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3.26.나무날. 맑으나 여전히 추운

조회 수 1046 추천 수 0 2009.04.08 01:19:00

2009. 3.26.나무날. 맑으나 여전히 추운


여전히 춥지만 맑습니다.
바람이 날이 서 있어도 봄은 봄입니다.
볕이 퍼지자 마을 사람들은 아침부터 예 제 못자리 준비들을 하였지요.
멀뚱멀뚱 쳐다만 봅니다.
우리는 여유가 좀 있지요,
모를 낼 게 아니라 육모는 따로 해서 들여올 것이기에.
아쉽지만 못하는 건 또 못하는 거지요.
손이 안 되면 할 수 없다고
즐겁게 체념합니다.

식구들이 달골에 올라 풀과 잡초를 정리합니다.
반은 묵혔던 자리가 여간 거칠지가 않습니다.
제 때 해두었더라면 손도 덜었을 것을
사정은 늘 마음을 따르지 못한다지요.
그래도 이 봄이 이리라도 손을 써두면
정녕 올 봄은 풀보다 앞서 볼라지요.소사아저씨도 미선샘이 붙으니
한결 일에 속도가 붙었습니다.
불날마다 서울길에 오르는 미선샘이
이 주에는 주말에 고향을 다녀오기로 하여
계속 같이 머물고 있지요.
이 봄날 우리는 계속 수련마당에서 아침을 시작하고 있답니다.

커다란 상자 하나 왔습니다.
작년 여름 유네스코의 국제유스캠프에
평가위원으로 함께 했던 주욱샘이 공을 보내왔지요.
여기 저기 사람들이 모은 거랍니다.
그걸 가지러 주욱샘은 또 여기 저기 다녔을 테지요.
고맙습니다.
어디 공이 없어 그럴까요,
돈이 없어 그럴까요,
마음 쓰고 챙기고 보내는 일,
그리고 통장을 챙기고 이체를 하는 일들,
그 한 번이 그리 쉽지 않다는 걸, 얼마나 귀찮은 일일 수 있는지를
알다마다요.
모다 모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894 2014. 9. 3.물날. 흐리다 빗방울 잠깐 지나고 옥영경 2014-10-06 684
1893 2014. 6.29.해날. 오후 몇 방울 비 옥영경 2014-07-16 684
1892 2014. 6.18.물날. 가끔 흐림 옥영경 2014-07-04 684
1891 2021. 8.22.해날. 맑음 / ‘멧골책방’에서 책 대신 잔디 옥영경 2021-08-29 683
1890 164 계자 닷샛날, 2019. 8. 8.나무날. 소나기 / 민주지산(1,242m) 산오름 옥영경 2019-09-10 683
1889 2016.12.21.물날. 비 옥영경 2016-12-30 683
1888 2016. 8. 4.나무날. 뫼르소의 태양 옥영경 2016-08-10 683
1887 2016. 4. 8.쇠날. 갬 옥영경 2016-04-14 683
1886 2016. 3.26.흙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683
1885 2015.10.31.흙날. 맑음 옥영경 2015-11-23 683
1884 2015.10.11.해날. 흐리다 비 / 10월 위탁교육 여는 날 옥영경 2015-11-06 683
1883 2015. 7.15.물날. 맑음 옥영경 2015-08-02 683
1882 2015. 7. 3.쇠날. 맑음 옥영경 2015-07-30 683
1881 2015. 6. 6.흙날. 맑음 옥영경 2015-07-08 683
1880 2015. 5.12.불날. 갬 옥영경 2015-07-01 683
1879 2015. 4.18.흙날. 흐려가는 하늘, 거센 밤비 옥영경 2015-05-13 683
1878 2015. 4.16.나무날. 거친 모래 바람 옥영경 2015-05-13 683
1877 2015. 4.13.달날. 비 옥영경 2015-05-12 683
1876 2월 빈들 닫는 날, 2015. 3. 1.해날. 싸락눈 옥영경 2015-03-20 683
1875 2015. 2.23.달날. 짙은 황사 옥영경 2015-03-19 68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