을 골라주고 흘러내린 돌도 올려줍니다.
지난 봄엔 그것마저 손을 빼지 못해
봄날 성큼 지나고 풀 무성해서야 부랴부랴 했던 일이었습니다.
올해는 풀을 먼저 잡아보려지요.
큰 농사꾼은 풀을 미리 잡고
중농은 풀을 보고서야 잡으며
소농은 풀을 보고서도 못 잡는다던가요.
밭농사 역시 올해는 풀을 먼저 잡아가려 합니다.
아, 학교마당은 그대로 두려지요.
주로 민들레와 질경이가 많은데 다 캐서 먹을 량입니다.
사람들도 방문하면
마당에서 얘기하며 나물을 같이 캘라지요.

3월 빈들모임을 알렸습니다.
모양새를 조금씩 갖춰가는 느낌입니다.
여기 계절살이를 그대로 따라 꾸리면 되지 싶지요.
방문자들도 그날도 같이 몰아도 좋을 듯합니다.
주말마다 손님들을 치르는 것도 이 산골에선 참 큰일이지요.
꽉 짜인 틀거리대로 움직이는 시간이 아니니
처음 오는 이도 그리 어려울 것 없는 자리겠습니다.

전주 갑니다, 낼 임실에 일찍 들어가려고.
임실의 순례자 공동체와 정읍의 건강농원을 방문하려 합니다.
쌀을 좀 찧어 싣고
우리가 지은 농사는 아니지만 통밀도 챙겼습니다.

가는 길, 아이랑 해방공간에서의 조선공산당사와
남로당과 북로당이 현재의 북한과 어떻게 맥이 흐르게 되었는가,
그 시대 맑았던 사회주의자들과
여전히 이 시대에도 사회주의에 대한 꿈을 가진 이들에 대해
재잘거렸습니다.
아이가 크고 그만큼 같이 나눌 얘기들이 넓혀지니
생의 좋은 도반이 또 하나 늘어 참 좋습니다.
헬렌켈러에 대한 이야기도 나왔지요.
흔히 설리반 선생의 헌신과 장애를 딛고 일어선 주인공으로
전기의 대부분을 장식하는 책을 읽어왔던 우리들입니다.
그런데 거기 시대가 묻어둔 진실들이 있지요.
헬렌켈러는 1909년 미국사회당 가입합니다.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진보주의 사회운동가였지요.
제 1차 세계대전,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윌슨이 독일에 선전포고를 할 때
백인들이 흑인에게 가하는 억압은 왜 외면하냐고 일침을 고하는 등
미국의 사회문제들을 비판하고 고발했던 그입니다.
여성 참정권, 사형폐지, 아동노동 인종차별 반대...
그의 활동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들이지요.
“고개 숙이지 마십시오. 세상을 똑바로 정면으로 보십시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614 2024. 3.23.흙날. 살짝 비 옥영경 2024-04-10 288
6613 2024. 3.22.쇠날. 흐림 / 오늘도 그대들로 또 산다 옥영경 2024-04-10 296
6612 2024. 3.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4-10 312
6611 2024. 3.20.물날. 맑음 옥영경 2024-04-09 303
6610 2024. 3.19.불날. 진눈깨비 날린 이른 아침 옥영경 2024-04-09 298
6609 2024. 3.18.달날. 맑음 / 그대에게 옥영경 2024-04-09 303
6608 2024. 3.17.해날. 맑음 옥영경 2024-04-09 295
6607 2024. 3.16.흙날. 맑음 옥영경 2024-04-03 378
6606 2024. 3.15.쇠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353
6605 2024. 3.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344
6604 2024. 3.13.물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299
6603 2024. 3.12.불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24-04-02 311
6602 2024. 3.11.달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292
6601 2024. 3.10.해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311
6600 2024. 3. 9.흙날. 맑음 / 사과 한 알 1만 원 옥영경 2024-03-28 300
6599 2024. 3. 8.쇠날. 오후 구름 걷히다 옥영경 2024-03-28 292
6598 2024. 3. 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3-28 311
6597 2024. 3. 6.물날. 흐림 옥영경 2024-03-28 293
6596 2024. 3. 5.불날. 비 그치다 / 경칩, 그리고 ‘첫걸음 예(禮)’ 옥영경 2024-03-27 307
6595 2024. 2.11.해날 ~ 3. 4.달날 / '물꼬에선 요새'를 쉽니다 옥영경 2024-02-13 59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