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빈들부터 말씀드리자면;

빈들에 모여 어우러져서는

들을 채우고 생각을 채우고 삶을 채워보자는 자리,

2008년 11월 예비모임을 하고 이듬해 2월부터 해오던 빈들모임이

다섯 해에 이르렀습니다.

해마다 4월 아주 크게 치러왔던 ‘학교문연날잔치’ 대신

달마다 한 차례 조그맣게 모여

철마다 이 산골에서 할 수 있는 놀이와 일, 수행을 하며

물꼬가 하는 생각, 물꼬가 사는 방식을 나누어 왔지요.

애도 오고 어른도 오고,

홀로도 오고 아이를 업거나 걸려서도 오고,

벗과 함께 오기도 하였습니다.

‘아이들의 학교’이자 ‘어른들의 학교’!

 

2. ‘하루 방문자의 날’을 ‘빈들모임’으로 바꾸며;

여느 해의 4월 마지막 주라면 빈들모임으로 사흘을 보낼 것이나

올 봄학기는 집짓기 교육일정으로 하루 방문자의 날을 두었더랬습니다.

그런데, 멀리까지 와서 하루만 보내기엔 아쉬움 많겠기에

이틀을 내보자 하게 되었지요.

 

3. 1박2일 비움잔치;

물꼬에서는 오랫동안 한 해 두 차례 봄가을로 이레의 단식수행을 해왔습니다.

비운 자리를 맑은 영성으로 채우는 시간이었지요.

밥과 몸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자리였습니다.

소금과 물만을 먹으며 아침에는 수행, 저녁에는 단식보조운동을 했고,

오전 오후 세 시간의 가벼운 노동을 하고

밤에는 책읽기를 했더랬습니다.

한편, 달에 한차례 식구들이 하루 단식도 해왔습니다.

그런데 요 두어 주 무슨 바람에 물꼬의 단식에 대한 문의가 이어진 걸까요?

하루 1끼 식사법이나 간헐적 단식이

최근 방송에서 다루어져 큰 관심을 불러일으킨 까닭인 듯합니다.

그렇다면 이번 이틀의 빈들모임을 24시간 영성단식으로 보내면 어떨까 싶었지요.

 

 

때: 2013년 4월 27일 흙날 낮 12시부터 28일 해날 낮 12시까지

 

곳: 자유학교 물꼬의 ‘학교’와 ‘달골’

 

뉘: 관심 있는 누구나 열다섯 안팎

        (이전의 이레 단식수행 중에도 아이들을 위한 밥상은 따로 차렸습니다.

         이번 경우에도 임산부와 유치원 아래의 아이들을 위해서는 밥상을 준비합니다.)

 

속: 걷고, 일하고, 놀고, 수행(명상과 수련)하고, 그리고 단법석!

 

준비물: 물통, 같이 나누고픈 이야기나 글

                마지막 끼니에서 여러 사람이 나눠 먹을 수 있는 과일

                아이들을 위한 주전부리거리와 여럿이 나눠 먹을 수 있는 밑반찬

                무릎담요나 차량용 혹은 비행용 담요, 아니면 두툼한 점퍼(아직 추운 산골 밤!)

 

신청: 4월 24일 물날 자정까지 물꼬 누리집이나 이메일 mulggo2004@hanmail.net 로.

            (방문 경험이 있으신 분은 전화로도 가능합니다)

 

보시: 4인 가족 기준 24만원으로 정하지만 언제나처럼 형편대로!

            (농협 319-01-248875 자유학교 물꼬)

 

교통편: 흙날에는 영동역 길 건너에서 낮 11시 대해리행 버스,

                해날 나가는 시간은 대해리발 12시 20분.

                그러므로 떠나는 기차는 영동역발 13시 20분 이후여야 될 겝니다.

                (버스를 놓치는 경우;

                 영동역에서 물꼬까지 택시 2만 9천원, 콜택시 기사 전용철 016 402 3962 차량끝번호 4023)

 

 

* 편한 신발이셔야겠습니다.

* 신청을 하신 경우에만 오실 수 있습니다!

* 5월 방문자의 날도 4월의 빈들모임 형식으로 하면 어떨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후원] 논두렁에 콩 심는 사람들 [13] 관리자 2009-06-27 34762
공지 긴 글 · 1 - 책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한울림, 2019) file 물꼬 2019-10-01 18139
공지 [긴 글] 책 <모든 사람의 인생에는 저마다의 안나푸르나가 있다>(옥영경/도서출판 공명, 2020) file 물꼬 2020-06-01 16204
공지 [펌] 산 속 교사, 히말라야 산군 가장 높은 곳을 오르다 image 물꼬 2020-06-08 15682
공지 [8.12] 신간 <다시 학교를 읽다>(한울림, 2021) 물꼬 2021-07-31 15538
공지 2020학년도부터 활동한 사진은... 물꼬 2022-04-13 15249
공지 물꼬 머물기(물꼬 stay)’와 ‘집중수행’을 가릅니다 물꼬 2022-04-14 15284
공지 2022 세종도서(옛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다시 학교를 읽다>(옥영경 / 한울림, 2021) 물꼬 2022-09-30 14170
공지 [12.27] 신간 《납작하지 않은 세상, 자유롭거나 불편하거나》 (한울림, 2022) 물꼬 2022-12-30 12423
공지 2024학년도 한해살이;학사일정 (2024.3 ~ 2025.2) 물꼬 2024-02-12 4590
425 2월 빈들모임에 오시는 분들께 물꼬 2010-02-17 1905
424 쓴 글들이 사라지고 있지요... 물꼬 2011-01-08 1905
423 [6.22~23] 물꼬 연어의 날; Homecoming Day file 물꼬 2019-06-05 1906
422 146 계자(8/7-12)도 사진 올라갔습니다 물꼬 2011-08-28 1907
421 2012 여름계자에 다녀간 아이들의 보호자분들께 물꼬 2012-08-13 1907
420 전화, 연장합니다. 물꼬 2010-01-22 1910
419 2009년 5월 빈들모임 물꼬 2009-05-07 1911
418 지금 형편에 맞게 '물꼬, 뭘꼬?'를 고쳤습니다. 물꼬 2009-10-11 1911
417 2019학년도 겨울 계자(초등) 자원봉사 file 물꼬 2019-11-07 1911
416 4월 물꼬는 물꼬 2020-04-18 1911
415 [8.17~18, 8.24~25, 8.31~9.1] “우리는 산마을에 책 읽으러 간다” 물꼬 2019-07-25 1912
414 안식년의 근황; 2017학년도 봄학기, 그리고 가을학기 물꼬 2017-08-29 1914
413 [8.29~30] “우리는 산마을에 책 읽으러 간다”-멧골 책방 file 물꼬 2020-08-06 1916
412 11월에는 물꼬 2009-11-02 1918
411 입학과 취업을 위한 추천서 물꼬 2011-10-17 1922
410 주말에야 글과 사진 올라갑니다. 물꼬 2011-08-26 1923
409 11월 빈들모임 ‘예비’ 안내 물꼬 2011-10-25 1923
408 계자에 떨어뜨리고 간 물건들 보냈습니다. 물꼬 2010-08-27 1926
407 9월에는, 그리고 10월엔 물꼬 2013-09-01 1932
406 현재 바르셀로나에 계신 옥샘의 부탁을 전달합니다. 물꼬 2018-04-12 193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