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8.20.물날. 나흘째 비

조회 수 681 추천 수 0 2014.09.20 20:40:15

 

질깁니다.

오래전부터 내려왔던 것 같은 비입니다,

너무 익숙해서.

 

열무김치를 담습니다.

올 여름 처음 담는 열무.

이렇게 한동안 쏟아지는 열무는

김치로 국수로 비빔밥으로 전으로 먹힐 것입니다.

사람 일이 어찌해도 저들은 저들끼리

그리 나고 자라고 그리고 사라질 테지요.

 

아직 길을 나서지 못했습니다.

교무실에서 계자 후속 작업들.

생태기행 나흘 일정 가운데 첫날.

내일 합류하려고.

덕분에 휴가를 떠나며 들렀던 선배도 물꼬에서 내리 묵고 계시는군요.

 

오늘 화제의 하나는 오래전의 영화 잉마르 베르히만의 <산딸기>.

여든 살 앞둔 의사 이삭 보리가 명예학위를 받으러 가는 하루 여정.

저명하지만, 사랑과 가족관계에서 불행했던 그는

그것이 자신의 무관심과 이기심 탓이었음을 깨닫습니다.

“살다가 문득 왜 사는가 싶은 거지.”

나이든 이들의 인문학 열풍도 그런 것 아닐까 싶은.

지적허영도 한 몫을 했을 수도 있겠지만.

“현실이 불행할 때 인간은 과거를 그리워하지.”

뭐 꼭 그렇지만도 않지만.

그런데, 우린 그때로 돌아갈 수가 없지요.

인간에겐 앞만 있습니다.

가는 길만 있는 거지요..

“그래서, 삶의 의미가 무엇이래?”

삶은 무엇이니이까.

영화는 말합니다.

“타자에 대한 관심 이해 용서가 바로 우리 삶이 갖는 중대한 의미 아니겠어?”

결국 사랑이겠지요.

인간의 가장 위대한 영역.

인간이 그나마 멸망하지 않고 이 지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까닭 말입니다.

사랑하고 또 사랑할 것!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3814 2014. 9.14.해날. 맑음 옥영경 2014-10-08 915
3813 2014. 9.13.흙날. 맑음 옥영경 2014-10-08 808
3812 2014. 9.12.쇠날. 맑음 옥영경 2014-10-08 893
3811 2014. 9.1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4-10-08 727
3810 2014. 9.10.물날. 맑음 옥영경 2014-10-08 869
3809 2014. 9. 7~9. 해~불날. 휘영청 둥근달 / 한가위 연휴 옥영경 2014-10-08 816
3808 2014. 9. 6.흙날. 맑음 옥영경 2014-10-08 696
3807 2014. 9. 5.쇠날. 구름 조금 옥영경 2014-10-06 679
3806 2014. 9. 4.나무날. 구름 옥영경 2014-10-06 773
3805 2014. 9. 3.물날. 흐리다 빗방울 잠깐 지나고 옥영경 2014-10-06 687
3804 2014. 9. 2.불날. 흐리다 저녁 빗방울 옥영경 2014-10-06 711
3803 2014. 9. 1.달날. 가을볕 가득 옥영경 2014-10-06 694
3802 2014. 8.31.해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14-09-20 677
3801 2014. 8.30.흙날. 밤비 옥영경 2014-09-20 720
3800 2014. 8.29.쇠날. 맑음 옥영경 2014-09-20 859
3799 2014. 8.25~28.달~나무날 / 교원연수 옥영경 2014-09-20 788
3798 2014. 8.24.해날. 맑다고 하기 조금 아쉬운 옥영경 2014-09-20 685
3797 2014. 8.22~23.쇠~흙날. 맑음 / 생태탐방 옥영경 2014-09-20 818
3796 2014. 8.21.나무날. 비 옥영경 2014-09-20 688
» 2014. 8.20.물날. 나흘째 비 옥영경 2014-09-20 68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