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2.18.흙날. 맑음

조회 수 1341 추천 수 0 2012.02.24 03:34:17

 

 

이번 추위의 절정이라 했습니다.

밤바람이 여간 거칠지가 않습니다.

그런 속에도 마늘밭과 시금치밭은 안녕하답니다.

가스가 떨어진 앞집 이모할머니의 sos.

소사아저씨는 학교 둘레 몇 할머니 댁들의 살림까지도 사신답니다.

 

발가락을 꿰맸습니다.

오른쪽 새끼발가락에 밀린 네 번째 발가락이

수 년 자주 문제를 일으켜왔는데,

겨우내 동상과 함께 걸음을 어렵게 했지요.

어찌 어찌 봄을 맞고 그러다 또 증세가 완화되려니 두려다

아무래도 3월 천산산맥을 넘는 일이 걸립니다.

병원을 가니 수술을 권했고, 하여 발가락을 찢고 꿰매는 일이 있었지요.

 

남도행.

기락샘을 황간역에서 만나 동행.

명절, 우리 가족은 늘 학교에 남습니다.

대해리에서 설과 한가위를 쇤지도 퍽 오래입니다.

이제 물꼬로 명절을 쇠러 오는 이들까지 있지요.

혹은 방문.

그리하여 어른들을 뵙기는 주로 명절 지난 뒤가 된답니다.

오늘 그 걸음.

 

마침 여행을 떠났던 7학년 진현이와 류옥하다를

그곳에서 해우키로 했습니다.

어제 진현의 아버지 상찬 선배가 아이들과 만나

하룻밤을 보내고 김해 봉하마을이며 암자를 들렀다지요.

오후, 모두 만났습니다.

그런데, 상찬형 귀한 선물을 실어왔습니다.

물꼬의 논두렁이기도 한 그이지요.

“우와, 뭐가 이렇게 좋은 거야! 꾸벅!”

산오름 때마다 모자라는 배낭으로

꼭 아이들로부터 가방을 빌리기도 해왔습니다.

이제 그럴 일 없겄습니다.

열두 개나 되는 배낭!

 

형제들과 어머니 칠순잔치를 의논합니다.

우리 가족은 5월에 어르신과 울릉도 독도를 여행키로 했지요.

어머니는 사위를 위한 상을 차리느라 여념이 없는 종일이셨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958 139 계자 아이들 갈무리글 옥영경 2010-08-20 1348
957 가을 몽당계자 여는 날, 2010.10.22.쇠날. 보름달 떴다가 깊은 밤 비 다녀가네 2010-11-06 1348
956 12월 8일 물날 흐림 옥영경 2004-12-10 1349
955 3월 24일 나무날 퍼붓는 눈 옥영경 2005-03-27 1349
954 2007. 4. 8.해날. 맑음 옥영경 2007-04-16 1349
953 2008. 4.28.달날. 맑음 옥영경 2008-05-15 1349
952 146 계자 나흗날, 2011. 8.10.물날.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11-08-28 1349
951 7월 8일, 새로운 후식 옥영경 2004-07-15 1350
950 9월 4일 흙날, 물꼬도 달았다! 옥영경 2004-09-16 1350
949 4월 18일 달날 여름날 마른번개 천둥 치듯 옥영경 2005-04-23 1350
948 계자 104 여는 날, 6월 24일 쇠날 더운 여름 하루 옥영경 2005-07-08 1350
947 109 계자 이튿날, 2006.1.21.흙날. 맑음 옥영경 2006-01-22 1350
946 2007. 4. 3.불날. 내려간 기온 옥영경 2007-04-16 1350
945 2008.11.19.물날. 맑으나 매워지는 날씨 옥영경 2008-12-06 1350
944 2010.12. 7.불날. 날 매워지다 옥영경 2010-12-27 1350
943 143 계자 사흗날, 2011. 1.11.불날. 한 밤 굵어진 눈 옥영경 2011-01-13 1350
942 7월 8일, 마루 앞에 나와 앉아 옥영경 2004-07-19 1351
941 2005.10.12.물날.맑음 / 새 대문 옥영경 2005-10-14 1351
940 2008. 8.19.불날. 잠깐씩 빗방울 옥영경 2008-09-13 1351
939 2009. 1. 3.흙날. 맑음 / 129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9-01-09 135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