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잔치(2월 27-28일;음력 14-15일)

조회 수 2249 추천 수 0 2010.02.23 01:01:00

설은 질어야 좋고 보름은 밝아야 좋다 했지요.
밝고 밝은 대보름이기를,
그리하여 한 해 또한 그리 밝기를 바라며
걸음 한 몇과 그만큼 소소한 몇 가지를 하려지요.
서울서 옛적 제자들과 멀리서 논두렁 가정,
그리고 마침 민주지산을 오르게 된 어느 한의사모임에서 들린다 하였답니다.
혹 짬이 나기라도 하여 오실 양이면
미리 전화나 메일 넣어주셔요.

□ 음력 14일 밤: 쥐불놀이, 오곡밥과 진채식(나물), 약식과 달떡(원소병) 만들기
□ 음력 15일 새벽: 가릿대 세우기
□ 음력 15일 낮: 윷놀이, 오곡밥과 진채식(나물)과 복쌈, 약식과 원소병 먹기
부럼깨물기, 더위팔기, 귀밝이술마시기
산오름을 마치고 내려온 이들에게 물꼬국밥 대접하기
□ 음력 15일 밤: 달맞이와 달집태우기, 소원문태우기, 그리고 강강술래



* 참고하시라고...

- 쥐불놀이: 들의 논둑과 밭둑을 불태우는 놀이. 잡초를 태워 쥐를 없애고 해충의 알을 죽여 풍작을 기원하며 봄에 새싹이 날 때 거름이 되도록 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
- 가릿대 세우기: 보름날 새벽 일찍이 집안 아이들로 하여금 전날 만들어 두었던 볏가릿대주위를 돌면서 풍년을 기원하는 노래를 해가 뜰 때까지 부르게 한다.
- 윷놀이: 황해도 지방에서 산패와 들패로 나누어 윷놀이를 하는데 산패가 이기면 밭농사가, 들패가 이기면 논농사가 풍년이 든다고 한다.
- 달맞이와 달집태우기: 보름달을 보고 1년 농사를 미리 점치기도 하는데 달빛이 붉으면 가물고, 희면 장마가 있을 징조라고 하며 북쪽으로 치우치면 두메에 풍년, 남쪽으로 치우치면 바닷가에 풍년이 든다고 한다. 또한 달의 사방이 두꺼우면 풍년이 들 징조이고, 얇으면 흉년이 들 징조이며, 차이가 없으면 평년작이 될 것이라고 한다.
- 오곡밥: 쌀, 콩, 팥, 보리, 수수, 조 들 중에서 반드시 5가지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집안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주로 여러 가지 곡식을 넣어 지어먹는다는 뜻에서 곡식의 총칭인 오곡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이상의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여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었는데 평상시에는 하루 세 번 먹지만 이 날만큼은 틈틈히 먹어서 9번을 먹는다
- 복쌈: 밥을 김이나 취에 싸서 먹는데 이것을 복쌈이라고 한다. 이 복쌈은 여러 개를 만들어 볏단 쌓듯이 성주님께 올린 다음 먹으면 복이 있다고도 전한다.
- 진채식(나물) 먹기: 취, 호박, 고비, 고사리, 가지, 시래기 등을 가을에 말려 두었다가 보름날 삶아 먹었는데 이를 진채식이라고 하며, 이 진채식을 먹으면 그 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 약식: 대보름에 복을 바라는 마음으로 먹는 음식으로 14일 밤이나 15일에 찹쌀, 대추, 밤, 꿀, 잣 등을 섞어 쪄서 만든다.
- 원소병(달떡): 작고 동그란 떡이라는 뜻으로 찹쌀가루를 여러 가지 색으로 반죽하여 소를 넣고, 경단 모양으로 빚어서 삶아 내어 오미자국물이나 꿀물에 띄워 낸 화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후원] 논두렁에 콩 심는 사람들 [13] 관리자 2009-06-27 36262
공지 긴 글 · 1 - 책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한울림, 2019) file 물꼬 2019-10-01 19299
공지 [긴 글] 책 <모든 사람의 인생에는 저마다의 안나푸르나가 있다>(옥영경/도서출판 공명, 2020) file 물꼬 2020-06-01 17378
공지 [펌] 산 속 교사, 히말라야 산군 가장 높은 곳을 오르다 image 물꼬 2020-06-08 16869
공지 [8.12] 신간 <다시 학교를 읽다>(한울림, 2021) 물꼬 2021-07-31 16729
공지 2020학년도부터 활동한 사진은... 물꼬 2022-04-13 16400
공지 물꼬 머물기(물꼬 stay)’와 ‘집중수행’을 가릅니다 물꼬 2022-04-14 16415
공지 2022 세종도서(옛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다시 학교를 읽다>(옥영경 / 한울림, 2021) 물꼬 2022-09-30 15337
공지 [12.27] 신간 《납작하지 않은 세상, 자유롭거나 불편하거나》 (한울림, 2022) 물꼬 2022-12-30 13570
공지 2024학년도 한해살이;학사일정 (2024.3 ~ 2025.2) 물꼬 2024-02-12 5672
826 [10.29~30 / 11.5~6] 가족상담 물꼬 2016-10-26 1420
825 2013 겨울 계절자유학교(계자)에서 밥바라지를 해주실 분들을 기다립니다! file 물꼬 2013-11-22 1424
824 [4/26] 중국황궁다례 시연회 10월로 연기합니다 물꼬 2014-04-24 1424
823 [11.14] 2015, 11월 섬모임 file 물꼬 2015-10-23 1424
822 [11/20-21] 메주 쑤고 고추장 담그고 물꼬 2013-11-22 1425
821 [9.19] 가을학기 여는 날 물꼬 2016-09-20 1426
820 169계자 통신 1 물꼬 2022-01-13 1426
819 170계자 통신·3 - 여기는 날만 흐립니다, 잘 있습니다! 물꼬 2022-08-09 1431
818 2023학년도 겨울계자(초등) 밥바라지 자원봉사(1.6~12, 6박7일) 물꼬 2023-11-23 1431
817 [10/16] 2013 인문정신문화 포럼 - 인문학 운동의 현재와 미래 [1] 물꼬 2013-10-07 1438
816 [9.27] 네 번째 '섬모임' 물꼬 2014-09-26 1440
815 2016학년도 여름 일정 예비 안내 물꼬 2016-06-17 1441
814 171계자 통신·3 - 계자 사진, 그리고 물꼬 2023-01-27 1442
813 [9.21~25] 농업연수: 중국 절강성 수창현 물꼬 2014-09-17 1446
812 2014 겨울 계자 자원봉사 file 물꼬 2014-11-21 1446
811 이레 동안 단식수행 들어갑니다 물꼬 2014-03-05 1447
810 2013 물꼬 가을빛(사진/ 소병선 님) 물꼬 2013-11-22 1448
809 태풍 차바 지나고 물꼬 2016-10-06 1451
808 160 계자 마감 물꼬 2015-07-29 1453
807 [3.6] 2023학년도 여는 날 ‘첫걸음 예(禮)’ 물꼬 2023-03-03 145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