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3.13.쇠날. 비

조회 수 691 추천 수 0 2015.04.16 17:03:27


비가 내렸다. 오전에도 내리고 오후에도 내렸다.

소포가 왔다. 사탕이 왔다. 아직도 그런 게 온다.

세속적인 어떤 날들은 그렇게 뜻밖의 유쾌함이 되기도 한다.

잊히지 않아 고맙다.


주말이 시작되는 저녁, 거창의 신원스님과 당신의 벗 흥덕샘이 다녀가시다.

두 해전 겨울은 눈 날리는 날 쪼개준 신원스님의 장작으로 아이들 방을 데웠다.

시래기 국밥을 냈다.

맛나한다, 고맙다.

이 산골에서 어쩌면 가장 의미 있는 일은 이런 것일지도,

멕여주고 재워주는.

식당도 가게도 없는 곳이니. 다행히 펜션은 있다만.


와서 이 봄에 사택의 떨어진 문짝이며 학교 구석구석을 같이 작업하기로 했던 벗은

목 길게 빼고 기다렸지만 한 주가 지나도록 오지 못하고 있다.

그의 마음이 어떨지 싶어 전화도 넣지 못한.

그를 기다리는 일,

물꼬 일,

오랫동안 이 산마을에서 학교를 다니지 않고 어미 일을 돕던 아이는 그랬다,

물꼬 일만 생각하면 머리가 아프다고, 그 끝없는 일에.

“그래도 공부는 하면 성과가 있는데...”

그래서 공부가 재밌단다.

뭐, 물꼬 일도 재밌다.

그래도 하나를 하면 한 거 아니더냐, 하나가 끝난 건 맞지 않더냔 말이다,

다음 일이 그 다음 일이 동시다발적이기도 하다만,

낡고 오래이어 표도 별 없다만.


지난주에 재단해둔 가구를 이제야 조립하고 있는데, 벨이 울렸다.

한참을 소식 없던 품앗이샘이다.

무슨 일들인가가 있고, 그 시간을 걸어가느라 소식 없는 거다.

다들 애쓰며 살아가고들 있는 거다.

하여 무소식이 희소식이란 말은

소식이 소식이 될 때 모든 상황이 정리되어 희소식일 수밖에 없겠고나.

고맙다. 잘 건너가주어.

여기도 안녕하다. 잘 건너가고 있다.

늘 하는 말이다만 형제고 자식이고 부모고 벗이고

아쉬운 소리만 아니 해도, 각자 잘 살아만 주어도 서로 돕는 것일지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2094 2015.12.12~13.흙~해날. 맑다 이튿날 비 옥영경 2015-12-29 707
2093 2015. 9.16.물날. 맑은 가운데 잠시 흐려지기도 옥영경 2015-10-12 707
2092 2015. 6.11.나무날. 고양이 눈물만큼의 아침 비 옥영경 2015-07-14 707
2091 2014.10.15.물날. 맑음 옥영경 2014-10-31 707
2090 2014. 4.26~27.흙~해날. 흐리기도 해나기도. 그리고 이튿날 비 옥영경 2014-05-28 707
2089 170계자 여는 날, 2022. 8. 7.해날. 살짜기 흐린 오후 옥영경 2022-08-10 706
2088 2016. 8.1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6-09-08 706
2087 2016. 6.24.쇠날. 창대비 옥영경 2016-07-16 706
2086 2016. 3.10.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6-03-29 706
2085 2015. 9. 4~7.쇠~달날. 흐리다 비 내리고 멈추고 개다 옥영경 2015-10-01 706
2084 2015. 7.18~19.흙~해날. 개다 옥영경 2015-08-02 706
2083 2013. 8.22.나무날. 오후 소나기 옥영경 2013-09-16 706
2082 2013. 3.30.흙날. 맑음 옥영경 2013-04-11 706
2081 2012.12. 9.해날. 다시 눈 옥영경 2012-12-21 706
2080 2019. 5. 4.흙날. 맑음 옥영경 2019-07-04 705
2079 2019. 4. 3.물날. 맑음 / 아비의 마음 옥영경 2019-05-07 705
2078 2017. 5.23~25.불~나무날. 첫날 밤비, 그리고 갬 옥영경 2017-06-30 705
2077 2016.12.14.물날. 흐림 옥영경 2016-12-27 705
2076 2016. 4.11.달날. 뿌연 하늘 옥영경 2016-04-19 705
2075 2015. 8.29.흙날. 맑음 옥영경 2015-09-26 70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