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1.31.흙날. 흐리다 눈

조회 수 635 추천 수 0 2015.02.26 11:21:39


가다가 잊은 거라도 있었던가, 눈이 다시 내렸다.

눈을 쓸고

감나무 둘레며 평상 앞이며 패인 곳이나 미끄러운 곳에 연탄재를 깔았다.

또 그 위로 앉는 눈.


한밤 아이 하나의 전화를 받는다.

절망이 잦은 아이다. 하루에도 열두 번 뒤집어지는 마음이다.

죽을 듯이 심연에 있던 아이는 또 금세 괜찮노라 한다.

그렇다. 아이들은 근원적으로 낙천적인 존재들이다.

늘 ‘지금’에 있는. 그래야 하는.

그런데, 아이들을 현재에 있지 못하게 끊임없이 헤집는 세상이다.

소소한 기쁨이 우리 생을 채우듯

아이들을 들여다보면 특히 그러하다.

아이들은 작은 기쁨으로 어려운 상황들과 맞선다.

철이 없다고?

아니. 선험적으로 아이들은 그런 슬기를 지니고 있다.

작은 기쁨으로 큰 슬픔과 맞선다.

아이들은 바로 지금 친구들과 놀고 논다.

닥친 상황에 빠지기보다

주운 막대기를 잡고 흔들고, 흙을 파고, 못에 돌을 던지고, 아지트를 만든다.

모진 세상에 노출되어 있더라도 그리 나아간다.

아이들이 놀아야 하는 까닭이 여기 있다,

함께 사는 법을 익힌다거나 타인을 받아들이는 법을 배운다거나 다른 이유도 많지만.

놀이를 통해 아이들은 구원된다.

아이들은 놀며 스스로를 그리 구원한다.


1월이 간다. 안녕.

토굴 문을 닫는다. 온전히 들어가 있지 못했다.

그래도 그리하겠노라 알리고 났더니 여느 날들보다 수행하는 시간이 길었다.

아는 이들이 연락을 미뤄준 덕이 컸다.

선언이 때로 그래서 중요할 테지.

무엇을 얻었는가. 그건 내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보는 게 비로소 답일 것.

이제 산을 나갈 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614 똥 푸던 날, 5월 6일 옥영경 2004-05-12 2549
6613 165 계자 닷샛날, 2020. 1.16.나무날. 맑음 / ‘저 너머 누가 살길래’-마고산 옥영경 2020-01-28 2546
6612 푸른누리 다녀오다 옥영경 2004-01-29 2543
6611 서울과 대구 출장기(3월 5-8일) 옥영경 2004-03-10 2533
6610 대동개발 주식회사 옥영경 2004-01-01 2531
6609 성현미샘 옥영경 2004-01-11 2514
6608 6월 6일, 미국에서 온 열 세 살 조성학 옥영경 2004-06-07 2482
6607 경복궁 대목수 조준형샘과 그 식구들 옥영경 2003-12-26 2480
6606 김기선샘과 이의선샘 옥영경 2003-12-10 2458
6605 아이들이 들어왔습니다-38 계자 옥영경 2004-01-06 2457
6604 장미상가 정수기 옥영경 2004-01-06 2454
6603 122 계자 이튿날, 2007.12.31.달날. 또 눈 옥영경 2008-01-03 2433
6602 물꼬 사람들이 사는 집 옥영경 2003-12-20 2425
6601 새금강비료공사, 5월 11일 불날 옥영경 2004-05-12 2422
6600 장상욱님, 3월 12일 옥영경 2004-03-14 2367
6599 [바르셀로나 통신 3] 2018. 3. 2.쇠날. 흐림 / 사랑한, 사랑하는 그대에게 옥영경 2018-03-13 2345
6598 눈비산마을 가다 옥영경 2004-01-29 2340
6597 주간동아와 KBS 현장르포 제 3지대 옥영경 2004-04-13 2317
6596 새해맞이 산행기-정월 초하루, 초이틀 옥영경 2004-01-03 2299
6595 계자 열 이틀째 1월 16일 쇠날 옥영경 2004-01-17 229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