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5.10.불날. 비 주섬주섬

조회 수 1189 추천 수 0 2011.05.23 16:43:35

 

 

새벽, 둥둥 떠내려갈 것 같은 밤이었습니다.

더럭 무서웠습니다.

아이들이 있으니 여간 마음이 쓰이지 않습니다.

혹여 저것들이 아플까, 다칠까,

무슨 재해라도 날까 노심초사이지요.

내리꽂히는 억수비였더랍니다.

 

아침밥을 준비한 모둠,

그간 자주 문제를 좀 드러냈던 모둠입니다.

타인까지도 무기력하게 만드는,

언제나 억지로 끌려가는 소 같은 분위기 말입니다.

드디어 희진샘이 보다 못해 그들을 세우고 나머지 아이들에게 물었습니다,

지금 이 표정과 자세를 보면서 다른 사람들은 어떤 생각이 드는가 하고.

아이들을 서로 상반된 자리(마치 대적하게 하는)에 있게 한다는 점에서

좋은 방식은 아니었지만,

한번쯤은 문제제기가 나왔어야 했을 일이지요.

밥하는 게 이토록 즐겁지 않은 일인가,

어떡했으면 좋겠는가 결국 회의에서 다뤄보기로 합니다.

좋은 회의 재료가 될 것입니다.

 

가죽나물과 더덕순을 데쳐 먹었습니다.

뿌리는 뿌리대로 잎은 잎대로,

순은 순대로 열매는 열매 대로

이미 자연이 주고 있는 먹을거리들이 얼마나 많은지요.

그걸 다 못다먹고 날이 가고 달이 가고 계절이 갑니다.

참 건강한 먹을거리들이지요, 말해 뭣하려나요.

가죽나물은 김치를 담았습니다,

양으로야 보시기 한 사발이라 할 양이었지만.

 

부처님 오신 날입니다.

자전거 타고 물한계곡의 황룡사로 절밥 먹으러 갑니다.

부처님과 예수님 오신 날을 축하하는 것은

그들이 세상에 들고 온 평화와 사랑, 자비의 메시지 때문이지요.

그래서 종교를 초월한 모두의 축제일 수가 있는 것입니다.

법회가 끝나고 앞치마 입고 장화신고 공양간으로 갔습니다.

아이들을 걷어먹이려면 이 정도는 해야지요.

그런데, 여러 어르신들이 물꼬를 잘 압니다.

심지어 제 이름을 들먹이는 분도 계셨습니다.

오래 물꼬가 예서 살았고나 싶데요.

밥도 밥이지만

덕분에 떳떳하게 과일도 배터지게 멕였습니다.

어른들이 나물을 싸주기도 하셨지요, 먹는 입 많다며.

 

미국인 친구가 오후 버스를 타고 들어왔습니다.

아이들의 영어공부 시간을 위해서인 셈이지요,

정해놓은 공부 시간은 아니나.

아이들을 앞세우고 마을 산책도 다녀오고

책방에서 오래 이야기도 나눕니다.

외국인이 낯설지도 않은 아이들이려니, 그것도 서울서 온 아이들이라 했는데,

웬걸요, 쑥스러워하고 그래서 말도 못 부치고 그랬지요.

우스웠습니다.

밤, 아이들이 달골 오르고,

밤을 밝힌 등불을 보러 다시 외국인 친구와 함께 갔습니다.

내리는 비와 어둠에 절은 일찌감치 푹 잠겼는데,

스님이 불을 밝혀주셨네요.

한참을 머물렀습니다.

절 곁의 계곡의 물은 큰 비에 불어

우리는 마치 물속에 떠내려가는 연꽃 속에 앉았는 듯하였답니다.

 

준이가 한주 만에 베트남에서, 다시 서울에서, 돌아왔습니다.

남자 아이들이 방에서 늦도록 속닥이고 있었지요.

뭔가 감추는 게 있습니다.

그냥 가벼운 준이 귀환 파티일까,

아니면 또 다른 무슨 사건일까,

느낌을 잡아보려 애썼습니다.

썩 유쾌한 움직임은 아닌 듯하였습니다.

아무쪼록 나쁜 일이 아니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874 2011.12.13.불날. 맑음 옥영경 2011-12-24 1187
1873 2012. 4.14.흙날. 맑음 옥영경 2012-04-23 1187
1872 7월 10일 해날 흐림 옥영경 2005-07-20 1188
1871 2005.11.21.달날.흐리다 진눈깨비 / '나눔'이 '있다'고 되던가 옥영경 2005-11-23 1188
1870 2006.10.20.쇠날. 비 온다더니... 옥영경 2006-10-25 1188
1869 2006.11.10.쇠날. 맑음 옥영경 2006-11-16 1188
1868 2007.2.21.물날. 맑음 옥영경 2007-03-04 1188
1867 2008.10.22.물날. 비 옥영경 2008-11-02 1188
1866 4월 몽당계자(130 계자) 여는 날, 2009. 4.10.쇠날. 맑음 옥영경 2009-04-19 1188
1865 138 계자 사흗날, 2010. 7.27.불날. 소나기 한때 옥영경 2010-08-04 1188
1864 2011. 1.24.달날. 눈 나리는 아침 옥영경 2011-02-05 1188
1863 2011. 9. 8.나무날. 빗방울 잠시 옥영경 2011-09-18 1188
1862 2011.12. 5.달날. 맑음, 아침기온 뚝 옥영경 2011-12-16 1188
1861 2006.11.17.쇠날. 맑음 옥영경 2006-11-20 1189
1860 2008. 3.15.흙날. 맑음 옥영경 2008-04-03 1189
1859 2011. 4. 5.불날. 맑음 / 이동학교 옥영경 2011-04-13 1189
1858 146 계자 닷샛날, 2011. 8.11.나무날. 비 뿌리다 / 산오름 옥영경 2011-08-29 1189
1857 2012. 1. 7.흙날. 맑음 / 150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2-01-15 1189
1856 2012. 6.29.쇠날. 흐리다 빗방울 / 충남대 사범대와 ‘교육·연구 협력학교 협약’ 옥영경 2012-07-08 1189
1855 2006. 9.12.불날. 흐림 옥영경 2006-09-19 119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