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1.17.쇠날. 구름 조금

조회 수 775 추천 수 0 2014.02.10 02:10:22

 

달이 아주 멉니다.

흐릿한 달...

 

“또 낳았네...”

소사아저씨가 닭장을 다녀오며 알을 꺼내왔습니다.

얼어 금이 가 있네요.

벌써 두 번째입니다.

아직 봄 먼데.

푹한 날들 때문이었던 갑습니다.

봄인 줄 알았는 갑습니다.

 

주원이 갔습니다.

이틀을, 외가에 온 아이 마냥 그리 지내다 갔습니다.

마을길도 걷고, 산모롱이까지 다녀도 오고,

읍내 나갔다 들어오는 식구를 동구 밖까지 나가 맞아오고,

산골 살림도 손 보태고

그리고 갔습니다.

주원이가 짊어지고 온, 김 포르르 오르던 찰시루떡 한 말을

대학합격 떡이라며 이웃들과 나누고도 연일 잘 먹었지요.

참 마음이 좋았던 사흘이었습니다.

 

김천의 다례모임을 다녀왔습니다.

상설학교가 이어지던 때의 가을학기엔 주마다 한 차례는 다례로 시작했지 싶은데.

두어 달 차모임이 잦지 싶습니다.

곧 인근 초등학교에서는 아이들과 다례모임을 할 예정이라지요.

먼 남도에서는 봄에 다례대회도 있는 모양입니다.

함께 차 마시는 이들이 같이 자리하자 합니다.

거기까지 걸음을 할 수 있으려나 물꼬 일정이 어떨지 아직 모르겠으나

두어 달 한산한 이즈음은 준비하는 손을 보탤 수 있겠다 합니다.

흥청망청 노는 문화 아니니

바빠도 어울리면 좋으리라 하지요.

 

이 무기력함을 어찌하면 좋으냐고

작금의 비상식적인 정치 앞에서 한 후배가 울분을 토했습니다.

“무기력함은 너에게도 나에게도 참으로 심연이다.

굳은 의지로 노력하면 나아갈 수 있다고 말하지만,

그리 노력해보지만,

사는 일이 어디 그러하냐.

어디 정치만 그렇더냐.

아픈 내 몸도 그렇고 얽힌 관계도 그렇고

다 어찌할 수 없다 싶으면 그만 사는 일이 쓸쓸해진다.

뜻대로 되지 않는 일이 생각보다 많다는 걸

살며 더하고 또 더한다.

하지만 어쩔 것이냐.

무력함이 힘이 되는 그날까지 걸어야지,

분명한 건 우리 삶에 무기력하게 앉았을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

자, 걸어보자.

별 수 없기에 걷고 별 수 없으므로 걷고 별 수 없으니 걷고

그게 별 수가 될 날까지 걷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3654 2014. 2.16.해날. 맑음 옥영경 2014-03-11 751
3653 2014. 2.15.흙날. 맑음 옥영경 2014-03-11 729
3652 2014. 2.14.쇠날. 늦은 보름달 옥영경 2014-03-11 685
3651 2014. 2.13.나무날. 실눈 옥영경 2014-03-11 718
3650 2014. 2.12.물날. 맑음 옥영경 2014-02-28 713
3649 2014. 2.11.불날. 맑음 옥영경 2014-02-28 749
3648 2014. 2.10.달날. 실눈 옥영경 2014-02-28 690
3647 2014. 2. 9.해날. 눈 옥영경 2014-02-28 700
3646 2014. 2. 8.흙날. 눈 옥영경 2014-02-28 678
3645 2014. 2. 7.쇠날. 흐리다 저녁부터 눈 옥영경 2014-02-28 692
3644 2014. 2. 6.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4-02-28 759
3643 2014. 2. 5.물날. 흐림 옥영경 2014-02-28 719
3642 2014. 2. 4.불날. 맑음 옥영경 2014-02-28 721
3641 2014. 2. 3.달날. 맑음 옥영경 2014-02-18 691
3640 2014. 2. 1~2.흙~해날. 맑음 옥영경 2014-02-18 727
3639 2014. 1.29~31.물~쇠날. 비 내리고 개고 옥영경 2014-02-18 696
3638 2014. 1.26~28.해~불날. 맑음 옥영경 2014-02-18 714
3637 2014. 1.25.흙날. 비 옥영경 2014-02-18 677
3636 2014. 1.24.쇠날. 맑음 옥영경 2014-02-18 684
3635 2014. 1.2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4-02-18 71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