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준 책을 읽고 있다는 문자 한 줄.

읽다가 건네준 책을 맛있게 읽고 있다는.

그 말은 네 생각한다는 말의 변주일 것.

사람사이 마음 오가는 일이 별거이겠는지요.

그런 겁니다.


아침, 달골에 할미꽃 하나 옮겨 심습니다.

이렇게 나날을 또 삽니다.

달래 무슨 수가 있겠는지.

열흘이 다 되도록 세월호에서는 아무도 아무도 살아오지 못했고

아직 주검도 다 거두지 못했습니다.

오늘 세월호 수색작업은 마지막 분수령이 될 거라지요.


본관 꽃밭에 나무 사이 묻혀있던 솟대를

운동장의 소도 안으로 옮겼습니다.

구덩이를 파고, 거기 대나무 통을 하나 꽂고

그 사이로 지줏대를 넣고 묻었지요.

비로소 하늘과 땅을 잇는 ‘소도’가 된.

큰 해우소 앞 태양등도 다시 자리 잡아주고.

밖에 나가니 밖에서 보이는 일에 매달리다 들어오는 교무실.

오전이 또 성큼입니다.

밥상을 차리러 나갈 시간.

5월 일정들도 그렇게 빡빡하게 잡혀있습니다.

바깥 수업들까지.

이렇게 살다가는구나,

허망하게 사라질 목숨을 잡고 우리 이리 살다 가는구나 싶은.


오후에는 하늘 흐려지더니

그리 무거워보이지도 않았는데 빗방울 몇 떨어졌습니다.

저녁엔 지역모임 하나를 나가며

돌단풍을 좀 나누었습니다.


오늘도 애쓰셨습니다.

참혹한 시절을 건너가도 여전히 삶은 계속되고...

허망한 사람살이이나 정성스럽게 살아야겠단 생각.

안녕히 주무십시오. 사랑하는 그대들이 그립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794 2019. 4.11.나무날. 갬 옥영경 2019-05-12 783
1793 2019. 4.12.쇠날. 맑음 / 인천의 빈소, 그리고 그대에게 옥영경 2019-05-12 805
1792 2019. 4.13.흙날. 맑음 옥영경 2019-05-12 819
1791 2019. 4.14.해날. 빗방울 지난 정오 옥영경 2019-05-12 816
1790 2019. 4.15.달날. 맑음 옥영경 2019-05-12 840
1789 2019. 4.16.불날. 맑음 / 세월호 5주기 옥영경 2019-05-12 900
1788 2019. 4.17.물날. 맑음 옥영경 2019-05-12 814
1787 2019. 4.18.나무날. 조금 흐린 오후 / 그대에게 옥영경 2019-05-12 1298
1786 4월 물꼬stay 여는 날, 2019. 4.19.쇠날. 흐림 옥영경 2019-05-12 919
1785 4월 물꼬stay 이튿날, 2019. 4.20.흙날. 맑음 옥영경 2019-05-20 914
1784 4월 물꼬stay 닫는 날, 2019. 4.21.해날. 맑음 옥영경 2019-05-20 17971
1783 2019. 4.22.달날. 맑음 옥영경 2019-07-04 830
1782 2019. 4.23.불날. 흐리다 낮 3시 넘어가며 빗방울 옥영경 2019-07-04 862
1781 2019. 4.24.물날. 비 오락가락, 그리고 긴 세우(細雨) / 간장집 처마 기둥 옥영경 2019-07-04 995
1780 2019. 4.25.나무날. 비 오다가다 / 다시 짓는 가스네 집 옥영경 2019-07-04 820
1779 2019. 4.26.쇠날. 흐리다 빗방울 옥영경 2019-07-04 833
1778 빈들모임 여는 날, 2019. 4.27.흙날. 맑음, 닷새 만에 보는 해인가 옥영경 2019-07-04 815
1777 빈들모임 닫는 날, 2019. 4.28.해날. 흐림 옥영경 2019-07-04 812
1776 2019. 4.29.달날. 비 / 제도학교의 물꼬 나들이 협의 옥영경 2019-07-04 851
1775 2019. 4.30.불날. 갬 옥영경 2019-07-04 86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