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10.19.해날. 맑음

조회 수 860 추천 수 0 2014.10.31 23:36:50


09:30 간송미술관 들머리.

한성대입구역에서 내려 간송까지 걸어가는 성북동 길은 고즈넉도 했던.

미술관을 걷기로 한 날입니다.

간송미술관의 가을 전시 ‘추사정화’전, 불교 중앙 박물관 ‘봉은사와 추사 김정희’전,

그리고 국립중앙박물관의 ‘조선청화 푸른빛에 물들다’로 이어질.


1971년 가을 간송이 첫 전시를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예약제로 운영한다던 올해입니다.

그리고 길게 늘어섰던 줄처럼 예약도 그리 금방 차버렸지요.

다행히 여섯의 동행이 가능했던 건 발 빠른 벗이 있어.

고맙습니다.


벗의 집에 들어서면 ‘계산무진(谿山無盡)’이 걸려 있습니다.

추사체의 완성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라지요.

파격적인 결구법이나 배치법이 최고의 완성도를 드러낸다는.

‘가운데 부분을 휑하니 비워놓은 채

계곡 물이 콸콸 용솟음치듯

서로 크기가 다른 글자 획들이 서로 어슷비슷 겨루는 기세가 대단하다.

뫼 산(山)자의 중간 삐침을 사람 인(人)자로 붙인 건 추사이기에 할 수 있는 재치다.’

탁월한 조형성은 이런 설명 아니어도 눈을 끕니다.

추사의 글씨는 발랄합니다.

언제 봐도 새롭습니다.

산에 오르고 또 올라도 또 만나는 선물들처럼

추사의 글씨가 그러합니다.


간송이 소장한 추사의 서예작품을 중심으로 그림을 곁들여 모두 44점,

추사가 30대부터 71세로 타계할 때까지 쓰고 그린 작품들이 나왔습니다.

타계 두 달 전 썼다는 예서대련

‘대팽두부과강채(大烹豆腐瓜薑菜), 고회부처아녀손(高會夫妻兒女孫)’.

‘좋은 반찬은 두부·오이·생강나물, 훌륭한 모임은 부부와 아들딸 손자’.

물꼬 삶이네 싶은.

‘침계’도 있습니다.

추사가 제자 침계 윤정현으로부터 30여 년 전에 글을 부탁받았으나

‘침’자의 예서 전형을 찾지 못해 결국 예서·해서 합체로 써주었다는.

19세기 초 해남 대흥사 설암스님이 남긴 게송이

추사의 ‘설암게’로도 남았습니다.

‘서릿발 같은 한자 글씨들 사이로 뼈대만 남은 코끼리가 뛰쳐나온다. 휙 말린 코와 세 개의 다릿발, 길쭉한 꼬리. 코끼리 모양을 본떠 변형시킨 상(象)자의 원래 모양이다. 이 아득한 옛적 글자를 정갈한 행서체 문장 속에 암호처럼 던져버렸다. 문장의 뜻이 심오하다. ‘바다 밑 진흙 소가 달을 물고 달리고 곤륜산에서 코끼리 타니 백로가 고삐를 끄는구나.’ ’

하루 종일도 놀겠는 추사체 앞이었더이다.


밥을 먹은 뒤

불교 중앙 박물관의 ‘봉은사와 추사 김정희’전은 다녀온 이도 있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수년 전 한 기업인의 후원으로 오사카 동양도자박물관을 다녀온 적이 있습니다.

거기서 눈에 익었던 것도 몇 점 건너와 있었지요.


얇지만, 강하고 백색바탕에 투명한 빛을 내는 청화백자는 최고의 기술력을 요구한다지요.

백자토를 섞고 주물러 다양한 모양새의 그릇을 만들고

코발트 안료로 표면에 그림과 무늬를 그린 뒤 1300도 이상 굽는다고.

15세기 조선 청화백자의 태동부터,

16세기 일어난 전란으로 흐름이 끊어졌지만,

18세기 영·정조대 문화중흥기에 절정을 이루고

19세기의 대량생산기와 현대까지의 흐름을 다 볼 수 있었던 자리.

하지만, 19세기 만인의 것으로 대중화했다고 강조하지만,

당시에도 청화백자는 서민들은 구할 수 없는 고급품,

게다 중국 청화백자를 왕실에서 앞장서 대량 수입도 했다는 뒤안도 있었다 들었습니다.


도자기 사이를 걸으면서

야나기 무네요시를 또 들먹이지 않을 수 없더군요,

한·중·일 동양 3국의 도자기를 비교하면서

중국은 형태미가 완벽하여 저 높이 선반에 올려놓고 보고 싶고,

일본은 색채미가 깔끔하여 옆에 놓고 사용하고 싶어지는데 ,

한국은 선이 아름다워 어루만지고 싶어지게 한다는.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그가 예술을 논하기보다 말잔치를 했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특히 조선 미술이 "슬픈 비애의 미"라는 데 절대적으로 동의할 수가 없는.

또 여전히 그의 말을 인용하는 화단도 썩 불편한.

우리 도자기를 우리 화단에서 평하는 글을 읽고 싶어졌더랍니다.


잘 다녀왔습니다.

학교에선 땅콩을 거두어 마당에 널고 있었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3874 2010.10.17.해날. 맑음 옥영경 2010-10-26 1025
3873 2012 겨울 청소년계자 닫는 날, 2012.12.23.해날. 맑음 옥영경 2012-12-28 1024
3872 2012.11.28.물날. 봄바람 같은 옥영경 2012-12-12 1024
3871 2012.10.23.불날. 갬 옥영경 2012-11-08 1024
3870 2012. 8.26.해날. 역시 쨍한 옥영경 2012-09-11 1024
3869 2012. 5.11.쇠날. 흐림 옥영경 2012-05-18 1024
3868 2010.11.20.흙날. 맑음 옥영경 2010-12-06 1024
3867 2010.10. 2.흙날. 흐리다 저녁 비 옥영경 2010-10-11 1024
3866 2010. 9.24.쇠날. 비로소 둥근달 옥영경 2010-10-05 1024
3865 138 계자에서 아이들로부터 물꼬가 받은 찬사 가운데 셋 옥영경 2010-08-09 1024
3864 2009. 4.28.불날. 맑음 옥영경 2009-05-12 1024
3863 2006.1.18.불날. 맑음 옥영경 2006-01-20 1024
3862 154 계자 닷샛날, 2013. 1.10.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3-01-17 1023
3861 2012. 5. 9.물날. 맑음 옥영경 2012-05-18 1023
3860 2011. 9.27.불날. 맑음 옥영경 2011-10-12 1023
3859 2010. 9.29.물날. 하늘 한 켠 먹구름 섞인 옥영경 2010-10-11 1023
3858 2009.12.11.쇠날. 마른 비 간간이 옥영경 2009-12-20 1023
3857 2009.10.26.달날. 맑음 옥영경 2009-11-13 1023
3856 119 계자 사흗날, 2007. 7.31.불날. 맑음 옥영경 2007-08-06 1023
3855 2012. 6. 7. 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2-06-12 102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