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5.23.흙날. 맑음

조회 수 643 추천 수 0 2015.07.06 10:42:59


머잖은 곳에서 입시설명회가 있었다.

자유학기제 관련 교류가 있는 한 장학사님이 맡으신 일이다.

교육장님도 행사를 전하시기, 마침 제도학교로 간 아이도 참석해달라던 바라

행사장으로 갔다.

놀라운 것은 중학생을 둔 부모들도 꽤나 왔다는 것.

서울에서는 초등생들 부모도 몰렸더라지.

그렇구나, 입시라는 게,

그렇게 학교를 다니는 아이가 있으면 다 쏠릴 수밖에 없는 주제였고나...


벗들이 왔다, 서울에서 전주에서 광주에서.

물꼬의 논두렁이고, 모임의 선배이고, 그리고 낯선 한 분이었다.

“이게 멤버가 구성돼야 하거든, 고스톱처럼.”

월남쌈 얘기다. 올 여름은 벌써부터 잦게 준비되는 밥상이다.

저녁을 먹고 밤길들을 떠났다.

봄학기는 그렇게 들러 가는 이들도 수월하게 오간다.

바깥수업과 주말학교인 빈들모임과 계자로만 돌아가는 학년도이고 있다.

이리 오래 지내봐도 좋겠는.


쉬어가기. 영화 한 편; <방황하는 칼날>(이정호 감독)

주간 아사히에서 연재되었던 히가시노 게이고의 장편 소설이 원작.

중학생 딸을 성폭행으로 처참하게 잃고 복수의 여정에 오른 아버지와

그를 쫓는 형사 이야기.

분노도 분노지만 무력감도.

가해자가 미성년자인 데다 초범이니

수임료 높은 변호사만 고용하면 무죄까지 받아낼 수 있는 사건이란다.

‘가해자를 처벌하려던 과거의 법은

이제 가해자의 인권을 보호하는 합리적 성격으로 변모했고,

그 과정에서 피해자는 빠져버렸다.’

가해 아이들은 남의 삶을 무참하게 무너뜨린 죄의 무게조차 인지하지 못한다.

한 가해 아이가 딸의 아버지로부터 죽임을 당하자

아이 엄마는 범인을 잡아 달라 울부짖었지.

명쾌하게 선과 악을 규정하지 않고 생각해보게 해서 돋보였던 영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614 똥 푸던 날, 5월 6일 옥영경 2004-05-12 2549
6613 165 계자 닷샛날, 2020. 1.16.나무날. 맑음 / ‘저 너머 누가 살길래’-마고산 옥영경 2020-01-28 2546
6612 푸른누리 다녀오다 옥영경 2004-01-29 2544
6611 서울과 대구 출장기(3월 5-8일) 옥영경 2004-03-10 2535
6610 대동개발 주식회사 옥영경 2004-01-01 2532
6609 성현미샘 옥영경 2004-01-11 2514
6608 6월 6일, 미국에서 온 열 세 살 조성학 옥영경 2004-06-07 2482
6607 경복궁 대목수 조준형샘과 그 식구들 옥영경 2003-12-26 2482
6606 아이들이 들어왔습니다-38 계자 옥영경 2004-01-06 2458
6605 김기선샘과 이의선샘 옥영경 2003-12-10 2458
6604 장미상가 정수기 옥영경 2004-01-06 2455
6603 122 계자 이튿날, 2007.12.31.달날. 또 눈 옥영경 2008-01-03 2433
6602 물꼬 사람들이 사는 집 옥영경 2003-12-20 2429
6601 새금강비료공사, 5월 11일 불날 옥영경 2004-05-12 2423
6600 장상욱님, 3월 12일 옥영경 2004-03-14 2367
6599 [바르셀로나 통신 3] 2018. 3. 2.쇠날. 흐림 / 사랑한, 사랑하는 그대에게 옥영경 2018-03-13 2345
6598 눈비산마을 가다 옥영경 2004-01-29 2341
6597 주간동아와 KBS 현장르포 제 3지대 옥영경 2004-04-13 2317
6596 새해맞이 산행기-정월 초하루, 초이틀 옥영경 2004-01-03 2299
6595 계자 열 이틀째 1월 16일 쇠날 옥영경 2004-01-17 229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