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4.12.해날. 흐림

조회 수 669 추천 수 0 2015.05.12 01:30:02


달골 청소를 하고 해가 훌쩍 올라서야 학교 마당에 들어섰다.

“와!”

깜짝 놀란.

모두 약속했던가, 살구나무 앞 쪽, 그리고 고래방 앞 소도에

일제히 민들레들이 일어섰더라.

“하나 둘 셋!”

그리 손 붙잡고 한꺼번에 고개 든 게다.

물꼬가 이 산마을의 폐교를 쓴지도, 96년 가을부터였으니, 20년차.

때마다 어쩜 그리 같이 피고 같이 지던가, 산과 들이,

신비로운 시간들이었네.

내일도 또 모레도 같이 잎을 닫는 꽃무리들에 입이 여전히 벌어질 터.


밥상을 물리고 잠시 산보를 하는데,

마을로 들어오는 길을 보며 길가에 쭈그려 앉으신 할아버지 계신다.

“들어오셔서 한 잔 하고 가셔요. 일요일이라 괜찮아요.”

이제는 학교 안으로 성큼 들어와 계신 분들이 없다.

착한 할아버지도, 키 큰 할아버지도, 이모할머니도, 소사댁 할머니도, ...

모두 떠나고 조중조 할아버지 홀로 남아

마을 들머리에서 그리 서성이기만 하신다.

소사아저씨도 불러다 평상에 두부파전을 냈네.


멀리 경기도 설악에서 왔던 벗들이 만들어준 평상 하나에

이제야 보호용 도료를 칠했고,

그리고, 쑥을 캤다.

쑥버무리를 하였네.

멥쌀가루가 없으면 밀가루도 괜찮다.

“더 맛있어!”

언젠가 마을 어르신 한 분이 그러셨더랬지.

해봤다.

어린 쑥이라 부드럽기도 더 했던.

소사아저씨는 밭에 거름을 뿌리고.


저녁 버스로 점주샘 나가다.

5월 어느 때 나들이도 동행키로 한다.

6월 이생진 선생님이 오실 시잔치 ‘詩원하게 젖다’에선

올해도 우리 둘이 같이 밥바라지를 하려.

한의사 벗에게 전화도 넣었다.

몸이 많이 축난 한 벗에게 약을 좀 지어주라 했다.

이 벗이 저 벗에게, 저 벗으로 이 벗이, 그리그리들 산다, 살아간다, 살아진다,

고마운 연들,

아이들이 우리를, 우리에서 아이들로, 그리그리 살듯.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574 2004학년도 학부모모임 길을 내다, 3월 13-14일 옥영경 2004-03-14 2245
6573 3월 4일 포도밭 가지치기 다음 얘기 옥영경 2004-03-09 2242
6572 지금은 마사토가 오는 중 옥영경 2004-01-06 2233
6571 6월 14일, 유선샘 난 자리에 이용주샘 들어오다 옥영경 2004-06-19 2232
6570 계자 여섯쨋날 1월 10일 옥영경 2004-01-11 2230
6569 6월 14일 주, 아이들 풍경 옥영경 2004-06-19 2229
6568 '밥 끊기'를 앞둔 공동체 식구들 옥영경 2004-02-12 2227
6567 글이 더딘 까닭 옥영경 2004-06-28 2224
6566 2017. 2.20.달날. 저녁답 비 / 홍상수와 이언 맥퀴언 옥영경 2017-02-23 2214
6565 2007.11.16.쇠날. 맑음 / 백두대간 제 9구간 옥영경 2007-11-21 2210
6564 6월 11일, 그리고 성학이 옥영경 2004-06-11 2195
6563 5월 29일, 거제도에서 온 꾸러미 옥영경 2004-05-31 2192
6562 2007. 6.21.나무날. 잔뜩 찌푸리다 저녁 굵은 비 옥영경 2007-06-28 2191
6561 6월 10일 나무날, 에어로빅과 검도 옥영경 2004-06-11 2191
6560 5월 6일, 류옥하다 외할머니 다녀가시다 옥영경 2004-05-07 2190
6559 처음 식구들만 맞은 봄학기 첫 해날, 4월 25일 옥영경 2004-05-03 2190
6558 운동장이 평평해졌어요 옥영경 2004-01-09 2190
6557 100 계자 여는 날, 1월 3일 달날 싸락눈 내릴 듯 말 듯 옥영경 2005-01-04 2189
6556 2007. 5.31.나무날. 소쩍새 우는 한여름밤! 옥영경 2007-06-15 2188
6555 2005.10.10.달날. 성치 않게 맑은/ 닷 마지기 는 농사 옥영경 2005-10-12 218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