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5.25.달날. 맑음

조회 수 669 추천 수 0 2015.07.06 10:45:53


무더웠다. 창원이 33도였다지.

햇살은 붕 떠다니다 못해

가끔 바람 한 가닥 지나가주어 대자대비를 실감케 했다.

예수님이 오셨고, 부처님이 오셨으며, 공자님이 세상에 머무셨다.

그리고 당신들 오신 날을 사람들은 기렸고,

오늘은 부처님 오신 기념일.

기락샘은 불자인 학교아저씨를 모시고 물한계곡 끝 황룡사에 들렀고,

학교아저씨는 다시 마을 아래 연남사에도 다녀왔다.


마을 한 댁의 자두밭에 있었다, 주인 부부와 손을 보태러온 한 이웃과.

햇살은 붕 떠다니다 못해 한 곳에 멈춰 오래 벌처럼 쏘기도 했고,

그 사이로 가끔 바람 한 가닥 지나가주어 대자대비를 실감케도 한 여름 한낮이었다.

자두나무가 드리운 그늘은 작은 녹야원이기도 하였네.

갠지스 강 중류의 그 동산에서 붓다는 성도한지 삼칠일 후 처음 설법을 하였다지.

바라나시에서 북동쪽으로 7㎞ 쯤 가면 있었다.

학교아저씨도 어제 엔진톱으로 잘라둔 땔나무를 창고동으로 옮겨놓고

오후에 와서 손 보태니

녹야원의 다섯 비구처럼 그리 다섯이 서로를 북돋우며 더운 날을 지나갔다.

마을에서 여러 관계들과 얽힌 일에

하소연도 하고 흉도 보고 같이 분노도 하고 격려도 하고 지지도 하고

그러다 결국 자신의 삶 자리를 돌아보게 된,

녹야원이 거기 있었다, 붓다가 거기 와 있었다.

모든 자리가 붓다의 그늘이고 모든 길이 붓다와 동행하는 길, 모든 순간이 붓다의 설법.


정수기가 또 문제를 일으킨다.

바꿔주어야 할까보다.

그런데, 정말 우리에게 정수기가 필요한가 다시 묻는.

한 때는 가장 최선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시간 속에 또 그렇지 않기도 하는.

물꼬는 늘 지점마다 정말로 그러한가를 다시 묻는다.

모든 것은 변한다는 것을 늘 전제하는.

여름 날 보리차를 끓여먹이던 방식을 다시 고려해본다.

고민하고 공부하고 결론짓기.

혹시 그대는 안(案)이 있으신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934 2015. 3.12.나무날. 오후, 비는 그었으나 아직 흐린 옥영경 2015-04-16 679
1933 2월 빈들 닫는 날, 2015. 3. 1.해날. 싸락눈 옥영경 2015-03-20 679
1932 2014 여름 청계 닫는 날, 2014. 8.17.해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4-09-08 679
1931 2014. 5.30.쇠날. 맑음 옥영경 2014-06-13 679
1930 2013.10. 2.물날. 흩뿌리던 비 개고 옥영경 2013-10-25 679
1929 164 계자 닫는날, 2019. 8. 9.쇠날. 맑음 / 빛나는 기억이 우리를 밀고 간다 옥영경 2019-09-11 678
1928 2월 빈들 여는 날, 2015. 2.27.쇠날. 맑음 옥영경 2015-03-20 678
1927 2014.10. 9.나무날. 볕 좋은 옥영경 2014-10-28 678
1926 2014.10. 4.흙날. 가끔 구름 옥영경 2014-10-28 678
1925 2013.12.12.나무날. 갰다가 다시 흐리며 눈비 옥영경 2013-12-27 678
1924 2013. 6.11.불날. 오후 비 옥영경 2013-06-25 678
1923 2020. 3.28.흙날. 삐죽 볕이 나기도 옥영경 2020-05-06 677
1922 2019. 5. 4.흙날. 맑음 옥영경 2019-07-04 677
1921 2016. 6.20.달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6-07-16 677
1920 2016. 2.23.불날. 맑음 옥영경 2016-03-16 677
1919 2015.12. 7.달날. 흐림 옥영경 2015-12-24 677
1918 2015.10. 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11-01 677
1917 2014.12.29.달날. 흐림 옥영경 2015-01-06 677
1916 2014.10.16.~17.나무~쇠날. 썩 내키지 않는 걸음처럼 맑다고 하기는 그런 옥영경 2014-10-31 677
1915 2014.10. 3.쇠날. 바람 많은 옥영경 2014-10-28 67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