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6. 6.흙날. 맑음

조회 수 665 추천 수 0 2015.07.08 10:43:57


이생진 선생님 문자를 보고서야 현충일인 줄 알았네.

국기를 꽂고 묵념하셨다고, 살아남은 것이 고마워서.

그 커다란 아파트에 당신 댁만 태극기 날리더라는.

당신 문자를 보며 당신 사신 여든 일곱 해를 생각했다.

1929년생.

(작년 시 잔치 주제가 나이라고 할 수도 있겄다.

나이를 밝히는 건 그가 산 세월에 있었던 역사성을 살피는 것도 되더라는.)

모진 세월을 사셨더랬다.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제주 4.3과 여순반란, 4.19와 5.16, 긴급조치, 80년 광주, ....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가슴이 눌렀던 시간이었으려나...


으음, 이래서야, 이래서야 어찌 농사일을 할까.

그래서 매(‘한 번에 호되게’, 뭐 그런 뜻이겠다)하면 안 된다는 게 농사일인데,

아무래도 매한 거다.

이틀 하고 오늘 녹초가.

종일 까부룩까부룩 잠이 건드렸다.


메르스로 나라가 뒤숭숭.

경기는 얼어붙었다 하고.

여행을 떠나는 제자들의 문의.

가도 되는 걸까 하는.

난 들 어디 아나.

덕분에 여기저기 상황을 물어보며 메르스에 대해 알아보는.

멀리 나가 사는 이들한테도 그 덕에 안부도 묻고 정보도 얻어보는.


달골은 번번이 자정이 넘기 일쑤인 물주기였다.

하루를 접으며 달골 오르는 시간이 어째 그랬다.

오늘은 해질녘에 물을 주었네.

블루베리도 손질했다.

와글와글 매달렸던 꽃들,

반가워라만 하고 얼마나 힘이 들지는 생각도 않은.

이런 무심함이라니. 아, 내가 그렇고나.

한 나무에 하나 혹은 둘, 아니면 아예 다 따내기도.

그래도 한 나무에 하나쯤은 열매 꼭 보고 싶은데,

그것마저 따주어야 하는 걸까...

“다 따!”

장순샘의 조언이었다.

음... 좀 더 버텨보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614 7월 8일, 요구르트 아줌마 옥영경 2004-07-19 2567
6613 165 계자 닷샛날, 2020. 1.16.나무날. 맑음 / ‘저 너머 누가 살길래’-마고산 옥영경 2020-01-28 2562
6612 대동개발 주식회사 옥영경 2004-01-01 2562
6611 푸른누리 다녀오다 옥영경 2004-01-29 2558
6610 똥 푸던 날, 5월 6일 옥영경 2004-05-12 2555
6609 서울과 대구 출장기(3월 5-8일) 옥영경 2004-03-10 2552
6608 성현미샘 옥영경 2004-01-11 2534
6607 경복궁 대목수 조준형샘과 그 식구들 옥영경 2003-12-26 2509
6606 6월 6일, 미국에서 온 열 세 살 조성학 옥영경 2004-06-07 2494
6605 김기선샘과 이의선샘 옥영경 2003-12-10 2482
6604 아이들이 들어왔습니다-38 계자 옥영경 2004-01-06 2478
6603 장미상가 정수기 옥영경 2004-01-06 2478
6602 물꼬 사람들이 사는 집 옥영경 2003-12-20 2464
6601 122 계자 이튿날, 2007.12.31.달날. 또 눈 옥영경 2008-01-03 2448
6600 새금강비료공사, 5월 11일 불날 옥영경 2004-05-12 2432
6599 장상욱님, 3월 12일 옥영경 2004-03-14 2389
6598 [바르셀로나 통신 3] 2018. 3. 2.쇠날. 흐림 / 사랑한, 사랑하는 그대에게 옥영경 2018-03-13 2365
6597 눈비산마을 가다 옥영경 2004-01-29 2355
6596 주간동아와 KBS 현장르포 제 3지대 옥영경 2004-04-13 2333
6595 새해맞이 산행기-정월 초하루, 초이틀 옥영경 2004-01-03 233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