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굴수행 중.

그래도 일상은 계속된다, 삶을 잇는다.

토굴을 나오지 않겠다던 날들이 학교가 토굴이고 있다.


부슬거리던 비 그치고 잠시 해 난다 했더니

이튿날 또 흐렸다. 허나 푹한. 봄날 같은. 봄 머잖은.

소사아저씨는 쉬엄쉬엄 이제 봄이요,를 연발하며

학교 뒤란 너머에서 쓰러진 나뭇가지들을 주워오고,

연탄재를 깨고, 꽃밭에서 마른 풀들을 걷어내고.


옷을 짓고 있었다, 조각천들로.

뒤판을 다 잇고, 다시 앞판 양쪽을 잇고,

그리고 솜과 안감을 대고 다시 조각 하나하나를 따라 손바느질을 했다. 오늘, 다 했다.

이제 전체를 잇고 마감하고 깃 달면 끝.

목이 뻐근하고 뒷골이 묵직해지더니 머리가 쑤시고

오른쪽 어깨가 아프고 손이 아프고 검지 손가락에 바늘귀 구멍이 몇 개 뚫리고,

그만 온몸이 다 욱신거린다.

바삐 하느라, 밤을 새고도 하느라 더했을 테다.

그야말로 온몸으로 만드는 옷이겠다.

정성이라면 이런 것도 그것이겠다.

한 팔순 노모가 저승길에 입고 가실 옷이다.


머리는 계속 자유학기제 기획서에 있었다.

이달 말 마감이다.

토굴수행이 결국 기획서를 쓰는 시간으로만 대체되는 건 아닐려나.


투명사회 피로사회 단속사회 감시사회 잉여사회,

이런 담론들이 출판계의 한 유행.

거기 한 문화평론가가 덧붙였다, 억하심정의 사회라고.

이 사회가 구성원들을 화약고처럼 억하심정(抑何心情)케 하고,

그 압력은 일상의 시비를 통해 거칠게 타인을 향해 터뜨려진다,

특정 개인을 넘어 불특정 다수에 이르기까지,

눈앞의 가족부터 자신과는 연고도 없고 상관도 없는 이들에게까지.


억하심정(抑何心情) [명사] 도대체 무슨 심정이냐라는 뜻으로,

무슨 생각으로 그러는지 알 수 없거나 마음속 깊이 맺힌 마음을 이르는 말.

비슷한 말 : 억하심사ㆍ억하심장.


기쁜 일상을 만들어내는 일 말고 무엇이 그 마음들을 풀 수 있겠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3914 2015. 1.29~30.나무~쇠날. 눈 날리다 옥영경 2015-02-26 736
3913 2015. 1.28.물날. 눈 흩날리는 한낮 옥영경 2015-02-25 721
3912 2015. 1.27.불날. 구름 옥영경 2015-02-25 789
3911 2015. 1.26.달날. 비 옥영경 2015-02-25 788
3910 2015. 1.25.해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5-02-24 662
» 2015. 1.23~24.쇠~흙날. 비 부슬거리고 이튿날도 흐렸다 옥영경 2015-02-24 766
3908 2015. 1.22.나무날. 눈 몰아치다 비로 옥영경 2015-02-24 667
3907 2015. 1.20~21.불~물날. 맑고, 이튿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5-02-23 668
3906 2015. 1.19.달날. 흐리다 눈 날리는 옥영경 2015-02-13 665
3905 2015. 1.18.해날. 밤 눈 옥영경 2015-02-13 727
3904 2015. 1.17.흙날. 갬 옥영경 2015-02-13 715
3903 2015. 1.16.쇠날. 저녁 비 옥영경 2015-02-13 663
3902 2015. 1.1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02-13 665
3901 2015. 1.14.물날. 흐림 옥영경 2015-02-12 1012
3900 2015. 1.13.불날. 오후 흐림 옥영경 2015-01-30 690
3899 2015. 1.12.달날. 맑음 옥영경 2015-01-30 719
3898 2015. 1.11.해날. 맑음 옥영경 2015-01-30 666
3897 2015. 1.10.흙날. 눈싸라기 마당에 아직 남은 흐린 날 옥영경 2015-01-30 704
3896 2014학년도 겨울, 159 계자(2015.1.4~9) 갈무리글 옥영경 2015-01-14 1309
3895 159 계자 닫는 날, 2015. 1. 9.쇠날. 눈싸라기 옥영경 2015-01-14 87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