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6.11.나무날. 말짱해진 하늘, 바람 아직 훑고 있었으나


아침, 말짱해진 하늘입니다,
바람은 아직 훑고 있었으나.

비로소 난로들을 치웠습니다.
교무실, 책방, 가마솥방...
5월이 저물도록
밤에는 불을 피워야하는 이곳이지요.
연통을 뜯어내고, 화덕을 들어내고, 깔판을 빼내고...
한 철을 그리 보낸다지요.

옥수수밭 풀을 맸습니다.
무성키도 했지요.
살아 평생 옷 한 벌 못 해 주고
죽어 처음으로 아내에게
베옷 한 벌 해 입혔다던 시인이 있었습니다.
옥수수밭 옆에다 아내를 묻은 시인은
“내 남아 밭 갈고 씨 뿌리고 땀 흘리며 살아”내는 것이
한 해 한 번 아내를 만나는 길임을 알았다던가요.
남은 이에겐 남은 삶이 있을 테지요.

밭에 앉았으니 제법 키가 자란 옥수숫대들이
또 다른 생각을 불러옵니다.
워낙 대중적인 작가의 글은 손을 잘 대지 않게 됩디다.
읽더라도 책방에 서서나 도서관 서가에서
건성건성 넘기게 되더라구요.
궁금은 한 거지요.
<옥수수밭의 아이들>이란 단편이 있었습니다.
악마의 성서에 사로잡힌 아이들이
순수하지 못한 어른들을 모두 없애고
마을 아이들로만 공동소유 공동체를 만들어 살아갑니다.
그런데 그 아이들이 자라 어른이 되면 어찌 되었을까요?
이십 년도 넘게 아이들을 만나오고 있으니
아이들이 등장하는 이야기라면 솔깃하게 되지요.
한 번 찾아서 읽어보실래요?

한 학기동안 공동 작업을 했던 젊은 친구들이 있었습니다.
공부가 주된 일이니 너들이 더 열심히 해야 한다 채근하며
무임승차했던 시간들도 있었지요.
오늘 마지막 모임을 하고 같이 밥을 먹었습니다.
같이 밥을 먹는다는 것은 밥 이상의 의미이다마다요.
게다 뭔가를 한바탕 끝내고 정리하는 시간을 맞는 건
누구에게라도 느꺼운 일일 겝니다.
참말 애들 썼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6614 2024. 3.23.흙날. 살짝 비 옥영경 2024-04-10 285
6613 2024. 3.22.쇠날. 흐림 / 오늘도 그대들로 또 산다 옥영경 2024-04-10 290
6612 2024. 3.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4-10 306
6611 2024. 3.20.물날. 맑음 옥영경 2024-04-09 294
6610 2024. 3.19.불날. 진눈깨비 날린 이른 아침 옥영경 2024-04-09 288
6609 2024. 3.18.달날. 맑음 / 그대에게 옥영경 2024-04-09 298
6608 2024. 3.17.해날. 맑음 옥영경 2024-04-09 289
6607 2024. 3.16.흙날. 맑음 옥영경 2024-04-03 373
6606 2024. 3.15.쇠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350
6605 2024. 3.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341
6604 2024. 3.13.물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293
6603 2024. 3.12.불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24-04-02 307
6602 2024. 3.11.달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288
6601 2024. 3.10.해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307
6600 2024. 3. 9.흙날. 맑음 / 사과 한 알 1만 원 옥영경 2024-03-28 296
6599 2024. 3. 8.쇠날. 오후 구름 걷히다 옥영경 2024-03-28 288
6598 2024. 3. 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3-28 307
6597 2024. 3. 6.물날. 흐림 옥영경 2024-03-28 290
6596 2024. 3. 5.불날. 비 그치다 / 경칩, 그리고 ‘첫걸음 예(禮)’ 옥영경 2024-03-27 300
6595 2024. 2.11.해날 ~ 3. 4.달날 / '물꼬에선 요새'를 쉽니다 옥영경 2024-02-13 59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