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준 책을 읽고 있다는 문자 한 줄.

읽다가 건네준 책을 맛있게 읽고 있다는.

그 말은 네 생각한다는 말의 변주일 것.

사람사이 마음 오가는 일이 별거이겠는지요.

그런 겁니다.


아침, 달골에 할미꽃 하나 옮겨 심습니다.

이렇게 나날을 또 삽니다.

달래 무슨 수가 있겠는지.

열흘이 다 되도록 세월호에서는 아무도 아무도 살아오지 못했고

아직 주검도 다 거두지 못했습니다.

오늘 세월호 수색작업은 마지막 분수령이 될 거라지요.


본관 꽃밭에 나무 사이 묻혀있던 솟대를

운동장의 소도 안으로 옮겼습니다.

구덩이를 파고, 거기 대나무 통을 하나 꽂고

그 사이로 지줏대를 넣고 묻었지요.

비로소 하늘과 땅을 잇는 ‘소도’가 된.

큰 해우소 앞 태양등도 다시 자리 잡아주고.

밖에 나가니 밖에서 보이는 일에 매달리다 들어오는 교무실.

오전이 또 성큼입니다.

밥상을 차리러 나갈 시간.

5월 일정들도 그렇게 빡빡하게 잡혀있습니다.

바깥 수업들까지.

이렇게 살다가는구나,

허망하게 사라질 목숨을 잡고 우리 이리 살다 가는구나 싶은.


오후에는 하늘 흐려지더니

그리 무거워보이지도 않았는데 빗방울 몇 떨어졌습니다.

저녁엔 지역모임 하나를 나가며

돌단풍을 좀 나누었습니다.


오늘도 애쓰셨습니다.

참혹한 시절을 건너가도 여전히 삶은 계속되고...

허망한 사람살이이나 정성스럽게 살아야겠단 생각.

안녕히 주무십시오. 사랑하는 그대들이 그립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3746 2012.10. 7.해날. 맑음 옥영경 2012-10-24 998
3745 2011. 2. 6.해날. 눈이 오려나 옥영경 2011-02-23 998
3744 2010. 1. 1.쇠날. 밤사이 또 눈 옥영경 2010-01-04 998
3743 2009.11. 4.물날. 흐릿한 하늘 옥영경 2009-11-18 998
3742 2009. 9.12.흙날. 맑음 옥영경 2009-09-18 998
3741 163 계자 나흗날, 2017. 1.11.물날. 맑음 / 네가 그러하니 나도 그러하다 옥영경 2017-01-13 997
3740 2013. 5. 1.물날. 먹구름 밀고 당기고 옥영경 2013-05-08 997
3739 2010.11. 4.나무날. 맑음 / 가을 단식 나흘째 옥영경 2010-11-16 997
3738 2010. 9.21.불날. 늦더위 2010-10-05 997
3737 2010. 8.23.달날. 비 온다더니 소나기 아주 잠깐 옥영경 2010-09-07 997
3736 2017. 8.13~19.해~흙. 비 오는 날도 있었고 / 한 대안학교에서 보낸 계절학교 옥영경 2017-09-01 996
3735 2012. 8.31.쇠날. 비 옥영경 2012-09-11 996
3734 2010. 1.16.흙날. 맑음 옥영경 2010-02-02 996
3733 2006. 9.24.해날. 맑음 옥영경 2006-09-27 996
3732 2019 연어의 날 여는 날; 꽃봉오리, 2019. 6.22.흙날. 맑음 옥영경 2019-08-12 995
3731 2017.12.20.물날. 푹하기도 하지 /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순간을 꼽으라면 옥영경 2018-01-17 995
3730 예비 실타래학교 이튿날, 2013. 1.15.불날. 맑음 옥영경 2013-02-01 995
3729 2010. 6.30.물날. 빗방울 잠깐 옥영경 2010-07-14 995
3728 2010. 3.22.달날. 우박 떨어지는 저녁 옥영경 2010-04-06 995
3727 2012.12.18.불날. 맑음 옥영경 2012-12-28 99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