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4.25.쇠날. 맑음

조회 수 709 추천 수 0 2014.05.23 00:23:25


28도였다구요?

그러나 아침엔 추웠는 걸요.

진도 앞바다, 그 바다 속은 어땠을지..


NPO법인 오이타현 그린투어리즘 연구회의 미야타 세이치 회장님이

영동에 오셨습니다.

농가민박마을 아지무정,

오지에서 할 수 있는, 그러니까 우리 있는 곳에서 할 수 있는 바로 그걸 하고 있다는.

마을을 살리고

살린 마을이 도시 사람들을 살린.

품질유지와 지속가능하기 위한 그들의 세 가지 약속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실패와 어려운 점을 공유하자.

절대 험담을 하지 말자.

제대로 공부하고 일류로 배우자.

얘기 중 교육공무원의 정신적 질병이 쉬지 않아 그렇더라는 통계를 언급했는데,

그들이 다녀가며 교육에도 작은 변화들이 일렁였겠다는 짐작.

물꼬의 역할이 더 넓어지겠단 생각도.

즐거운 만남이었지요.


충남대 사대랑 6월 일정을 잡고 있습니다.

아마도 6월 빈들모임을 앞두고, 마침 기말고사도 끝난 시점,

손발 보태면 큰 힘일 테지요.

5월에는 부산대 사대랑

8월에는 한국교원대랑 이어지겠습니다.

교사가 되려는 이들의 좋은 훈련의 장이고 있지요,

아이들의 학교이면서 어른의 학교라는 표어대로.

제도학교를 측면 지원하는 역을 열심히 하고 있답니다.


많은 이들이 이름은 한 번쯤 들어보았고,

동시에 그 내용을 제대로 알지는 못한 채 오해하고 있다면,

그 책은 고전일 가능성이 높다던가요.

르네 지라르의 <희생양>도 그런 책 하나라는.

수많은 신화에서 한 가지 공통 요소를 뽑아내는데,

하나의 희생물을 폭력과 죽음 앞에 노출시킴으로써

다른 잠재적인 희생양들의 안위를 일시적으로나마 지켜내더라고.

아주 먼 고대로부터 하나의 희생물을 바침으로써

모두의 결속과 안위를 도모하는 일은

언제나 있었고, 지금도 종종 반복됩니다.

그런데, 그걸 확인해서 뭘?

사실 새삼스러운가, 그렇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 인문학자는 어떻게든 해답을 찾으려 노력합니다,

인류가 부단한 노력을 통해 그로부터 벗어나고 있다고 강변하며.

물론 예수가 그 한 예였다며 지나치게 기독교 중심적 해석을 깔지만.

인문학의 역할은 문제를 보고 알아차리고 개탄하는 것에서 그치는 게 아니다마다요.

어떻게든 그것과 싸워내기 위해 함께 고민하는 과정.

물꼬의 ‘섬모임’도 그런 것.

우리는 아는 걸 넘어 움직이려지요, 각자의 삶터에서.

그러자고 모여 보는 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3734 158계자 사흗날, 2014. 8. 12.불날. 맑음 옥영경 2014-08-15 997
3733 2012.10. 7.해날. 맑음 옥영경 2012-10-24 997
3732 2012. 7. 5.나무날. 비 내리는 고속도로 옥영경 2012-07-19 997
3731 2012. 6.22.쇠날. 맑음 옥영경 2012-07-02 997
3730 2010.11. 4.나무날. 맑음 / 가을 단식 나흘째 옥영경 2010-11-16 997
3729 2010. 8.23.달날. 비 온다더니 소나기 아주 잠깐 옥영경 2010-09-07 997
3728 2010. 1. 1.쇠날. 밤사이 또 눈 옥영경 2010-01-04 997
3727 2009. 9.12.흙날. 맑음 옥영경 2009-09-18 997
3726 2013. 5. 1.물날. 먹구름 밀고 당기고 옥영경 2013-05-08 996
3725 2012. 8.31.쇠날. 비 옥영경 2012-09-11 996
3724 2010. 9.21.불날. 늦더위 2010-10-05 996
3723 2010. 1.16.흙날. 맑음 옥영경 2010-02-02 996
3722 예비 실타래학교 이튿날, 2013. 1.15.불날. 맑음 옥영경 2013-02-01 995
3721 2010. 6.30.물날. 빗방울 잠깐 옥영경 2010-07-14 995
3720 2012.12.18.불날. 맑음 옥영경 2012-12-28 994
3719 2010. 6. 6.해날. 무더위 옥영경 2010-06-12 994
3718 2010. 3.22.달날. 우박 떨어지는 저녁 옥영경 2010-04-06 994
3717 2010. 2.15.달날. 맑음 옥영경 2010-02-27 994
3716 2012. 5.21.달날. 맑음 옥영경 2012-06-02 993
3715 2010. 8.20.쇠날. 소나기 옥영경 2010-08-30 99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