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6] 2015, 5월 섬모임(여섯 번째)

조회 수 1520 추천 수 0 2015.04.24 00:41:56


○ 때: 2015년 5월 16일 흙날 낮 2시~5시

         (점심을 함께 하고 싶으면 12시,

          2시에 시작이 가능하도록 1:30에 모여 도란거릴 수 있기를.)


○ 곳: 다중지성의 정원(도서출판 갈무리; 드나나나의 ‘<섬모임공지>장소와 시간’ 참고)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375-13 성지빌딩 101호 02-325-2102 (동교로 22길 29)

         지하철 2호선 합정역 2번 출구, 홍대입구역 1번 출구에서 각 도보 10분


○ 뉘: 중고생 대학일반 누구나 열 남짓(미리 연락 주십시오.)


○ 모임값: 1만원


○ 책: 수전 손택의 <타인의 고통>(이후, 2004)


○ 궁금한 게 있네: 이장 김아리(010.3319.9350)



"폭력을 당하게 되면 그 사람은 숨을 쉬는 생생한 인간에서 사물로 변형되어 버린다. 즉 인간을 하나의 개인으로서, 인류로서 구별케 해줄 수 있는 바가 잔인하게 파괴되어 버린다"

타인의 고통을 담고 있는 사진이나 영상이 계속 반복되면 사람들은 이런 광경을 바라보는 고통,

그 이미지 속의 존재들에 대해 느끼는 고통에 점점 더 무감각해집니다.

"한번 충격을 줬다가 이내 분노를 일으키게 만드는 종류의 이미지가 넘쳐날수록, 우리는 반응 능력을 잃어가게 된다. 연민이 극한에 다다르면 결국 무감각에 빠지기 마련"이기 때문입니다.

책에서 손택은 연민은 쉽사리 우리의 무능력함뿐만 아니라

우리의 무고함("우리가 저지른 일이 아니다")까지 증명해 주는 알리바이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타인의 고통에 연민을 보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말합니다.

오히려 그런 고통을 쳐다볼 수 있는 우리의 특권이 그들의 고통과 연결되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숙고해 보는 것,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이나 잔혹한 이미지를 보고 가지게 된 두려움을 극복해 우리의 무감각함을 떨쳐내는 것,

그래서 전쟁과 악랄한 정치에 둘러싸인 채 타인에게 연민만을 베풀기를 그만둔다는 것,

바로 이것이야말로 우리의 과제라고.

출판사 리뷰를 참고해, 2015년 섬모임의 첫번째 텍스트 선정 이유를 밝힙니다. (김아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후원] 논두렁에 콩 심는 사람들 [13] 관리자 2009-06-27 35521
공지 긴 글 · 1 - 책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한울림, 2019) file 물꼬 2019-10-01 18863
공지 [긴 글] 책 <모든 사람의 인생에는 저마다의 안나푸르나가 있다>(옥영경/도서출판 공명, 2020) file 물꼬 2020-06-01 16934
공지 [펌] 산 속 교사, 히말라야 산군 가장 높은 곳을 오르다 image 물꼬 2020-06-08 16420
공지 [8.12] 신간 <다시 학교를 읽다>(한울림, 2021) 물꼬 2021-07-31 16292
공지 2020학년도부터 활동한 사진은... 물꼬 2022-04-13 15979
공지 물꼬 머물기(물꼬 stay)’와 ‘집중수행’을 가릅니다 물꼬 2022-04-14 15981
공지 2022 세종도서(옛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다시 학교를 읽다>(옥영경 / 한울림, 2021) 물꼬 2022-09-30 14925
공지 [12.27] 신간 《납작하지 않은 세상, 자유롭거나 불편하거나》 (한울림, 2022) 물꼬 2022-12-30 13152
공지 2024학년도 한해살이;학사일정 (2024.3 ~ 2025.2) 물꼬 2024-02-12 5249
766 겨울계자 끝에 보내는 우편물(택배)들 물꼬 2011-01-29 2570
765 2011 여름, 새끼일꾼 선발 과정 [1] 물꼬 2011-07-24 2569
764 2월 빈들모임: ‘예비중 계자’를 ‘빈들모임’으로 대체합니다(2/24~26) 물꼬 2012-01-28 2563
763 유기농 사과즙을 내고 있습니다 물꼬 2012-09-21 2561
762 [11.20] (서울) 북토크;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 file 물꼬 2019-11-13 2530
761 {고침} [2020.1.12~17] 2019학년도 겨울 계절자유학교 (초등, 165 계자) file 물꼬 2019-11-07 2529
760 2월 어른의 학교 마감 물꼬 2020-02-11 2513
759 2005 민건협 여름캠프가 물꼬를 위해 열린다던가요... file 물꼬 2005-08-09 2493
758 2019학년도 겨울계자(초등) 신청 상황 물꼬 2019-12-26 2489
757 물꼬가 담긴 충북도청 블로그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물꼬 2010-05-05 2474
756 2011 여름을 보내고 샘들이 보내온 평가글들이... 물꼬 2011-09-07 2460
755 물꼬가 드리는 선물, 두 번째 - 풍물 나흘 특강 물꼬 2006-01-20 2418
754 [2019.11.15~2020.2.15] 겨울 90일 수행 물꼬 2019-11-01 2413
753 [8.13~19] 다른 대안학교의 계절학교에 손발 보탭니다 물꼬 2017-07-27 2413
752 잡지 '민들레', 정정·반론보도문을 내기로 하다 물꼬 2006-05-12 2413
751 2011학년도 한해살이 file 물꼬 2011-02-28 2403
750 (다시 알림) [8.4~9] 2019학년도 여름 계절자유학교 (초등, 164 계자) file 물꼬 2019-07-06 2402
749 연어의 날 움직임에 대한 몇 가지 안내 물꼬 2017-06-19 2402
748 2006 여름 계절자유학교 사진 공지 물꼬 2006-08-28 2400
747 2006 봄, 백열번째 계절 자유학교 file 물꼬 2006-04-17 239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