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6.22.달날. 밤 비

조회 수 646 추천 수 0 2015.07.23 16:35:24


이생진 선생님과 오랜만에 한참을 통화했다. 기뻤다.

이번 주말의 시 잔치에서 할 시강 주제에 대해 말씀하였다.

흔히 글읽기를 많이 강조하는데, 이번 당신의 말씀은 ‘글쓰기’란다!

맞다.

읽기를 강조해왔던 시간들에 쓰기는 혹여 소홀하지 않았나,

아이들의 이 닦기처럼 글쓰기도 습이 될 수 있지 않겠냐셨다.

선생님은 늘 젊은이다. 치열하게 생각하고 정리하신다.

먼 곳에서도 좀 처질 때면 선생님이 생각나는 까닭도 같은 이유일 것.


읍내 나갔다가 차 있는 곳으로 가며 서 있던 분과 인사를 하는데,

곁에 있는 이가 얼굴을 내민다.

“물꼬 선생님 아니세요?”

목소리를 듣고 알았단다.

물꼬에 와서 공연을 했던 따님의 어머니. 딸을 실으러 왔더랬다

그때라면 8년여는 되었을 텐데,

사람을 기억하는 것도 참 다양할세.

5만이 사는 영동이 좁아질 만큼 오래도 살었네.


드디어, 우르르 여름 계자 안내글들을 올렸다.

올해는 어른 계자까지 내리 여름에 있다.

자정에서야 시작, 네 시가 훌쩍.

늘 하는 일인데도 숫자가 들어가는 일은 여럿이 교정을 봐도 틀리고는 하더라.

올리고 다시 읽어야는데 내일은 역시 자정에 이르도록 움직여야 할 것이라

틈 날 때 다시 또 확인키로 하고 하루 마감.


으윽, 입안이 또 헐었다.

잠이 모자란 탓일 게다.

그거 빼고(굳이 꼽는다면) 걸릴 게 없는 날들이다. 그런걸 아마도 행복하다 라고 할 터.

아이들이 잘 살고 있고, 그것을 볼 수 있으니 더 무엇을 바라겠는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54 2012. 2.28.불날. 흐린 하늘 옥영경 2012-03-07 1211
4953 2012. 2.20.달날. 맑음 옥영경 2012-03-04 1211
4952 149 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12-01-13 1211
4951 133 계자 여는 날, 2009. 8. 9.해날. 회색구름 지나 오후 볕 옥영경 2009-08-14 1211
4950 2008. 6.15.해날. 맑음 옥영경 2008-07-06 1211
4949 2008. 3. 2.해날. 황사 옥영경 2008-03-23 1211
4948 2008. 2. 8.쇠날. 맑은데도 눈 나풀나풀 옥영경 2008-03-05 1211
4947 2007.10.12.쇠날. 쬐끔 흐리네요 옥영경 2007-10-17 1211
4946 2007. 9.19. 물날. 갬 옥영경 2007-10-05 1211
4945 2006.12.27.물날. 푹 내려간 기온 옥영경 2007-01-01 1211
4944 2006.5.4.나무날 / 잡지 '민들레', 정정·반론보도문을 내기로 하다 옥영경 2006-05-11 1211
4943 3월 20일 해날 모진 봄바람 옥영경 2005-03-21 1211
4942 2017. 1.16~20.달~쇠날. 눈 내렸고, 맑았고, 몹시 추웠다 옥영경 2017-01-26 1210
4941 2013. 2. 5.불날. 잔비 내리더니 어둠과 함께 눈 옥영경 2013-02-21 1210
4940 2011.11. 8.불날. 입동, 안개 자욱한 아침 옥영경 2011-11-17 1210
4939 135 계자 이튿날, 2010. 1. 4.달날. 눈, 눈, 눈 옥영경 2010-01-07 1210
4938 2009.10.17.흙날. 변덕 심한 하늘 / 산오름 옥영경 2009-11-04 1210
4937 2008. 2.15.쇠날. 맑음 옥영경 2008-03-07 1210
4936 2008. 2.11.달날. 흐릿 옥영경 2008-03-05 1210
4935 2008. 2. 7.나무날. 맑음 / 설 옥영경 2008-02-24 121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