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0.15.불날. 흐리고 비 좀

조회 수 669 추천 수 0 2013.11.06 13:22:49

 

 

비 온 뒤 기온 서둘러 떨어집니다.

마음이 겹옷이시옵기.

 

대입 추천서를 몇 장 쓰고 나니

이제 고입 추천서가 몇 기다리고 있습니다.

할 말이 있는 경우만 쓰는 줄 아는 까닭에

저들이 알아서 써줄만한 놈들만 부탁을 해오지요.

어릴 적 계자에 다녀가고,

새끼일꾼으로 청소년기를 본 아이들입니다.

어른들과 함께 잠을 견디며 뙤약볕의 여름과 거친 겨울을 보낸 그들의 보탬이

어찌 품앗이일꾼에 미치지 못한다 할까요.

더하면 더했지 모자라지 않다마다요.

그들에게 뭔가 할 수 있음을 기쁨과 영광으로 여기며

오늘도 추천서 한 장!

 

서울에서 김억수님 다녀갑니다,

후배 종덕님과 명희님 함께.

2004년에 맺은 연이니 벌써 십년.

간간이 이곳에 필요한 것들을 사서 들리셨더랬습니다.

그간 몇 해의 공백기가 있었고,

배부른 따님을 본지 오래지 않다 싶더니

댁의 손주가 어느새 초등학교를 다니고 있습니다.

겨울방학에 보내리라 하고 다녀가셨지요,

물꼬는 우리 대한민국의 전체 어린이들이 마땅히 와야 할 학교라시며.

보지 못한 시간들이 있어도

아이들이 자라니 또 볼 일이 생깁니다.

물꼬가 그 자리에 있는 것!”

그게 가장 큰 소명이라던가요.

 

오는 19일 있을 학술제 준비모임이 저녁에 있었습니다.

단체 안내지 교정교열, 학술제 자료집 구성, 대략적인 움직임 확인.

내일은 서울역에서 인문학 운동 관련 포럼이 있고,

모레는 와인아카데미 테스트,

글피 쇠날에나 준비해서 행사를 하겠네요.

좀 빠듯하지요?

 

내일 서울역에서 있는

‘2013 인문정신문화 포럼-인문학운동의 현재와 미래에 토론자로 참석합니다.

 

‘...

인문학이 무엇이더이까. 스스로 생각하고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방향성을 갖는 일 아니던가요. 결국 사람답게 살아가자고 하는 짓거리일 것입니다. 인문학을 통해 삶에 대한 통찰을 길러 우리 삶이 무엇에도 휘둘리지 않을 수 있는 길을 찾아 그리 걸어가는 것 아니겠는지요.

교육만 해도 그렇습니다. 우리가 우리 아이들에게 교육에서 뭘 구현할 것인가 성찰하고 통찰하고, 그래서 넘들 따라가느라 조바심 내며 자신과 아이들을 들들 볶지 않을 수 있는 길을 보는 것 또한 인문학이 주는 힘이겠습니다.

그런데, 그런데 말입니다, 인문학의 양적팽창이 한국 사회가 가진 지적허영과 닿아있는 건 아닐까 조심스런 의심이 듭니다. 그것이 흔히 진보계가 가졌던 학출들의 리그라는 비판의 연장은 아닌지, 뭘 좀 알았다는 것이 행여 자기만족이나 가시로 드러나 외려 또 삶의 현장으로부터 벽을 만드는 것은 아닐까요. 마치 뭘 좀 알았다는 것이 삶을 흔들어주는 작용으로보다 머리만 키우는 또 다른 괴물을 만드는 과정은 또한 아닐지요?

...

이영희 선생의 고전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난다는 제목의 명제는 결국 삶의 균형을 또한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겠습니다. 인문학에서도 마찬가지. 이 사회가 그래도 여전히 건강함을 유지하는 큰 줄기에는 조선사회 인문학적 깊이가 이뤄냈던 긍정적 성과가 있지 않았겠냐는 진단이 있는데, 그 한편에선 물적토대 혹은 삶의 일상을 견지해준 건강한 노동이 있었다 생각합니다. 학과 노동, 그 두 날개가, 두 바퀴가, 결국 그 사회를 끌어왔던 거지요.

인문학 운동도 죽어가는 것을 살려낸다는 미명 아래 허영으로 치우지지 않게 균형을 전제로 가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가령 이런 건 어떨까요? 인문학캠프에서 아침저녁 수행(명상)하고 낮에 일하고 밤에 인문학 공부를 하는 거지요. 그리하여 그 과정이 우리 삶을 견실하게 이끄는 훌륭한 디딤돌 하나 되는...’

 

[포럼 토론문 물 뚝뚝 떨어지는 걸레를 어찌 할까요’(옥영경)가운데서]

 

그런 이야기 정도를 하게 될 것.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774 2015. 1.22.나무날. 눈 몰아치다 비로 옥영경 2015-02-24 682
4773 2015. 5.12.불날. 갬 옥영경 2015-07-01 682
4772 2015. 6.14.해날. 아침 쥐꼬리 소나기 옥영경 2015-07-20 682
4771 2015.11. 8.해날. 비 옥영경 2015-12-04 682
4770 2016. 5.22.해날. 맑음 옥영경 2016-06-16 682
4769 2016. 6.20.달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6-07-16 682
4768 2016. 6.22.물날. 흐림 옥영경 2016-07-16 682
4767 2017.11. 6.달날. 맑음 옥영경 2018-01-06 682
4766 2013.10. 2.물날. 흩뿌리던 비 개고 옥영경 2013-10-25 683
4765 2014. 1.11.흙날. 흐림 옥영경 2014-02-03 683
4764 2014. 5.30.쇠날. 맑음 옥영경 2014-06-13 683
4763 2014. 6.13.쇠날. 잠깐씩 구름 지나다 비 뿌리는 오후 옥영경 2014-07-04 683
4762 2014. 9.17.물날. 비 잠깐의 아침, 그리고 흐림 옥영경 2014-10-15 683
4761 2015. 1.11.해날. 맑음 옥영경 2015-01-30 683
4760 2015. 2.23.달날. 짙은 황사 옥영경 2015-03-19 683
4759 2월 빈들 닫는 날, 2015. 3. 1.해날. 싸락눈 옥영경 2015-03-20 683
4758 2015. 4.13.달날. 비 옥영경 2015-05-12 683
4757 2015. 4.16.나무날. 거친 모래 바람 옥영경 2015-05-13 683
4756 2015. 4.18.흙날. 흐려가는 하늘, 거센 밤비 옥영경 2015-05-13 683
4755 2015. 5. 9.흙날. 맑음 옥영경 2015-06-25 68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