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6. 3.나무날. 가끔 뿌연 하늘 / 숨 쉬는 것을 ‘보라’


비 온다더니...

며칠 단식을 하는 젊은 친구 둘에게 수행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잠시 앉아 눈을 감고 그 상황에 있는 그들의 감정 안으로 걸어 들어갔을 때
하고픈 말이 떠오르면 그걸 글로 보내고 있지요.
그건 제 수행을 안내해주었던 여러 스승들의 목소리이기도 합니다.
‘...자유는 우리가 매일 수행하는 어떤 것이다.’
감옥 안에서도 수행하는 방법을 통해
감옥 밖의 어떤 이들보다 자유로웠던 이들을 몇 알고 있습니다.
오히려 그 기간 동안 그들이 더욱 영적으로 성장했더랬지요.
무슨 일을 하든, 그리고 어디에 있든 자유로울 수 있다면
우리는 행복할 수 있을 겝니다.
고통과 분노와 절망으로부터도 자유로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우리 안에 분노가 있다면 우린 자유를 되찾기 위해 그 분노를 변화시켜야 한다.
우리 안에 절망이 있다면 그 에너지를 자각하고 그것이 우리를 누르지 않게 해야 한다.
수행을 통해 그것을 변화시킬 수 있다.’
나날의 모든 순간에 우린 자유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하는 모든 일상의 행위로 자유로울 수가 있지요.
일찍이 틱낫한이 한 말도 이와 다르지 않았을 겝니다.
그러면 수행을 어찌 하면 되려나요.
밥을 먹을 때도 걸음을 걸을 때도 숨을 쉴 때도
자유로운 사람처럼 먹고 걷고 숨 쉬면 됩니다.
어디서나 할 수 있는 일이지요.
다 기적입니다.
내가 숨 쉬는 것, 내가 먹는 것, 내가 걷는 것.
그리고 이것이 우리를 더 큰 자유로 끌어줍니다.
임제선사가 그랬지요,
기적이란 물 위를 걷는 게 아니라 땅 위를 걷는 거라고.
먹고 걷고 숨 쉬는 것을 바라보고 자각하며 우리는 충분히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숨 쉬는 것을 보라, 먹는 것을 보라, 걷는 것을 보라.’
그들의 수행은 동시에 제 수행이 되어주고 있지요.
최근 어처구니없는 한 교수의 행위에 분노가 컸다가
치유하는 시간이 되어주기도 하였더랍니다.
분노가 나를 뒤덮도록 보고만 있어서는 안 되지 않겠는지요.

아이가 자라니 참 좋습니다.
지난 학기까지는 점심 때
읍내 나갈 일 보는 가운데 도서관에 있는 아이에게 달려가
점심을 같이 챙겨먹었습니다.
도시락을 싸가기에 쉽잖은 한여름과 한겨울이고 보면
혼자 식당을 보내기도 뭣해서 무리하며 좇아가곤 하였지요.
그러나 이제 저 알아서 어른들과 어울려 혹은 아는 장소에 가
밥을 챙겨먹습니다.
달려가지 않아도 되는 거지요.
그러니 일 볼 때 한결 여유가 있습니다.
고마운 일입니다.

품앗이 하나가 교수로 올 3월 국립대에 임용되었습니다.
“연구비가 좀 나왔는데요...”
전문가를 찾아가는 그런 연구가 있는 갑습디다.
“물꼬에 인사도 가려고 했는데...”
그 일 아니어도 인사를 가려던 것인데
마침 연구를 겸해 올 일이 만들어졌다지요.
“그런데, 얼마 되지 않아요.”
그 연구비를 이곳으로 보낸다 합니다.
얼마 되지 않다니, 꽤 큰 돈이었습니다.
그리고 설혹 얼마 안 되더라도 얼마나 고마운 일인지요.
참 고마운 이들입니다,
물꼬에 그늘을 드리워주는 이들!

물꼬가 지닌 것들이 있습니다,
둘러친 자연이며 묵어갈 곳이며, 늘 누구든 먹을 수 있는 밥상이며...
그런데 가만 보면 물꼬의 것들을 누리는 이는
외려 물꼬가 살아가는데 밥한 술, 벽돌 한 장이
되어준 적도 없는 이들일 때가 많습니다.
정작 물꼬에 살림을 보태는 논두렁들은
이미 아이들이 커버렸거나,
결혼도 안했으며 역시 아직 아이도 없는 이들이거나,
너무 먼 곳에 살고 있거나 그런 분들이시지요.
그런데 번번이 아쉬운 소리는
물꼬에 힘 하나 되어주지 않았던 이들이란 말입니다.
세상은 그렇게 돌아갑니다.
정작 물꼬에 손발 보탰던 이들이게 더욱 잘 쓰이고 싶습니다.
당신들이 받으려고 한 후원이 아니라
물꼬가 선한 일을 하는데 보탠 것이겠지만
물꼬도 물꼬를 살린 분들을 위해 뭐라도 나눠드리고 싶습니다.
고마운 분들...

마당 가장자리 주차공간의 감나무 아래
잘라놓은 땔감 쌓여 있었더랬고
조금씩 자르고 옮기고 몇 날을 그리하였습니다.
오늘 드디어 남은 것 다 옮겼네요.
사람 손 몇 없으니 일 하나가 이리 깁니다.
그래도 끝이 있지요, 지독한 삶도 그러할 것입니다,
하고 쓰자니 너무 무거운 얘기로 들릴 라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654 150 계자 사흗날, 2012. 1.10.불날. 갬 옥영경 2012-01-18 1171
4653 2008. 3. 3.달날. 눈비 옥영경 2008-03-23 1171
4652 2006.12.20.물날. 맑음 옥영경 2006-12-26 1171
4651 2005.11.30.물날.봄날 같은 볕 / 아궁이 앞에서 옥영경 2005-12-01 1171
4650 2005.11.18.쇠날.흐림 / 한껏 기뻐하진 못했지만 옥영경 2005-11-20 1171
4649 154 계자 이튿날, 2013. 1. 7.달날. 맑음 옥영경 2013-01-11 1170
4648 2011. 8.13.흙날. 맑음 / 147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1-08-30 1170
4647 4월 몽당계자 이튿날, 2010. 4.24.흙날. 맑음 옥영경 2010-05-10 1170
4646 2006.11. 4-5.흙-해날. 비바람 지나다 옥영경 2006-11-07 1170
4645 5월 14-15일, 밥알모임 옥영경 2005-05-20 1170
4644 3월 5일 흙날 눈 날리다 옥영경 2005-03-06 1170
4643 2월 16일 물날, 새 홈페이지 막바지 논의 옥영경 2005-02-26 1170
4642 2010.12.27.달날. 잠시 풀리는가 싶더니 오후 다시 언다 옥영경 2011-01-03 1169
4641 2008.11. 8.흙날. 흐림 옥영경 2008-11-24 1169
4640 2008.10. 3.쇠날. 맑음 옥영경 2008-10-19 1169
4639 2007. 5. 5.흙날. 맑음 옥영경 2007-05-21 1169
4638 2012. 2. 7.불날. 다시 한파 옥영경 2012-02-21 1168
4637 2008. 9.24.물날. 비 내린 뒤 흐림 옥영경 2008-10-10 1168
4636 2009. 3. 6.쇠날. 흐림 옥영경 2009-03-21 1167
4635 2007.10. 3.물날. 해 없는 옥영경 2007-10-13 116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