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3. 3.불날. 흐리다 눈, 눈

조회 수 657 추천 수 0 2015.03.29 13:09:27


밤, 멀리 있다.

목공현장, 지금은 먼지만 뒤집어쓰고 있지만, 을 가지고 있는 한 선배네 일터에 와 있다.

한 공간의 부엌에 놓일 식탁과 의자, 그리고 소파 앞 테이블을 위해

쌓인 조각나무들 가운데 쓸 만한 것들을 찾아 다듬기 시작했다.

이번 한 주는 목공 일을 하며 2015학년도 그림을 그릴 것이다.

직원 숙소가 있긴 하나 여기가 일터인 사람들을 불편케 해서야 될 일인가.

내일 아침에도 이들은 이른 아침부터 일을 해야 할 것이다.

그들의 일상을 살펴주어야.

해서 난로가 있는 2층 사무실에서 잠자리를 며칠 마련하려 한다.

24시간 돌아가는 CCTV 팬 소리와

이 커다란 건물을 듬성듬성 채운 사물들의 소리와

창틈으로 황소처럼 들어오는 밤을 채운 것들의 울음과

가끔 이곳을 먼저 점했을 지나간 혼령들의 발걸음이 무수히 건너온다.

어깨까지 시려 잠을 설치다 결국 일어나고 만다.

내일은 창 틈새 단도리를 좀 하고 묵어야겠다.


얼마 전 세금 이야기를 하다 아주 거품 물었다,

재원 없는 복지가 어딨냐는 말에.

요시다 다로의 <의료천국, 쿠바를 가다>.

쿠바에 대한 미국의 경제봉쇄정책은 의료에도 마찬가지였다.

서방국가의 모든 백신과 치료제, 진단제 들의 수입까지 막혔다.

어찌어찌 수입을 할 수 있었다 하더라도 아주 긴 시간을 기다려야.

경제봉쇄정책이 가져온 대표적 비극이 바로 1980년대의 뎅기열 사건.

당시 쿠바에서는 이 뎅기열로 100여명의 아이들이 사망한다.

(뎅기열이 미국의 바이오 테러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1980년대 전까지 남미 전역에서 출혈성 뎅기열이 발생 사례가 60건,

그런데 쿠바에서만 동시다발적으로 그리 발생했을 리가 없다고.)

34만 명이나 감연된 출혈성 뎅기열을 치료할 백신이 쿠바에 존재하지 않았고,

이 절체절명의 위기가 쿠바 의료복지와 생명공학의 전환점을 가져왔던 것.

불과 6주 만에 치료약인 인터페론이 만들어진다.

쿠바 생명과학의 우수성으로?

거기다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성공한 무상의료체계는 어떻게 가능하게 된 것일까?

그 비결은 바로 ‘무(無)’에 있다 했다.

풍요한 자본과 기술이 아니라 절체절명의 극빈상태, 고립무원의 두려움이었다 했다.

실험도구나 임상실험이 부족해

의사들은 자신과 자신의 아이들을 실험대상 삼아 백신을 개발해낼 정도로

그들은 절박했고 부족했다.

그러니까 복지사회란 것이 경제적 조건만으로 되는 게 아니란 걸

최빈국 하나인 쿠바의 무상의료체계가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그들은 인간의 존엄이 무엇인가를 물었던 것이다.

우리가 복지를 못하는 이유는 재원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인간에 대한 관심과 탐구, 예의가 부족해서란 말이다.

너무 많이 가져 그걸 지키기에만 급급해서였단 말이다.

혁명이 가능한 곳에서는 정작 혁명이 일어나지 않는다던가.

혁명이 가능했던 건 그것이 없었기 때문이었고, 그것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쿠바는 현재 180종 이상의 자체 백신과 치료제, 진단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모두 특허권 없이 주변국과 나누고 있다.

WHO에서 머지않아 HIV바이러스 (에이즈)백신이 등장할 것이라고 예고했는데

그 주인공은 쿠바가 될 것이라 발표한 바 있다.

쿠바는 무상의료를 위해 부족한 재원을 군비에서 가져왔다.

미국과 끝없이 군사적으로 갈등해왔던 쿠바에서 그게 쉬웠겠는가.

자, 그럼 이제 우리의 선택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614 똥 푸던 날, 5월 6일 옥영경 2004-05-12 2551
6613 165 계자 닷샛날, 2020. 1.16.나무날. 맑음 / ‘저 너머 누가 살길래’-마고산 옥영경 2020-01-28 2547
6612 푸른누리 다녀오다 옥영경 2004-01-29 2544
6611 서울과 대구 출장기(3월 5-8일) 옥영경 2004-03-10 2535
6610 대동개발 주식회사 옥영경 2004-01-01 2532
6609 성현미샘 옥영경 2004-01-11 2514
6608 6월 6일, 미국에서 온 열 세 살 조성학 옥영경 2004-06-07 2482
6607 경복궁 대목수 조준형샘과 그 식구들 옥영경 2003-12-26 2482
6606 김기선샘과 이의선샘 옥영경 2003-12-10 2459
6605 아이들이 들어왔습니다-38 계자 옥영경 2004-01-06 2458
6604 장미상가 정수기 옥영경 2004-01-06 2457
6603 122 계자 이튿날, 2007.12.31.달날. 또 눈 옥영경 2008-01-03 2434
6602 물꼬 사람들이 사는 집 옥영경 2003-12-20 2430
6601 새금강비료공사, 5월 11일 불날 옥영경 2004-05-12 2423
6600 장상욱님, 3월 12일 옥영경 2004-03-14 2368
6599 [바르셀로나 통신 3] 2018. 3. 2.쇠날. 흐림 / 사랑한, 사랑하는 그대에게 옥영경 2018-03-13 2346
6598 눈비산마을 가다 옥영경 2004-01-29 2342
6597 주간동아와 KBS 현장르포 제 3지대 옥영경 2004-04-13 2317
6596 새해맞이 산행기-정월 초하루, 초이틀 옥영경 2004-01-03 2299
6595 1대 부엌 목지영샘, 3월 12-13일 옥영경 2004-03-14 229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