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8.19.물날. 맑음

조회 수 911 추천 수 0 2009.09.02 00:37:00
2009. 8.19.물날. 맑음


감자를 캐낸 밭이랑 마늘을 뽑아낸 밭에
남자 어른들이 로터리를 쳤습니다.
용찬샘이 종대샘으로부터 관리기로 밭 가는 것을 배우고 있지요.
올 가을 흙집해우소에 필요한
몇 가지 마무리 작업을 할 량으로 다녀갈 때를 빼면
날 시려져셔야 돌아올 목수샘이지요.
해서 농사일은 소사아저씨와 용찬샘이 해내야 합니다.
40년을 서울에서만 산 용찬샘한테는
산골 삶이 다 걸음마이지요.
그간 반년을 이곳에 오갔다 하나
가벼이 학교 안팎일을 돕는데 몸을 썼으니
농사일은 계자 끝나고 처음 나서는 겁니다.
그가 밟는 과정을 통해
우리도 같이 잘 배워나갈 테지요.

어제 미선샘은 이곳에서의 일들을 갈무리하였습니다.
앞으로 할 일에 쓸 천을 황토로 염색했고
좋은 볕에 잘 마른 천을 개켜 그가 갔지요.
얼마나 큰 도움이었던 그인지요.
고맙습니다.
더 많이 그를 배려해주지 못해 미안했습니다.
자주 오간다니 더 기쁠 일이겠습니다.
저기, 12:20 대해발 버스가 떠납니다요.

이제 가을학기를 보낼 식구들만 남았지요.
비로소 여름 계자가 끝난 것 같습니다.
가을학기는 달마다 빈들모임이 있을 테고
몽당계자가 한 차례 있을 것이며
단식일정이 하나 있고
두어 가지 수행모임과
그리고 장애관련교육이 있을 것이지요.
이른 아침은 변함없이 어른들 수행으로 열 겁니다.
흐름들을 잡아보았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2054 2015.11.25.물날. 밤 진눈깨비 옥영경 2015-12-14 702
2053 2015.10.1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11-06 702
2052 2017. 5.19.쇠날. 맑음 옥영경 2017-06-30 701
2051 2016.10.28.쇠날. 빗방울 옥영경 2016-11-14 701
2050 2016. 4. 1.쇠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701
2049 2015.12.31.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6-01-03 701
2048 2015. 5.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07-06 701
2047 2019. 3.31.해날. 흐림 옥영경 2019-05-02 700
2046 2016. 3.3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700
2045 2015. 3.16.달날. 20도 옥영경 2015-04-19 700
2044 2014. 4.10.나무날. 회색 구름 몇 점 옥영경 2014-05-09 700
2043 2013. 8.14.물날. 맑음 옥영경 2013-09-02 700
2042 2021.11. 6.흙날. 맑음 / 기차의 모래주입구 옥영경 2021-12-20 699
2041 164 계자 닫는날, 2019. 8. 9.쇠날. 맑음 / 빛나는 기억이 우리를 밀고 간다 옥영경 2019-09-11 699
2040 2016. 6.29.물날. 흐림 옥영경 2016-07-21 699
2039 2015.12.30.물날. 밤 눈 옥영경 2016-01-03 699
2038 10월 빈들 닫는 날, 2014.10.26.해날. 파아란 하늘! 옥영경 2014-10-31 699
2037 2014. 5.28~29.물~나무날. 이슬 밟고 떠난 밤손님처럼 새벽비 옥영경 2014-06-13 699
2036 2015. 7.11.흙날. 저녁비 옥영경 2015-07-31 698
2035 2015. 4.10.쇠날. 맑음 옥영경 2015-05-07 69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