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7. 3.쇠날. 맑음

조회 수 675 추천 수 0 2015.07.30 13:57:26


불볕더위, 딱 그거.

새벽부터 밭에 있었다.

6월 빈들모임에 여러 날 손을 보탠 이웃의 밭은

작은 존재들에게 밀림일 것 같은 기세의 풀들이 좋다구나 무성했다.

예취기를 돌릴 때 어린 나무가 상하지 않도록

자두나무를 중심으로 손으로 풀을 맸다.

“(고개를 절래절래 흔들며) 밭이고 집이고 길가에 있으면 안 돼.”

오며가며 다들 입에 올리신단다.

자두가 왜 이러냐, 농사가 어떻네, 풀을 왜 이리 놔뒀느냐,

그 말이 더 힘들어 몰리듯 일을 하게도 된다고.

“우리 밭 같네.”

학교 서쪽 길 아래 있는 물꼬의 밭도 늘 그러하였다.

마을 사람들의 입이 농사를 다 지었더랬다.


오후에는 숨을 좀 돌린 뒤

분갈이를 위해 창고에 있던 빈 화분들을 꺼냈다.

흙을 채우고 새끼를 친 다육들을 나눠주고.

저녁에는 대체의학모임.

‘의료주권’ 회복을 위해 해온 일들 가운데 하나라지만

산골에서 아이들이 드나들 때 무엇보다 요긴한 일이라

오랫동안 해오던 공부 가운데 하나.


가까운 곳의 한 지자체에서 시도하던 한국형 엘 시스테마 프로젝트가

결국 흐지부지 끝나버렸다는 소식을 듣는다.

엘 시스테마. 한동안 ‘트라우마’라는 낱말처럼 너도 알고 나도 아는 낱말이었다.

베네수엘라의 지하차고에서 극빈층 아이들에게 음악을 가르치며 시작되었던 그 프로젝트는

LA필하모닉을 이끄는 구스타보 두다멜이 그 프로젝트의 수혜자로 알려지며

더욱 세계적인 찬사와 관심을 받았고,

한국에서도 그 시도가 있어왔다.

그런데, 가난한 삶에 대한 순수한 마음은 있었으나

우아하고 격조 있는 클래식을 가난 아이들에게 맛보게 하자던 생각은

실제 가난과 진짜 험한 삶 앞에서

음악가들과 담당자들은 뱀꼬리가 되거나 쉬 중단했다.

시혜나 베풀러 들어간 학출(대학생출신)들이

노동현장에서도 농촌현장에서도 빈민현장에서도 나가떨어졌던 광경을 목도하며

80년대를 보냈더랬다.

깊은 연민과 존중과 사랑 그리고 의지와 뜻이 필요한 일.

무섭게 오래 걸어갈 수 있어야 우리 아이들 중에도 구스타보 두다멜을 만날 수 있을 것.

그런데, 엘 시스테마는 음악을 통한 ‘사회개혁운동’이었다,

극빈층 아이들을 구제하고 그 아이들의 사회진출을 돕고

나아가 문화적 차별과 소외를 해결하여 빈부격차까지 좁혀가는.

음악을 통한 사회개혁의 일환이었던 것!

이 아이들로 구성된 교향악단 이름 ‘시몬 볼리바르’는

남미의 자유와 연대와 저항의 상징 인물.

그 시사하는 바를 되새기노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934 2006.2.21.불날. 옥영경 2006-02-27 1181
1933 2006.5.7.해날.맑음 옥영경 2006-05-11 1181
1932 2007. 4. 1.해날. 앞을 가리는 황사 옥영경 2007-04-16 1181
1931 2007. 5. 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05-21 1181
1930 2008.10.24.쇠날. 맑음 옥영경 2008-11-02 1181
1929 2009. 3.28.흙날. 풀리는 날씨 옥영경 2009-04-08 1181
1928 2007. 1.30.불날. 거친 저녁 바람 / 왜냐하면... 옥영경 2007-02-03 1182
1927 2008. 9.25.나무날. 쑥 내려간 기온 옥영경 2008-10-10 1182
1926 2008.12.24.물날. 꾸물딱거리는 하늘 옥영경 2008-12-29 1182
1925 놓쳤던 몇 가지 옥영경 2009-01-27 1183
1924 2006.1.27.쇠날. 맑음 옥영경 2006-01-31 1184
1923 2008. 6.24.불날. 볕 쨍쨍 옥영경 2008-07-11 1185
1922 2009. 4.13.달날. 새벽 살짜기 다녀간 비 옥영경 2009-04-22 1185
1921 2006.4.17.달날. 맑음 옥영경 2006-04-21 1186
1920 2012. 4.22.해날. 갬 옥영경 2012-04-30 1186
1919 2007.10. 1.달날. 먹구름 지나다 옥영경 2007-10-13 1187
1918 2008. 3. 4.불날. 흐려지는 하늘 옥영경 2008-03-23 1188
1917 2008.11.30.해날. 맑음 옥영경 2008-12-21 1188
1916 147 계자 나흗날, 2011. 8.17.물날. 빗방울 몇 옥영경 2011-09-05 1188
1915 2008. 9.28.해날. 맑음 옥영경 2008-10-10 118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