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4.29.불날. 비 내리다 갬

조회 수 700 추천 수 0 2014.05.28 11:28:02


단비가 창대비로 내리느라 밤새 뒤척였던 지난 밤.

어떻게 이렇게 허망할 수가 있나,

이토록이나 재난상황에 대한 대비가 허술하다니,

어떻게 단 하나를 못 구했대니...

세월호은 그렇게 우리를 흔들며 진도 앞바다에 잠겨서

무성한 뒷말을 남기고,

무수한 의혹을 달고,

그리고 애타는 마음과 분노를 안기고,

한 세월 이리 지나고 있습니다.


해마다 따로 신청할 것 없이

정히 마을 안에서 구하지 못하면 이웃에서

혹은 읍내를 나가서 사오기도 하던 고추모종입니다.

이왕이면 마을에 들어오는 차량 편에,

늘 여분을 실어오고 있으니 사자 했는데,

어째 올해는 모종이 귀했다나요.

하기야 지난해에도 김천에서 들어오는 차량을 놓쳐

이웃 상자형님네가 황간에서 모종을 사다 주기도 하셨더랬네요.

에고 올해는 읍내서 들여와야겠네,

하던 참에 이장님이 고추모종 구해놓으셨다는 전갈.

“모종 옆에 비료포대 있어. 가지모랑 오이모도 몇 개씩 챙겨놨어.”

덤으로 텃밭작물들도 몇 포기.


4월이면 아이들이 조금씩 버석거리기 시작합니다.

봄바람이 이는 게지요.

마음 다 잡고 시작한 학교생활이 중간고사를 정점으로 한번 찍고

조금씩 지리해지기 시작해

5월이면 슬슬 탈선의 조짐들로 나타나기도 하고...

그리하여 이맘때부터 들어오는 아이들의 구원요청들.

게다 이번 세월호 침물로 중학교 아이들 사이에선 그런 괴담도 있다나요,

어른들이 죽더니 대학생들이 사고 나고 이번에는 고등학생,

다음은 우리 차례라는.

세월호의 시간동안 정말 우리 아이들은 무슨 생각들을 할까요.

오늘도 한 아이의 하소연을 듣습니다.

그래도 다행인 건 아무 소리 없이 저 혼자 앓다 사라지지 않고

이렇게 표현하는 건 건강한 일.

제발 아희들아, ‘말’하려무나...

1

박2일의 농사교육; 웰빙쌈채소

모여 정보를 교환하고 혹은 농사 길을 찾는 연대의 장.

학생장을 맡아 전체 토론회를 주관하고,

난상토론 수습.

사람살이 단순하나 사람들 그 속내들이 얼마나 갖가지인지 새삼스런.

아이들은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아야 할 것인데,

갈수록 하나의 표정만을 짓는 것만 같은...

아히들아, ‘살아’움직이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598 39 계자 사흘째 1월 28일 옥영경 2004-01-30 1786
6597 39 계자 나흘째 1월 29일 옥영경 2004-01-31 2051
6596 39 계자 닷새째 1월 30일 옥영경 2004-02-01 2060
6595 39 계자 엿새째 1월 31일 옥영경 2004-02-01 2030
6594 물꼬 홈페이지를 위해 오셨던 분들 옥영경 2004-02-02 1593
6593 39 계자 이레째 2월 1일 옥영경 2004-02-02 1793
6592 39 계자 여드레째 2월 2일 옥영경 2004-02-03 1822
6591 39 계자 아흐레째 2월 3일 옥영경 2004-02-04 2045
6590 39 계자 열흘째 2월 4일 옥영경 2004-02-05 1897
6589 계자 39 열 하루째 2월 5일 옥영경 2004-02-07 1820
6588 계자 39 열 이틀째 2월 6일 옥영경 2004-02-07 1763
6587 39 계자 열 사흘째 2월 7일 옥영경 2004-02-08 1762
6586 자유학교 물꼬 2004학년도 입학 절차 2차 과정 - 가족 들살이 신상범 2004-02-10 2152
6585 39 계자 열 나흘째 2월 8일 옥영경 2004-02-11 2094
6584 39 계자 마지막 날 2월 9일 옥영경 2004-02-12 1700
6583 2월 9-10일 옥영경 2004-02-12 2137
6582 '밥 끊기'를 앞둔 공동체 식구들 옥영경 2004-02-12 2264
6581 가족 들살이 하다 옥영경 2004-02-20 1850
6580 품앗이 여은주샘 옥영경 2004-02-20 2101
6579 불쑥 찾아온 두 가정 2월 19일 옥영경 2004-02-20 201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