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다섯 살 류옥하다의 날적이에서; 류옥하다는 어미가 천산원정길로 물꼬를 비운 동안 어미가 하던 움직임처럼 간간이 물꼬의 오늘을 전하고 있었습니다.

 

 

2012년 3월 12일 달날. 꽃샘추위. <메주 내리기>

 

 

  고추장집 안쪽 내 방에는 메주가 걸려있다. 지난해 12월에 김장을 할 때 만들어 짚으로 엮어 건 것이다. 원래는 밖에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 걸어야 하는데 대해리 겨울이 매섭다보니 얼지 않게 안에 건 것이다.

 

  겨울에는 메주가 썩는(어머니는 ‘발효’라시는데 내가 보기에는 그게 그거 같다.) 냄새 때문에 잠을 못 잤었는데, 이제는 한결 부드러운 냄새가 난다.

자 이제 봄이 왔으니 메주를 부엌 뒤란에 걸어야 한다.

 

  메주를 천장에서 떼는 게 일이다. 짚으로 메주를 메어놓았는데, 그러다보니 풀 때 사방에 짚 부스러기가 휘날렸다.

 

  ‘아이고 내 이불...’

 

  젊은할아버지께서 밑에서 잡아주시고, 내가 위에서 푼다. 어느새 나도 모르게 젊은할아버지보다 키가 커졌다. 후.. 벌써 열다섯이다.

 

  아이쿠. 메주 하나가 떨어졌다. 지난 겨울에 부실해보였던 메주다. ‘귀찮은데 괜찮겠지’라는 마음이 지금에 일을 만들었다. 역시 할 때 제대로 해놔야 일이 덜 생긴다. (아. 물론 내 순발력으로 메주를 잘 잡아서 메주가 깨지지는 않았다.)

 

  다 달았다. 이달 말에 된장을 담을 거다. 할머니도 도와주러 오신단다.

 

  메주를 항아리에 넣고 물을 넣으면 한참 후, 항아리 안에 국물은 간장이 되고, 메주 덩이는 된장이 된다. 우리 요리에 꼭 들어가는 장들이다. 참 고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594 2006.4.30-5.4.해-나무날 / 자율학교였단다 옥영경 2006-05-09 1237
1593 2006. 9.26.불날. 아주 가끔 구름 옥영경 2006-09-29 1237
1592 2008. 6.20.쇠날. 비 옥영경 2008-07-06 1237
1591 2008. 7.13.해날. 맑음 옥영경 2008-07-27 1237
1590 4월 몽당계자(130 계자) 이튿날, 2009. 4.11.흙날. 맑음 옥영경 2009-04-19 1237
1589 2009. 7. 9.나무날. 흐림 / <내 마음의 상록수> 옥영경 2009-07-16 1237
1588 2011. 1.28.쇠날. 맑음 옥영경 2011-02-05 1237
1587 2011. 5. 9.달날. 빗방울 묻어오다 옥영경 2011-05-23 1237
1586 2006.2.15.물날. 비였다가 눈이었다가 옥영경 2006-02-16 1238
1585 2006. 9.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6-09-20 1238
1584 2007. 3.22.나무날.맑음 옥영경 2007-04-06 1238
1583 2007. 4.15.해날. 맑음 옥영경 2007-04-24 1238
1582 2007. 8.28.불날. 비 옥영경 2007-09-21 1238
1581 2007. 9. 3.달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07-09-23 1238
1580 2008. 2.12.불날. 맑으나 옥영경 2008-03-07 1238
1579 2011.12.26.달날. 맑음 옥영경 2012-01-03 1238
1578 2005.12.16.쇠날.차름하게 내리는 눈 / 출토 옥영경 2005-12-17 1239
1577 108 계자 열 이튿날, 2006.1.13.쇠날. 가랑비 옥영경 2006-01-15 1239
1576 2007. 5.15.불날. 맑음 옥영경 2007-05-31 1239
1575 2008. 8.27.물날. 맑음 옥영경 2008-09-15 123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