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1.25.흙날. 비

조회 수 663 추천 수 0 2014.02.18 23:37:18

 

‘AI(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따라 임상관찰 철저와 의심축 발생시 즉시 신고

사육가금류 이도시 시군(시험소)에 신고하여 이동승인서 받아야’

이제 세 마리 밖에 남아있지 않은 닭이어도

축산농가라 분류되어 연일 문자가 들어오고

닭이 별 이상 없는지 확인하는 전화가 날마다 들어옵니다.

지난 18일에는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 AI 관련 역학조사를 벌이던 중

지난 달 AI가 발생한 전북 고창 오리농가 인근의 동림저수지에서

1000여 마리의 가창오리가 죽어있는 것을 발견했다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철새는 닭이나 오리보다 면역력이 강하기 때문에

고병원성 AI에 감염되더라도 떼죽음한 사례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다는데,

만약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매우 강력할 가능성이 커 파장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더니

결국 언론은 그것이 맞다는 결론입니다.

 

그런데, 어떤 언론도 집단폐사 된 천 마리의 오리를 보여주지 않았습니다.

기껏해야 조각배 두 척 띄워 죽은 오리 건져내는 장면이 전부.

10년 전 혹은 그 이전에 비쳐 줄어들었다 해도 10만 마리는 족히 넘을 오리 떼,

저수지 곁의 한 농사꾼이 전하는 소식은 기껏 죽은 오리 가져간 게 80여 마리.

그것도 며칠에 걸쳐.

이것이 집단폐사?

의아합니다.

오리 떼가 AI 발병의 주범이라는 허위과장과 성급한 결론.

이렇게 되면 사육오리의 집단폐사와 AI 확산에 대해 누구도 책임지지 않아도 됩니다.

저들 맘대로 하늘을 날며 갈긴 똥이라니, 불가항력이란 말이지요.

비인간적인 사육방식의 문제도 방역체계의 문제도 대량생산을 필요로 하는 대량소비의 문제도,

이렇게 되면 사람이 책임질 일이 아니게 되는 거지요.

가창오리가 주범이라면 말입니다.

언론이 만드는 무서운 진실들이 자주 이런 식.

여과 없이 그것을 보고 들으며 만들어지는 여론, 무섭습니다.

 

서울입니다.

봄 같다는 대해리,

봄 같은 서울.

저녁 7시 호열샘과 아리샘과 만납니다.

경찰인 호열샘이 전경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하기

혹여 그게 개인의 선택 문제라면 말릴 생각하고.

이 시대가 저 무도했던 80년대 거리랑 다르지 않을 광경이 많아,

그래서 그 거리에서 시위대열을 진압하며 두고두고 그 세월에 고개숙여야했던 이들처럼

혹 우리의 벗이 그런 길을 걷게 될까 우려하여.

일단은 선택이 아니라 하니 두고 볼 일.

생의 많은 일은, 더구나 먹고 사는 일은

자주 우리를 비열하게 하고 상처 입히지요...

 

밤, 강원도 홍천행.

한 이틀 선배의 건축현장에서 목공작업하고 내려갈 참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54 7월 9일 흙날 비, 비 옥영경 2005-07-16 1222
4953 계자 104 닫는 날, 6월 26일 해날 꾸물꾸물 옥영경 2005-07-08 1222
4952 2012. 2.20.달날. 맑음 옥영경 2012-03-04 1221
4951 2012. 2.17.쇠날. 맑음 옥영경 2012-02-24 1221
4950 2011.10.10.달날. 희붐한 하늘 옥영경 2011-10-21 1221
4949 2011. 6.26.달날. 비 옥영경 2011-07-11 1221
4948 2009.10.17.흙날. 변덕 심한 하늘 / 산오름 옥영경 2009-11-04 1221
4947 2008. 2.11.달날. 흐릿 옥영경 2008-03-05 1221
4946 11월 27일 흙날 맑음, 밥알 반짝모임 옥영경 2004-12-03 1221
4945 9월 24일 쇠날 맑음, 령이의 통장 옥영경 2004-09-28 1221
4944 152 계자 닫는 날, 2012. 8. 3.쇠날. 맑음 옥영경 2012-08-05 1220
4943 2011.10.12.물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11-10-21 1220
4942 2011. 7.14.나무날. 오거니가거니 하는 빗속 구름 뚫고 또 나온 달 옥영경 2011-08-01 1220
4941 2011. 4.13.물날. 맑음 옥영경 2011-04-23 1220
4940 2011. 1.26.물날. 맑음 옥영경 2011-02-05 1220
4939 2010. 8.22.해날. 오늘도 무지 더웠다 / 영화 <너를 보내는 숲> 옥영경 2010-09-07 1220
4938 2007. 5.18.쇠날. 맑다가 빗방울 옥영경 2007-06-03 1220
4937 2007. 2.14.물날. 맑되 거친 바람 옥영경 2007-02-16 1220
4936 2006.5.4.나무날 / 잡지 '민들레', 정정·반론보도문을 내기로 하다 옥영경 2006-05-11 1220
4935 2006.2.25.흙날. 흐리다 빗방울 / 풍물특강 사흘째 옥영경 2006-02-28 122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