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 밟고 떠난 밤손님처럼 새벽비 다녀가고 흐린 아침,

그리고 오전에도 오후에도 다녀간 소나기.


아침마다 네잎 토끼풀을 찾고 말립니다.

예비교사연수에 선물로 쓸.

젊은 친구들의 앞날에 대한 축복쯤 되겠습니다.

달골 마당 둘레 돌보고,

쓰레기를 내리고,

닭장 안을 청소하니 하루해가 졌습니다.


이튿날. 더웠네요.

연일 30도를 넘고 있습니다.

달골 가로막 완성.

이웃의 건축현장에 가서 홀로 작업하고 왔습니다.

사람들 일 마치고 비운 현장에서.

웬만한 도구들이 다 있으니까.


이른 아침에는 읍내 장에도 다녀왔습니다, 소사아저씨와, 장날이라고.

병아리 다섯 마리 실어왔지요.

올해는 물꼬에서 병아리가 태어나지 못했더랍니다.

토종 세 마리 육계 두 마리.


바깥수업을 다녀오니

면소재지에서며 사람들이 다녀가고.


커피가 왔습니다.

집담상담을 했던 이가 보냈습니다.

당신의 치유만도 고마운데, 이렇게 인사가 또 고맙습니다.


감성에 대한 책 하나.

사람이 모든 감성을 다 표현하며 살지는 않지요.

못하지요.

그런데, 우리의 감성이 역사와 문화권에 따라 끊임없이 통제돼 왔다고.

감성은 타고난 천성이나 기질이 아니라

문화와 교육을 통해 습득되는 하나의 능력이라는.

결국 사회화의 산물이라는.

조선시대는 윤리와 예절의 이름으로,

냉전시대 반공의 이념으로 하는 식으로.

특정 감성은 체제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데 이용되었다는.

가령 불안.

불안은 무한경쟁의 신자유주의 체제를 지탱해주는 핵심 감정.

국가는 더 이상 안정장치가 아니고

하여 신자유주의 시대의 사람들은 위험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보험상품을 구매하고,

기업들은 그 불안을 부채질하며 이들을 판매하고,

위험과 불안에서 벗어나게 해줄 물신들이 사람들을 유혹하고...

네 감성이 너만 만든 게 아냐, 그거 똑바로 보고 깨어있기,

그쯤의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3754 2014. 6.13.쇠날. 잠깐씩 구름 지나다 비 뿌리는 오후 옥영경 2014-07-04 681
3753 2014. 6.12.나무날. 천둥 번개 그리고 소나기 옥영경 2014-07-04 735
3752 2014. 6.11.물날. 소나기 옥영경 2014-07-03 784
3751 2014. 6.10.불날. 종일 흐린 속에 비 몇 방울 지나고 밤 깊어 빗줄기 제법 굵다 옥영경 2014-07-03 698
3750 2014. 6. 9.달날. 소나기방울 옥영경 2014-07-03 759
3749 2014. 6. 8.해날. 안개 뚫고 와서 갠 옥영경 2014-06-24 764
3748 2014. 6. 7.흙날. 맑음 옥영경 2014-06-24 677
3747 2014. 6. 6.쇠날. 흐리다고 하기엔 맑은 옥영경 2014-06-24 712
3746 2014. 6. 5.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4-06-24 679
3745 2014. 6. 4.물날. 흐리다 빗방울 옥영경 2014-06-24 690
3744 2014. 6. 3.불날. 흐리고 비 옥영경 2014-06-24 724
3743 2014. 6. 2.달날. 비 몇 방울 옥영경 2014-06-24 694
3742 2014. 6. 1.해날. 빗방울 옥영경 2014-06-24 678
3741 부산대 사범대 국어교육과 예비교사연수(5.31), 갈무리글 옥영경 2014-06-13 1054
3740 2014. 5.31.흙날. 맑음 / 예비교사연수 옥영경 2014-06-13 704
3739 2014. 5.30.쇠날. 맑음 옥영경 2014-06-13 683
» 2014. 5.28~29.물~나무날. 이슬 밟고 떠난 밤손님처럼 새벽비 옥영경 2014-06-13 698
3737 2014. 5.27.불날. 아침 비 내린 뒤 갠 하늘, 그리고 바람 옥영경 2014-06-13 734
3736 2014. 5.26.달날. 갠 하늘로 바람 거세게 휘돌고 옥영경 2014-06-13 672
3735 어른 계자 닫는 날, 그리고 갈무리글, 2014. 5.25.해날. 오후 비 옥영경 2014-06-13 77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