八玄秘訣/20,돈(頓)

배움 조회 수 4763 추천 수 0 2009.05.02 08:05:00

a4.jpg

 

돈(頓 :몰록돈 구를돈 펼돈 돈내돈....등등)이란?.
여기서는 펼돈의 해석이 적절하다.

이 팔현비결법에서 가장 어려운 것이 이 돈(頓)이다
돈(頓)에도 두가지가 있으며
돈(頓)은 붓을 운행할 때 붓을 펴서 운행하라는 것이고

또 한가지 돈(頓)은 마무리 할 때도 붓을 펴서 마무리 해야 한다는 뜻이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글획이 끝나지 않고 계속이어질 때는
돈이 아니면 글획이 연결되지않는다.
물론 글씨를 힘 없고 맥이 빠지게 쓸려면 상관없지만...

돈은 모두 글씨쓰기의 방향 반대 방향으로 붓을 갔다가
바로 쓰고자 하는 방향으로 가면 된다.
이 돈(頓)을 할 때 힘을 주고 붓을 편다고 해서
붓 끝은 당기거나 밀치거나 하면 않된다.
그렇게 해서 글씨를 쓰면 획과 획의 연결점이 맞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돈을 할 때 중요한 것은 붓을 편다고 손목을 비스듬히 움직이면 않된다.
그냥 팔현비결의 순서대로만 하면 된다

또 이 돈(頓)을 할 때 붓 궁뎅이를 쳐 들어도 않된다
붓을 들되 내가 쓰고자 하는 글씨의 폭과 같게 붓을 들어야지
적게 든다면 붓이 다 펴지지 않고 쓰이게 되고
붓을 너무 들면 글씨 폭이 내가 쓰고자 하는 폭과 크기의 글씨는 나오지 않는다.
.........................................................................................

**추가분
팔현비결의 기능 8가지 중에 돈(頓)이 2번 나온다.
그 만큼 돈(頓)이 글씨쓰기에서 중요하다는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처음의 ③돈(頓)은 붓을 펴서 쓰기를 시작하라는 의미라면
⑦번의 돈(頓)도 그러한 의미도 포함되지만 다음으로 연결되는 획을 쓸 때 ③번의 돈(頓)앞의 법수인 ①역기(逆起)②육락(육落)을 생략해서 쓰라는 것이다.

조금 더 부연해서 말하자면
앞에 ③돈(頓:펼돈)은 처음 글씨를 쓸 때 붓을 펴서 쓰야 획이 고르고 꼬이지 않고 마지막에서도 붓이 잘 펴지고 엎어 겹쳐지기에 붓을 펴서 하라는 돈(頓)이라면
⑦번의 돈(頓)은 글씨의 마무리에서도 붓을 펴서 한 일(一)자나 뚫을 곤(ㅣ)자나 한개의 점(点)일 경우에는 글쓰기를 마무리 하라는 의미지만
글씨획이 많고 계속 연결되는 글자에 있어서는 마무리의 돈(頓)이 아니고 다시 글씨쓰기가 시작된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연결되는 글자획에서는 ③돈(頓)앞에 있어야 할 ①역기(逆起)②육낙(육落)이 생략되고 바로 ③돈(頓)으로 시작되어 ④역행(力行)하여 글 쓰기를 이어가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야 많은 획의 글자가 여러번의 재 출발과 끝 마무리의 조화속에 하나의 글자가 이루어 진다.
그러므로 팔현비결이 어느 정도 익숙 해 지면 중복되는 법수는 생략되는 수가 많은데
유독 이 돈(頓)만은 생략되지않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고 이 돈(頓)이 아니면 글획이 연결되지 않는다.
물론 글씨를 힘 없고 맥 빠지게 쓸려면 상관없지만...
여기 ⑦번의 돈(頓)도 처음의 ③돈(頓)과 같이 몰록돈 구를돈 펼돈 돈내돈....등등 이지만
여기서도 펼돈의 해석이 적절하다.
이 팔현비결에서 가장 어려운 것이 이 돈(頓)이다
이 돈(頓)의 붓펴는 기법을 배우지 않은 서예 대가들도 붓이 펴지지 않기에 손목을 조작하여 글을 쓴다던지
손가락으로 붓을 돌려 붓을 펴지게 해서 글씨를 쓴다던지
두번이상 개칠을 하여 글을 써야 온전한 글씨가 되는데 팔점서법의 기능으로 보면 글씨는 메끄럽게 잘 쓰여 졌으나
단일 획에서 힘잇고 잘 써졌으나 중복되고 겹쳐지는 글획에 있어서는 끌씨가 꼬이고 글씨가 정확히 겹쳐지지않아 맥이 빠진 글씨가 된다.

돈(頓)의 기능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돈(頓)은 붓을 운행할 때 처음부터 붓을 펴서 운행하라는 것이고
둘은 돈(頓)은 마무리 할 때도 붓을 펴서 마무리 해야 한다는 뜻도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글획이 끝나지 않고 계속이어질 때는 글씨 쓰기의 반대 방향으로 붓을 돈(頓)했다가
쓰고자 하는 방향으로 붓을 ④역행(力行)하면 된다.
이 돈(頓)을 할 때 특히 주의 할 점은
힘을 주고 붓을 편다고 해서 붓 끝을 당기거나 밀치거나 하면 않된다.
바로 깃점이 옮겨져서 그렇게 해서 글씨를 쓰면 획과 획의 연결점이 맞지 않게 되어 힘없게 쓴 글씨가 된다.
그리고 ③⑦돈(頓)을 할 때 중요한 것은 붓을 편다고 손목을 비스듬히 움직이면 않된다.
항상 붓이 관직(管直 : 붓 대롱을 수직되게 곧게 세워)이 된 상태에서 해야 된다.
또 이 돈(頓)을 할 때 붓 궁뎅이를 쳐 들어도 않된다
붓을 들되 내가 쓰고자 하는 글씨의 폭과 같게 붓을 들어야지
적게 든다면 붓이 다 펴지지 않고 쓰이게 되고
붓을 너무 들면 글씨 폭이 내가 쓰고자 하는 글씨의 폭과 크기의 글씨는 나오지 않는다.
無耘(토수)sowoozee@hanmail.net
삼륜(三輪)구들연구소ⓒ http://www.gudeul.net/
자료 이동시 위의 주소와 함께 옮겨주셔야 저작권법에
저촉이 되지 않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5 배움 [상시 모집] 2023년 2학기 별꼴학교 신입생 모집 [Different is Beautiful] 피스 2023-08-01 937
94 배움 [모집중] 2023 별별여행 [뻔한 동남아는 잊어라! 새로운 여행을 상상하라!] 참가자 모집 피스 2023-05-01 1070
93 공동체 포럼: ‘2013 인문정신문화 포럼-인문학운동의 현재와 미래’ - 옥영경 file 물꼬 2014-09-03 5826
92 공동체 주례사(2009.2.7) - 옥영경 file 물꼬 2014-09-03 32743
91 공동체 명동성당 사순특강(2011. 3.23.물날) - 옥영경 file 물꼬 2014-09-03 5226
90 건강 알고도 먹고 모르고도 먹는 혐오식품 6가지 image 물꼬 2012-07-12 7799
89 공동체 비영리단체 연례보고서 구성에 관해/이주연, 김현진 image 물꼬 2011-10-29 7185
88 공동체 화내는 기부자에게 슬기롭게 대처하기/최영우 물꼬 2011-10-29 6105
87 <노 임팩트 맨>(콜린 베번/북하우스/2010) / 류옥하다 물꼬 2011-09-07 7071
86 <닥터 노먼 베쑨>(테드 알렌, 시드니 고든/실천문학사/1991) / 류옥하다 물꼬 2011-09-07 9221
85 배움 자동차 보험료 아끼는 요령 물꼬 2011-02-24 6059
84 Children Learn What They Live 물꼬 2010-11-25 9197
83 Rachel Carson의 <침묵의 봄(Silent Spring)>(1962) 물꼬 2010-10-11 7427
82 배움 삶이 왜 이렇게 힘드냐고 묻는 아이에게 물꼬 2010-09-07 6596
81 배움 모욕적인 말에 상처 입은 네게 [1] 물꼬 2010-08-31 7817
80 배움 하야시 다케지의 ‘박식한 것과 현명한 것’ 가운데서 물꼬 2010-07-03 11402
79 농사 가래질 물꼬 2010-04-16 8457
78 농사 논밭의 넓이를 나타내는 단위 물꼬 2010-04-16 12440
77 독자의 권리/다니엘 페나크 물꼬 2010-02-25 6978
76 만일 물꼬 2010-02-17 559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