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4. 8.해날. 맑음

조회 수 1167 추천 수 0 2012.04.17 01:46:28

 

 

소사아저씨는 며칠 째 연못을 손보더니 마무리.

‘콩알 연못’, 말 그대로 연못이라 붙이기는 멋쩍어 그리 부릅니다.

둘레 잡초를 정리하고 비닐을 깔고 물을 채웠지요.

거기 계곡에서 이사 온 물고기들 놀테고,

물상추도 부레옥잠도 발 뻗을 것입니다.

 

첫 냉이.

3월 한달을 천산원정길 다녀왔으니

올 봄나물 밥상이 이리 더딥니다.

아직 여행에서 따라온 감정이 꼬리를 흔들어

일상으로 복귀를 막고 있는데,

식구들이 캐서 씻어 놓았더이다.

점심밥상, 냉이튀김을 내지요.

 

간밤 금산에서 근 30년 가까이 앙망하던 노시인을 만나고,

함께 자리했던 이들이

‘바다의 시인과 산골 선생의 데이트’라는 소제목을 단

작은 음악회를 6월에 하자 날 받아왔는데,

돌아와 수첩 들여다보니

독일과 스웨덴에서 학자들이 만나는 자리에 곁다리로 가는 게 열흘,

마침 날이 걸립니다.

다시 여럿과 통화하고, 선생님과 날 다시 잡고...

아, 그리고 선생님은 6월 물꼬 빈들모임에 자리해주기로도 하셨습니다;

<그리운 바다 성산포>의 이생진 선생님.

 

다시 금산을 건너갔다 옵니다.

행사에 남은 음식을 어쩌냐며

물꼬에서 좀 나눠가라 하기 잠시 마실 다녀왔지요.

가는 길의 황혼!

저런 자연이 없다면 사는 게 자주 별일인 우리 생을 어찌 건너갈지요.

끊임없이 뒤통수를 치는 삶을 어찌 견뎌갈지요.

 

새벽 2시 적벽강을 끼고 돌아오며

지리산에 들어가 있는 벗에게 당장 달려가겠다 치기를 부리기도 했습니다.

달빛 앉는 적벽강이 너무 아름다웠던 게지요.

시를 쓸 수 있을 것 같은 날이었더이다.

 

이번 학기는, 아니 내내 그러할, 학기 가운데 머무는 아이들이 없습니다.

아이들 얘기 말고는 별 할 말이 없겠다 싶더니

그래도 삶은 계속되고 말도 계속 되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714 2007. 5. 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05-21 1172
4713 2006. 9.25.달날. 참 좋은 가을볕 옥영경 2006-09-27 1172
4712 2006.3.16.나무날. 눈 옥영경 2006-03-17 1171
4711 2008. 9.1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10-04 1170
4710 2006.3.28.불날. 눈발 옥영경 2006-03-31 1170
4709 7월 29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5-08-01 1170
4708 7월 17일 해날 맑음 옥영경 2005-07-22 1170
4707 135 계자 나흗날, 2010. 1. 6.물날. 맑음 옥영경 2010-01-11 1169
4706 2007. 9.2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10-09 1169
4705 2007. 3. 7.물날. 마른 눈발 날리는 아침 옥영경 2007-03-21 1169
» 2012. 4. 8.해날. 맑음 옥영경 2012-04-17 1167
4703 2011. 2. 4.쇠날. 맑은 입춘 옥영경 2011-02-23 1168
4702 2007. 3.14.물날. 흐림 옥영경 2007-04-02 1168
4701 2005.11.30.물날.봄날 같은 볕 / 아궁이 앞에서 옥영경 2005-12-01 1168
4700 2월 16일 물날, 새 홈페이지 막바지 논의 옥영경 2005-02-26 1168
4699 2011. 8.13.흙날. 맑음 / 147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1-08-30 1167
4698 4월 몽당계자 이튿날, 2010. 4.24.흙날. 맑음 옥영경 2010-05-10 1167
4697 2008. 7.22.불날. 맑음 옥영경 2008-07-30 1167
4696 2008. 3.22.흙날. 맑음 옥영경 2008-04-06 1167
4695 2007. 2. 3.흙날. 맑음 옥영경 2007-02-08 116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