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9. 9.물날. 맑음

조회 수 664 추천 수 0 2015.10.07 02:08:50


낙엽이 떨어지기 시작한다.


병원 갔다. 대도시 큰 병원.

그저 검사를 받기 위해 간 길인데, 병원에 간다는 사실만으로

이 밥상을 또 언제 차리나, 이 구석진 때의 칫솔질은 누가 하나,

이 먼저 누가 털고 닦아내나, 겨울이 오는데 학교살림은 어쩌나,

다시 못 올 것 같이 자꾸 마음이 바빠지는, 죽기 전 해얄 것들 같은

그런 마음들이 귀찮은 파리마냥 들러붙다.

병원이 내 삶에서 멀긴 참 멀었는 갑다, 단지 물리적인 거리만이 아니라.

사람을 보내고,

그 자리의 쓸쓸함이 구멍 큰 그물마냥 온몸 기운 다 빠져나가더니

심한 위 통증이 그 자리로 왔다.

마음이 아니라 객관적인 진단이 필요할지 모른다는 생각으로 내시경 검사를 하다.

뭐 말짱하단다.


과학적 회의주의 잡지 <SKEPTIC> 코리아판.

1992년 미국 스켑틱 협회에서 창간,

올초 바다출판사에서 한국판을 발행하기 시작했고,

지난 6월에 나온 2호의 커버스토리는 ‘무엇을 먹어야 하는가’,

먹거리에 대한 ‘아직’ 검증되지 않은 12가지 사실을 다루고 있었다.

하기야 검증되지 않았다하여 어떤 것이 ‘없다’는 것은 아닐 것이나.


1. 식습관으로 모든 병을 예방할 수 있다? 아니.

미국 암협회에서 따르면 건강식으로 예방할 수 있는 암은 모든 암의 3분의 1에 불과.

영양가 높은 음식은 건강유지에 필요하긴 하나 그것이 약은 아니다,

식이성 영양결핍증을 치료하는 경우는 제외하고는.

2. 수렵채집기의 식생활이 가장 건강하다? 아니.

구석기 시대 식생활은 여러 방식이었다고.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인간은 매우 다양한 식생활을 하면서도 잘 살 수 있단다.

3. 우리 몸은 농경시대의 식품을 소화시키지 못한다? 무슨.

새로운 지역에 오래 거주하면 처음에야 새로운 음식과 미생물로 배탈이 나는 경우도 있지만 장내 세균이 변하면서 그 지역에 적응.

4. 요리는 영양소를 파괴한다? 그럴까?

생식이 건강에 더 좋다는 증거는 없다.

요리를 통해 소화하기 힘든 먹거리도 이용하고

음식 씹는 데 드는 에너지도 덜 쓰게 되기도.

식품가공이 무조건 나쁜 건 아니다.

5. 윤리적으로 ‘옳은’ 식단이 있다?

처음에는 안전한 음식에 대한 시행착오로 얻은 지식을 기호화하는 실용적인 방법으로 식문화가 시작됐지만

차츰 결속에 대한 차이점 때문에 인간의 행동양식으로 굳어졌다고.

채식이든 할랄이든 스스로 이런 식생활을 합리적인 방식으로 채택했다고 믿을 수 있지만,

사회적 감정적 이유로 선택한 후 사후 정당화하는 것일 수도 있다.

6. 효과적인 다이어트는 따로 있다?

살을 빼는 데 특정 다이어트가 다른 다이어트보다 더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모든 다이어트는 본질적으로 열량을 더 적게 섭취하면서 견딜 수 있도록 자기 자신을 속이는 것.

식단보다 더 중요한 것은 동기부여란다!

7. 탄수화물은 다이어트의 적?

탄수화물을 많이 먹는다고 해서 과체중이 될 가능성이 큰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총섭취열량의 제한이지 주된 열량원이 무엇인가가 아니라는 사실.

8. 건강에 좋은 음식은 따로 있다?

모든 영양소를 완벽하게 공급하는 음식은 없다.

어떤 음식이 다른 음식보다 특정 영양소를 더 많이 함유하기도 하지만 슈퍼푸드superfood는 허황된 통념.

9. 유기농 식품은 건강에 이롭고 맛도 좋다?

그런 믿음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없다.

잔류농약이나 항생제 내성균에 덜 노출될 수 있지만, 그것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하기야 밝혀지지 않았다고 해서 그렇지 않다고 말할 수는 또한 없겠지만!)

10. 물은 많이 마실수록 좋다?

너무 많으면 너무 적은 것만큼이나 해롭다. 사람이 물중독으로 죽을 수도 있다고.

대부분의 사람은 갈증이 느껴질 때만 물을 마셔도 충분하며,

어떤 경로로, 커피나 수분함량이 많은 고형식에서도, 물을 섭취하는지도 중요하지 않다.

11. 식이 보충제는 반드시 필요하다?

의료적인 이유로 필요한 사람이 있지만,

일반대중이 건강관리를 위해 여분의 비타민을 복용해야 하는지는 의문.

12. 단식하면 장수한다?

단식이 특정 질병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지만,

영양결핍을 초래하며 면역체계를 위태롭게 할 수도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554 운동장이 평평해졌어요 옥영경 2004-01-09 2174
6553 2005.11.8.불날. 맑음 / 부담스럽다가 무슨 뜻이예요? 옥영경 2005-11-10 2172
6552 6월 15일, 당신의 밥상은 믿을만 한가요 옥영경 2004-06-20 2170
6551 5월 31일, 권유선샘 들어오다 옥영경 2004-06-04 2169
6550 6월 11일 쇠날, 숲에서 논에서 강당에서 옥영경 2004-06-11 2167
6549 영동 봄길 첫 날, 2월 25일 옥영경 2004-02-28 2156
6548 2011. 6. 1.물날. 비 / MBC 살맛나는세상 옥영경 2011-06-14 2152
6547 120 계자 이튿날, 2007. 8. 6.달날. 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07-08-16 2152
6546 계자 일곱쨋날 1월 11일 옥영경 2004-01-12 2152
6545 계자 열 하루째 1월 15일 나무날 옥영경 2004-01-16 2151
6544 9월 빈들모임(2019. 9.28~29) 갈무리글 옥영경 2019-10-31 2139
6543 3월 1일 나들이 옥영경 2004-03-04 2135
6542 5월 15일 부산 출장 옥영경 2004-05-21 2129
6541 옥천 이원 묘목축제, 3월 12일 옥영경 2004-03-14 2127
6540 120 계자 여는 날, 2007. 8. 5.해날. 비 추적이다 옥영경 2007-08-16 2125
6539 97 계자 둘쨋날, 8월 10일 불날 옥영경 2004-08-12 2120
6538 2009. 5. 9.흙날. 맑음 / 봄학기 산오름 옥영경 2009-05-16 2119
6537 계자 둘쨋날 1월 6일 옥영경 2004-01-07 2106
6536 2월 29일 박문남님 다녀가시다 옥영경 2004-03-04 2104
6535 2008. 2.23. 흙날. 바람 / 魚變成龍(어변성룡) 옥영경 2008-03-08 210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