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6.20.쇠날. 맑음

조회 수 667 추천 수 0 2014.07.04 14:39:07


아침, 어제 들어왔던 벗과 아이가 마늘 수확을 도왔습니다.

이번 주 위탁교육 끝날.

여느 주라면 달날 시작해서 흙날이 마지막일 것을

이번 주엔 해날을 시작으로.


오후, 아이와 함께 서울행.

내일의 섬모임에 맞춰 짜진 일정이랍니다.

우리는 쉬지 않고 달렸고, 아이는 네 시간 내리 잠을 잤습니다,

그간의 피로이거나 가는 날들에 대한 부담이거나.

마음이 짠해졌지요.

여기서 지내는 것도(게임도 못하고 tv도, 고기도 없고 일도 해야 하지만) 괜찮겠다는 아이의 말이

다 산 사람의 마지막 말처럼 쓸쓸도 하여,

도시로 보내는 것이, 자신의 일상으로 다시 돌려보내는 것이

마치 등 떠밀어 시집보내는 딸 같기라도 하여

눈시울이 붉어졌습니다.

한 학기, 한 달, 하다못해 2주만이라도, 그렇게 신청해왔으나

이곳 사정이 여의치 않아 겨우 1주 배정.

미안합니다...

하지만 사랑 넘치는 아이의 어머니 계시니...


‘여기서 외로움을 달래주는 건 장순이, 책, 축구공이었다. 평소엔 거들떠보지도 않던 것이다.

셋째 날 아침 새의 소리가 너무 좋았다.

...난생 처음 손빨래도 해보았다. 나 꽤 잘하는 듯.

... 세월은 참 빠르다. 여기 온 게 엊그제 같은데 에휴 여기서 느낀 걸 도시가서도 똑같이 하는 모범맨이 되면 좋겠다.’

아이는 갈무리글에 이렇게 쓰고 있었습니다.

‘나는 나다. 앞으로 나 자신을 부끄러워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삶은 구호에 있지 않습니다만

계기는 될 수 있지 않을지요.


“제가 ADHD이잖아요.”

아이가 예비상담에서 꺼낸 첫마디였지요, 아마.

우리가 장애진단에서 늘 우려하는 ‘낙인’...

타인으로부터 손가락질 받거나, 스스로 이미 자신의 한계를 규정짓는.

예, 아이는 그 흔한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아입니다.

의학의 발달은 우리의 병도 더욱 세분화하여,

과거 우리가 좀 별나다고 했을 뿐인 아이들이

이제는 모두 병명을 얻고 있습니다,

소아정신과는 문전정시를 이루고.

적지 않은 아이들이 정신질환을 앓게 되었을 수도 있고

진단 기술이 더 정교해진 측면도 없지 않겠지만

의학과 의료행위에 미치는 제약업계의 영향력이야말로

1980년대 이후 어린이 정신장애를 늘이고 약물치료를 급증하게 했을 것.

하버드대 소아정신과 권위자 조지프 비더먼이

소아 우울증의 경우 약물 치료가 효과적이라 주장하자

그 진단과 치료가 40배나 증가했다던가요.

그는 제약회사와 돈독했고

제약회사가 유리한 연구결과가 나오게 하겠다고 약속하고 지원을 받았던 인물입니다.

다루기(이건 또 얼마나 웃긴 표현인지) 힘든 아이들은 무차별적으로 ADHD가 됐고,

그렇게 우리 아이들은 약물치료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돌봄의 대상이 아니라.

어디 의학계만 그러할지요.

낙오자 없는 교육을 한답시고 일제고사를 실시하고,

그리하여 이 변방 면소재지 초등학교 아이들도 밤 10시까지 시험공부를 하고,

시험 출제업계는 배불뚝이가 되고...

‘거대 기업이 이윤을 창출하려고 어린 시절을 무자비하게 압박하는 사회’에서

우리 아이들을 살리는 길은 정녕 무엇일지요.

기업사회의 실상을 직시하고 시민으로서 사회를 바꾸려는 집단적인 노력!

곧 민주주의에 동참할 때만 변화가 가능함은

굳이 <기업에 포위된 아이들>의 조엘 바칸의 지적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짐작하기 어렵지 않은 일이겠습니다.

사회가 아이를 대하는 방식만큼 그 사회의 정신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것도 없다,

넬슨 만델라였던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494 122 계자 여는 날, 2007.12.30.해날. 눈 옥영경 2008-01-02 1992
6493 아흔 다섯 번째 계자, 6월 25-27일 옥영경 2004-07-04 1988
6492 12월 21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4-12-22 1986
6491 6월 15일, 야생 사슴과 우렁각시 옥영경 2004-06-20 1985
6490 2005.10.29.흙날.맑음 / 커다란 벽난로가 오고 있지요 옥영경 2005-11-01 1982
6489 6월 28일, 그럼 쉬고 옥영경 2004-07-04 1982
6488 39 계자 엿새째 1월 31일 옥영경 2004-02-01 1978
6487 10월 13일 물날 맑음, 먼저 가 있을 게 옥영경 2004-10-14 1975
6486 <대해리의 봄날> 여는 날, 2008. 5.11.해날. 맑으나 기온 낮고 바람 심함 옥영경 2008-05-23 1974
6485 2005.12.19.달날.맑음 / 우아한 곰 세 마리? 옥영경 2005-12-20 1974
6484 2011. 1.22-23.흙-해날. 맑음, 그 끝 눈 / ‘발해 1300호’ 13주기 추모제 옥영경 2011-02-02 1973
6483 2014. 7. 6.해날. 낮은 하늘 / 이니스프리로 옥영경 2014-07-16 1972
6482 2007.11.10.흙날. 썩 맑지는 않지만 / 지서한훤(只敍寒暄) 옥영경 2007-11-19 1971
6481 2008. 5.4-5. 해-달날. 비 간 뒤 맑음 / 서초 FC MB 봄나들이 옥영경 2008-05-16 1969
6480 5월 25일 불날, 복분자 옥영경 2004-05-26 1967
6479 불쑥 찾아온 두 가정 2월 19일 옥영경 2004-02-20 1965
6478 2005. 10.23.해날.맑음 / 퓨전음악 옥영경 2005-10-24 1963
6477 12월 13일 달날 맑음 옥영경 2004-12-17 1958
6476 6월 7일, 성학이의 늦은 생일잔치 옥영경 2004-06-11 1952
6475 125 계자 이튿날, 2008. 7.28.달날. 빗방울 아주 잠깐 지나다 옥영경 2008-08-03 194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