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4.20.쇠날. 봄비

조회 수 1270 추천 수 0 2012.04.26 02:04:19

 

 

감자 싹이 오르고 있습니다...

 

곡우, 걸맞게 잔비 내립니다.

봄비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한다는 곡우.

조기 중에 으뜸으로 치는 조기도 곡우사리,

알 많고 맛 좋다고.

이즈음 채엽한 어린잎을 덖으면 우전, 즉 세작일진대

이 봄 지리산 들어간 벗은 차를 덖었을 려나요.

 

남해를 떠나 영동까지,

올라올수록 밝아지는 하늘이었습니다.

 

새벽 산사 마당을 걸었습니다.

예불은 이미 끝났으나 아침은 멀었더랬지요.

비바람에 떨어진 꽃잎들이 진 자리,

쓸쓸하다거나 아프다거나,가 아니라

그리 담담한 풍경일 수가 없었습니다.

산사가 주는 평화 때문이지 않았을지요.

그래서 사람들은 산사로 오는 모양입니다.

남해의 한 암자에서 아침공양을 하고

스님과 마주 앉았다가 길을 나섰더랍니다.

 

남해의 한 중학교에도 들렀습니다,

아이가 남해에 얼마쯤 머물 일이 생길 듯도 하여,

그때 너무 외롭지 않도록 아이들과 함께 있어도 좋겠기에.

담당교사가 텔레비전에 나왔던 아이를 알아봅니다.

재밌습니다.

아이도 그곳의 외국인 선생들을 만나 유쾌해했고,

그 학교 역시 그러합니다.

아이는 산골을 떠나 잠시 제도학교에서 지내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돌아오니 달골 들머리의 하다벚꽃이 만개합니다.

꽃잎의 빛으로도 어둠을 밝힐 수 있음에 또 새삼스런 감동 입니다.

2007학년도에 ‘첫걸음禮(예)’, 그러니까 개강식에 심은 벚나무이지요.

비탈에 선 한 그루는 아직도 고만고만한데,

하다로 이름붙인 그것은 하다 마냥 그리 굵습니다.

아이가 자주 그랬지요,

“이야, 나 크듯이 크네.”

고성 탈박물관 장승학교에서 온 꼬마 장승들, 갈천샘이 나눠주신,

달골 들머리에 부려놓았지요.

고맙습니다.

 

그리고 가마솥방에는

서울서 이생진 선생님이 보내주신 시집 <반 고흐, ‘너도 미쳐라’>와

화순서 정윤천 시인이 보내주신 <십만년의 사랑>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귀한 글들을 너무 쉬 얻는 건 아닌지.

잘 읽겠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358 2007. 8.29.물날. 비 옥영경 2007-09-21 1287
5357 2007. 3.28.물날. 흐리다 비바람 천둥번개 옥영경 2007-04-09 1287
5356 8월 20-22일, 이동철샘 풍물 나눔장 옥영경 2005-09-09 1287
5355 2010.12. 2.나무날. 야삼경 화풍이 분다 / 김장 첫날 옥영경 2010-12-22 1286
5354 2008. 6. 9.달날. 맑음 옥영경 2008-07-02 1286
5353 2008. 3.13.나무날. 한밤중 비 옥영경 2008-03-30 1286
5352 2006.11. 2.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6-11-03 1286
5351 2006. 9.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6-09-25 1286
5350 2006.5.8.달날. 흐림 옥영경 2006-05-11 1286
5349 11월 9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4-11-22 1286
5348 2008.11.27.나무날. 비 옥영경 2008-12-21 1285
5347 2008.10.16.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10-28 1285
5346 2008. 9.26.쇠날. 맑음 옥영경 2008-10-10 1285
5345 2008. 8.20.물날. 갬 옥영경 2008-09-13 1285
5344 2008. 1.26-7.흙-해날. 맑음 옥영경 2008-02-22 1285
5343 2006. 6. 6.물날. 마른 비 지나고 바람 지나고 옥영경 2007-06-22 1285
5342 2005.10.17.달날.맑음 / 내 삶을 담은 낱말 옥영경 2005-10-19 1285
5341 7월 26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5-08-01 1285
5340 6월 11일 흙날 아무 일 없던 듯한 하늘 옥영경 2005-06-17 1285
5339 5월 30일 달날 맑음, 찔레꽃 방학 중 옥영경 2005-06-03 128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