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5. 5.달날. 구름 좀

조회 수 668 추천 수 0 2014.05.31 01:07:34


고구마를 심었습니다.

날이 쌀쌀합니다.

묵언수행.

모험을 찾아 나선 이들처럼 산을 들어가

바위를 오르기도 하고 없는 길을 걷기도 하고

그러다 죽은자들의 집을 만나 쉬기도 하고

고사리도 꺾고

죽음과 삶과 흙과 돌과 나무 사이를 유영한 한 때.


선배가 가족들과 다녀갔습니다.

수행 들어가 있던 시간이라

소사아저씨가 맞고 안내도 하였지요.

“그런데요, 이거요...”

소사아저씨가 내미는 돈.

막걸리 한 잔 하시라며 선배가 건네고 가셨다는.

참내...

책상은 자꾸 늦어진다네요.

지난 해 가을 학술제를 다녀가며

가마솥방 낡은 책상을 가구하는 친구에게 부탁해서 꼭 챙겨 보낸다셨던.


한 아이가 보내온 글을 읽습니다.


...

지금도 습관처럼 한숨을 쉬고 눈물이 나요.

근데 이 눈물도 제가 감히 흘릴 수 있을까요.

봄 햇살은 따뜻하기만 하고 제 일상은 아무렇지가 않아요.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라는 질문을 마주할 때면

날카롭고 분석적인 기사도, 청계광장에 앉아있는 사람들도 와 닿지가 않아요.

친구들과 청계광장에 나가서 우리의 뜻을 알리고 사람들과 마음을 모아도

자꾸만 무기력해져요.

마치 아무 일도 없던 것처럼 이 일을 잊게 될까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잊지 않는 것 뿐인데.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저 스스로 알아야 하는 거 알아요.

그냥 선생님 얼굴이 생각이 나서요. 이렇게 글 남기고 가요.


그리고 몇 줄의 답글을 건넨.


‘햇살은 따뜻하기만 하고 제 일상은 아무렇지가 않아요...’

먹먹하다.

그래, 얘야, 그렇다, 이 봄, 여전히 참 눈부시다.

할 말이 없다, 참 없다.

달래 길도 없다, 애써서 살아야지. 생각 있는 사람들이 뭔가를 해야지.

그래, 그래, 보고 싶다. 우리 아이들이 참 보고 싶다.

서로가 잘 있어주는 것이 서로에게 힘이더라.

잘 지내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934 2013. 7. 7.해날. 안개에서 드러나는 마을 옥영경 2013-07-26 682
1933 2017.11.22.물날. 흐림 / 위탁교육 사흘째 옥영경 2018-01-09 681
1932 2016. 3.2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6-04-08 681
1931 2015. 3.12.나무날. 오후, 비는 그었으나 아직 흐린 옥영경 2015-04-16 681
1930 2014.10.28.불날. 맑음 옥영경 2014-11-01 681
1929 2014 여름 청계 닫는 날, 2014. 8.17.해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4-09-08 681
1928 2017.11.23.나무날. 첫눈 / 짜증을 건너는 법 옥영경 2018-01-09 680
1927 2016. 8.19.쇠날. 맑음, 달 좀 봐! 옥영경 2016-09-08 680
1926 2016. 8. 4.나무날. 뫼르소의 태양 옥영경 2016-08-10 680
1925 2016. 7.17.해날. 갬 옥영경 2016-08-06 680
1924 2016. 6. 9.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6-07-06 680
1923 2015. 7. 7.불날. 비 옥영경 2015-07-31 680
1922 2월 빈들 여는 날, 2015. 2.27.쇠날. 맑음 옥영경 2015-03-20 680
1921 2014.10. 9.나무날. 볕 좋은 옥영경 2014-10-28 680
1920 2014.10. 4.흙날. 가끔 구름 옥영경 2014-10-28 680
1919 2014. 6.23.달날. 소나기 옥영경 2014-07-10 680
1918 2013.12.12.나무날. 갰다가 다시 흐리며 눈비 옥영경 2013-12-27 680
1917 164 계자 닫는날, 2019. 8. 9.쇠날. 맑음 / 빛나는 기억이 우리를 밀고 간다 옥영경 2019-09-11 679
1916 2016. 6.23.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6-07-16 679
1915 2016. 6.20.달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6-07-16 67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