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1.18.해날. 밤 눈

조회 수 726 추천 수 0 2015.02.13 08:46:30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

그 많던 화장지심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계자를 하기 전 대청소를 하며 넘치는 화장지심도 죄 꺼내 아궁이로 보냈다.

왜? 다시 금세 또 모이니까.

그런데 하필 오늘 쓰겠다고 찾았다.

몇 되지 않는다.

그거라도.

방문하신 분과 마주앉아 화장지심 공예 하였네.


얼마 전 정크아트 강좌 때문에 마음이 좀 그랬다.

그래, ‘좀 그랬다’.

정크아트라고 버려진 것들이 어찌 다시 살려지는가 지혜를 얻고자 했는데,

그걸 하는데 새로 사는 재료비가 어마어마해서 기웃거리다 말았다.

내가 집에서 하고 말지.

돌아와 자료들을 좀 찾으니 작가적 기량은 어려워도

물꼬에서 아이들과 늘 하는 ‘다시쓰기’에 다름 아닌.

그 가운데 스치듯 본 화장지심 꽃이 예뻤다.

창에 달면 문살처럼 곱겠구나.


아이 태어나고 얼마 뒤 화장지심으로 모빌을 만들어 걸었다.

그 시기의 아이는 아직 색을 구별하지 못해 예쁜 모빌들이 별 소용이 없다 들었다.

하여 흑백모빌을 만든 것.

화장지에 흑백 도형을 그리고 옷걸이에다 걸어

한동안 아주 잘 썼더랬다.

그걸 보고 자란 아이가 벌써 열여덟에 이르렀네.


오늘은 심을 잘라 이어 붙어 꽃을 만들었다.

꽃잎은 네 개였다가 다섯 개였다가 열도 되었다.

벽에 걸면 장식걸이가, 창에 걸면 문살이 될.


눈 오는 밤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3914 2015. 1.29~30.나무~쇠날. 눈 날리다 옥영경 2015-02-26 736
3913 2015. 1.28.물날. 눈 흩날리는 한낮 옥영경 2015-02-25 720
3912 2015. 1.27.불날. 구름 옥영경 2015-02-25 789
3911 2015. 1.26.달날. 비 옥영경 2015-02-25 787
3910 2015. 1.25.해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5-02-24 662
3909 2015. 1.23~24.쇠~흙날. 비 부슬거리고 이튿날도 흐렸다 옥영경 2015-02-24 766
3908 2015. 1.22.나무날. 눈 몰아치다 비로 옥영경 2015-02-24 667
3907 2015. 1.20~21.불~물날. 맑고, 이튿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5-02-23 668
3906 2015. 1.19.달날. 흐리다 눈 날리는 옥영경 2015-02-13 664
» 2015. 1.18.해날. 밤 눈 옥영경 2015-02-13 726
3904 2015. 1.17.흙날. 갬 옥영경 2015-02-13 715
3903 2015. 1.16.쇠날. 저녁 비 옥영경 2015-02-13 663
3902 2015. 1.1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02-13 664
3901 2015. 1.14.물날. 흐림 옥영경 2015-02-12 1011
3900 2015. 1.13.불날. 오후 흐림 옥영경 2015-01-30 690
3899 2015. 1.12.달날. 맑음 옥영경 2015-01-30 719
3898 2015. 1.11.해날. 맑음 옥영경 2015-01-30 664
3897 2015. 1.10.흙날. 눈싸라기 마당에 아직 남은 흐린 날 옥영경 2015-01-30 704
3896 2014학년도 겨울, 159 계자(2015.1.4~9) 갈무리글 옥영경 2015-01-14 1309
3895 159 계자 닫는 날, 2015. 1. 9.쇠날. 눈싸라기 옥영경 2015-01-14 87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