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 다시 올라 아침 영상 1도.

며칠 흐리더니 저녁부터 눈.

 

가마솥방 연통을 또 샀습니다.

벌써 이번 겨울만 세 번째입니다.

기울기에 한계가 있어 거의 수평,

그러니 고인 물이 잘 빠지지 않을 테고,

그러니 녹이 슬고,

그러니 구멍 나고,

그러다 한 순간 내려앉을 것.

그러기 전 갈아주려고.

그래요, 내려앉기 전에 갈아주는, 딱 한 발만 빠르면 되는 일들이

사는 일에 얼마나 부지기수인지.

그래요, 딱 한 발만, 아니 아니 반보만 빠르기!

 

물꼬로 오는 메일 혹은 편지, 혹은 문자, 또는 음성메시지는

물꼬가 세상을 들여다보거나 이해하거나 느끼거나 하는 기재들.

오늘은 논두렁이고 학부모이고 벗인 한 샘의 메일을 읽습니다.

여느 연초가 그러하듯 사건사고들이 있었던 1월이 있었고

이리저리 궁리 거듭하다 2월이 되었다는 소식은

나이 마흔 대에 아직도 이러고 산다 가벼운 한탄과 함께 닿았습니다.

 

‘문제는요,

사건사고 자체보다

사물과 사람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방법의 차이 때문이었다고 말하는 게 맞지 싶어요.

같은 상황에 대해서도 나의 판단과 다른 사람들의 그것이

우리가 정말 같은 장면을 본 것이 맞을까 싶게 다르다는 것,

당연히 그로 인해 느끼는 감정과 파장 또한 그러하다는 것이

현실에서 막강하게 다른 결과를 가져와 버린 거예요.’

자식을 키우며 끊임없이 걸리는 것들이 결국 자신의 문제로 귀결되고 마는,

그래서 결국 자식을 키우는 일도 자신의 그릇과 싸우는 날들이 된다고도

말할 수 있는 이야기들.

 

‘옥샘...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하는 거라는 말을 되뇌이며

셀프로 위로하는 날이 있어요.

하지만,

일관되게 취약한 지점을 갖고 있는 것 같아

스스로가 지겨운 날도 있어요.

 

그런 어느 날.

보내요.’

 

예, 저 역시 그런 날, 받습니다요, 그대의 글월.

그대 이야기는 내 이야기,

그래서 외롭지 않은 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614 계자 세쨋날 1월 7일 옥영경 2004-01-08 2143
6613 계자 네쨋날 1월 8일 옥영경 2004-01-09 2137
6612 운동장이 평평해졌어요 옥영경 2004-01-09 2222
6611 계자 다섯쨋날 1월 9일 옥영경 2004-01-10 2294
6610 계자 여섯쨋날 1월 10일 옥영경 2004-01-11 2263
6609 성현미샘 옥영경 2004-01-11 2572
6608 계자 일곱쨋날 1월 11일 옥영경 2004-01-12 2191
6607 계자 여덟쨋날 1월 12일 달날 옥영경 2004-01-13 1861
6606 계자 아홉쨋날 1월 13일 불날 옥영경 2004-01-15 1815
6605 계자 열쨋날 1월 14일 물날 옥영경 2004-01-16 2324
6604 계자 열 하루째 1월 15일 나무날 옥영경 2004-01-16 2201
6603 계자 열 이틀째 1월 16일 쇠날 옥영경 2004-01-17 2365
6602 계자 열 사흘째 1월 17일 흙날 옥영경 2004-01-28 1822
6601 계자 열 나흘째 1월 18일 해날 눈싸라기 옥영경 2004-01-28 1938
6600 38 계자 갈무리날 옥영경 2004-01-28 1688
6599 새해, 앉은 자리가 아랫목 같으소서 옥영경 2004-01-28 1823
6598 푸른누리 다녀오다 옥영경 2004-01-29 2600
6597 눈비산마을 가다 옥영경 2004-01-29 2389
6596 39 계자 첫날 1월 26일 달날 옥영경 2004-01-29 1809
6595 39 계자 이틀째 1월 27일 불날 옥영경 2004-01-30 207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