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0] 모임 ‘섬’을 시작합니다!

조회 수 1311 추천 수 0 2014.04.24 02:43:20



○ 때: 2014년 5월 10일 흙날 낮 2시~5시

○ 곳: 지하철 3호선 안국역(구체적인 공간은 다시 전하기로)

○ 뉘: 중고생 대학일반 누구나 열 댓

○ 참가비: 찻값

○ 책: <왜 세상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장 지글러/갈라파고스)

○ 진행: 김아리

○ 5월의 축: 백서현 이철욱 공연규, 그리고 새끼일꾼 이재호와 류가온


5월부터 달에 한 차례 서울에서 공부모임이 있습니다.

흔히 대학시절 동료들끼리 모여

‘세미나’(‘댓거리’라고 우리말로 이름 붙이기도 한)라 부르며 책 읽고 토론하던 그런 모임.

지난 2월 빈들모임에서 처음 제안되고

4월 빈들모임에서 대략의 선이 잡혔습니다.


‘섬’이라 일컫기로 합니다.

스스로 선다, 스스로 세운다, 먼저 서서 다른 이의 섬도 도운다, 그런 의미.

당연히 바다에 떠있는 섬을 뜻하기도 합니다.

인문학독서모임, 생각하기모임이지요.

(여름과 겨울 계자가 있는 1월과 8월은 어렵겠지요.)


아래는 모임 ‘섬’의 이장 역 아리샘이

지난 2월 빈들모임에서 썼던 갈무리 글의 일부를 옮긴 것입니다.


‘...나는 물꼬가 내적으로 더 단단해지고, 우리 스스로가 혹은 우리를 보는 밖의 누군가가 이 공간에 대한 믿음과 자부심을 갖는 데는 물꼬를 채우는 우리가 참 좋은 사람-된사람이 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남에게 내세우기 위한 인문학 공부가 아니라(토론에서 이기기 위함이 아니라) 자기 수련과 명상의 연장선으로 스스로 공부하기를 바란다.

그리고 이 분위기가 우리 품앗이, 새끼일꾼들에게도 이어지기를 바란다.

이 공간의 유쾌함과 흥이 그저 공중에 붕 떠있는 것이 아니라, 뭔가 단단한 지면에서 솟아오른 느낌이길 바란다.

인문학모임은 ‘자유학교물꼬를 준비하는 모임’에 대한 향수일수도 있고 그저 한 살 한 살 나이 먹어가는 어른의 요즘 젊은이들에 대한 노파심일수도 있다.

하지만 뭔가를 지속할 수 있는 저력은 스스로를 설득할 수 있는 자기 소양, 그릇의 크기인 것 같다.

함께 성장하는 장을 만들고 싶다.

그리고 이런 의미에서 ‘어른의 학교’-어른 계자가 이러한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한다.

나는 ‘어른의 학교’를 마치고 돌아가는 어른들의 마음이 더 가벼워지고 더 행복해지기를 바라기도 하지만 뭔가 세상에 대해, 그리고 도시에서의 일상 속에서 놓치고 있는 고민거리를 받아가기를 바라는 마음도 있다.

물꼬가 지금 이 시대에, 이곳에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이미 낡았다고 말하는 문제들을 끊임없이 환기시키고 함께 고민하고, 그래서 좀 다르게 살아보자고 말하기 위함이 아닐까... 너무 진지한가?

진지함이 진부함과 어색함이 된 요즘에 물꼬니까 이러한 것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한해가 되었으면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후원] 논두렁에 콩 심는 사람들 [13] 관리자 2009-06-27 35712
공지 긴 글 · 1 - 책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한울림, 2019) file 물꼬 2019-10-01 19004
공지 [긴 글] 책 <모든 사람의 인생에는 저마다의 안나푸르나가 있다>(옥영경/도서출판 공명, 2020) file 물꼬 2020-06-01 17090
공지 [펌] 산 속 교사, 히말라야 산군 가장 높은 곳을 오르다 image 물꼬 2020-06-08 16570
공지 [8.12] 신간 <다시 학교를 읽다>(한울림, 2021) 물꼬 2021-07-31 16443
공지 2020학년도부터 활동한 사진은... 물꼬 2022-04-13 16098
공지 물꼬 머물기(물꼬 stay)’와 ‘집중수행’을 가릅니다 물꼬 2022-04-14 16120
공지 2022 세종도서(옛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다시 학교를 읽다>(옥영경 / 한울림, 2021) 물꼬 2022-09-30 15052
공지 [12.27] 신간 《납작하지 않은 세상, 자유롭거나 불편하거나》 (한울림, 2022) 물꼬 2022-12-30 13285
공지 2024학년도 한해살이;학사일정 (2024.3 ~ 2025.2) 물꼬 2024-02-12 5390
926 2021학년도 한해살이(2021.3 ~ 2022.2) 물꼬 2021-03-08 4714
925 모바일에서 물꼬 사진 보는 법 관리자 2020-01-21 4714
924 지방에서 계절학교 참가하시는 분들께 자유학교 물꼬 2004-07-13 4689
923 2003 봄, 서른 다섯 번째 계절 자유학교 안내 자유학교 물꼬 2003-04-04 4675
922 충남대학교 사범대학과 ‘교육·연구 협력학교 협약’ 체결(6/29) 물꼬 2012-07-17 4483
921 2006 여름, 계절 자유학교 안내 file 신상범 2006-06-15 4467
920 2007 겨울, 계절자유학교 일정 안내 file 자유학교물꼬 2007-11-25 4377
919 2003 봄, 서른다섯번째 계절자유학교 마감. 자유학교물꼬 2003-04-12 4354
918 2003 가을, 서른 일곱 번째 계절 자유학교 안내 file 신상범 2003-09-03 4334
917 2002 겨울, 두 번째 새끼일꾼 계절학교 file 자유학교물꼬 2003-02-17 4305
916 방문자를 받습니다. 신상범 2004-07-02 4274
915 2019학년도 한해살이(2019. 3~2020. 2) file 물꼬 2019-03-09 4272
914 중학교 입학 고민, 추풍령 중학교를 권합니다! [1] 물꼬 2018-06-01 4235
913 새끼일꾼 계절학교에 대해서... 자유학교물꼬 2003-02-12 4164
912 165 계자 마감 물꼬 2020-01-06 4153
911 손님 맞는 날 안내 자유학교 물꼬 2003-03-31 4126
910 2012학년도 한해살이(2012.3~2013.2) file 물꼬 2012-03-02 4084
909 손님 맞는 날에 대해... 신상범 2003-05-18 4084
908 149 계자 사진 올렸습니다. 그리고... 물꼬 2012-02-02 4060
907 2005학년 여름 계절학교 일정 안내 file 자유학교 물꼬 2005-06-29 400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