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6.11.나무날. 말짱해진 하늘, 바람 아직 훑고 있었으나


아침, 말짱해진 하늘입니다,
바람은 아직 훑고 있었으나.

비로소 난로들을 치웠습니다.
교무실, 책방, 가마솥방...
5월이 저물도록
밤에는 불을 피워야하는 이곳이지요.
연통을 뜯어내고, 화덕을 들어내고, 깔판을 빼내고...
한 철을 그리 보낸다지요.

옥수수밭 풀을 맸습니다.
무성키도 했지요.
살아 평생 옷 한 벌 못 해 주고
죽어 처음으로 아내에게
베옷 한 벌 해 입혔다던 시인이 있었습니다.
옥수수밭 옆에다 아내를 묻은 시인은
“내 남아 밭 갈고 씨 뿌리고 땀 흘리며 살아”내는 것이
한 해 한 번 아내를 만나는 길임을 알았다던가요.
남은 이에겐 남은 삶이 있을 테지요.

밭에 앉았으니 제법 키가 자란 옥수숫대들이
또 다른 생각을 불러옵니다.
워낙 대중적인 작가의 글은 손을 잘 대지 않게 됩디다.
읽더라도 책방에 서서나 도서관 서가에서
건성건성 넘기게 되더라구요.
궁금은 한 거지요.
<옥수수밭의 아이들>이란 단편이 있었습니다.
악마의 성서에 사로잡힌 아이들이
순수하지 못한 어른들을 모두 없애고
마을 아이들로만 공동소유 공동체를 만들어 살아갑니다.
그런데 그 아이들이 자라 어른이 되면 어찌 되었을까요?
이십 년도 넘게 아이들을 만나오고 있으니
아이들이 등장하는 이야기라면 솔깃하게 되지요.
한 번 찾아서 읽어보실래요?

한 학기동안 공동 작업을 했던 젊은 친구들이 있었습니다.
공부가 주된 일이니 너들이 더 열심히 해야 한다 채근하며
무임승차했던 시간들도 있었지요.
오늘 마지막 모임을 하고 같이 밥을 먹었습니다.
같이 밥을 먹는다는 것은 밥 이상의 의미이다마다요.
게다 뭔가를 한바탕 끝내고 정리하는 시간을 맞는 건
누구에게라도 느꺼운 일일 겝니다.
참말 애들 썼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6574 2024. 1.21.해날. 비 옥영경 2024-02-07 317
6573 2024. 1.20.흙날. 비 / 발해1300호 26주기 추모제 옥영경 2024-01-30 438
6572 2024. 1.19.쇠날. 흐림 / 문바위 옥영경 2024-01-29 323
6571 2024. 1.18.나무날. 비 옥영경 2024-01-29 322
6570 2024. 1.17.물날. 비 옥영경 2024-01-29 318
6569 2024. 1.16.불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321
6568 2024. 1.15.달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314
6567 2024. 1.14.해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346
6566 2024. 1.13.흙날. 맑음 옥영경 2024-01-29 353
6565 2023학년도 겨울, 173계자(1.7~12) 갈무리글 옥영경 2024-01-15 542
6564 173계자 닫는 날, 2024. 1.12.쇠날. 맑음 옥영경 2024-01-15 535
6563 173계자 닷샛날, 2024. 1.11.나무날. 맑음 / 바람산 옥영경 2024-01-14 406
6562 173계자 나흗날, 2024. 1.10.물날. 구름에 살짝 걸린 해 옥영경 2024-01-13 387
6561 173계자 사흗날, 2024. 1. 9.불날. 흐림 옥영경 2024-01-11 478
6560 173계자 이튿날, 2024. 1. 8.달날. 맑음 옥영경 2024-01-10 498
6559 173계자 여는 날, 2024. 1. 7.해날. 맑음 옥영경 2024-01-09 747
6558 2024. 1. 6.흙날. 맑음 / 173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24-01-08 492
6557 2023. 1. 5.쇠날. 잠깐 해 옥영경 2024-01-08 460
6556 2024. 1. 4.나무날. 새벽 싸락눈 옥영경 2024-01-08 521
6555 2024. 1. 3.물날. 눈 / 계자 사전 통화 옥영경 2024-01-08 36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