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골에서 9학년까지 살던 아이가 제도학교를 갔다. 2년 전이다.


학교를 다니지 않던 아이가 어느 날 대안학교도 아닌 제도학교를 가겠다고 했다.

왜?

여태 잘 살았고, 앞으로도 꽤나 그럴 수 있을 것 같았는데, 왜?

“잘 지냈잖아!”

아니란다. 자기는 힘들었다고.

하기야 산골에서 일이야 좀 힘들었겄지. 좀 많이 시키기는 했다.

뭐 아비가 이곳에 함께 없는 삶이라

제가 남자 어른 한 몫을, 그것보다 더, 해내고 있었으니.

다른 건 몰라도 사내아이에게 친구들이 얼마나 그리웠을까, 혼자서 아무리 잘 논다 하더라도.


7학년 때이던가 물꼬에 모인 또래 아이들이

너는 엄마 잘 만나 시험 스트레스 공부 스트레스 없이 좋겠다 하니 그 아이 그랬다.

나는 사는 일에 대한 걱정으로 고달팠노라,

수도가 얼까봐, 보일러가 터질까봐, 전기가 문제가 생길까봐, 이 넓은 공간 청소하느라...

그래도 그렇지, 우린 평화로웠고, 행복했다.

가난했지만 우린 충분히 유쾌한 날들이었고 넉넉했다. 필요한 게 그리 없었으니까.

하기야 가난한 사람들이 그런 자족이라도 없었다면 불행했겠지.

다행히 우린 우리 기준으로 잘 살았다.

그런데도 이제 와서 학교는 왜?

또래 아이들이 하는 공통의 경험을 위해서라고 했다.

아니, 넘들도 잘 다니다가 오히려 안 다닐 생각을 한다는 고등학교를

저는 여태 멀쩡히 잘 있다 거길 이제야 간다니.

대학을 가려면 그게 쉽겠단다.

아니, 대학까지?

심지어 농부가 되었으면 하고 바라는 엄마의 소망도 슬쩍 있었던 걸,

대학이 뭐냐고!

공부를 꼭 대학 가서 하나.

“어머니도 다니셨잖아요. 그리고 물꼬 같은 삶을 선택하셨구요.”

대학을 다녔기에 할 수 있었던 선택은 아니었지만.

그런 부분도 있었겠지,

선택한 가난이냐 어쩔 수 없는 가난이냐,

임용을 치고 합격하고 비제도로 가느냐, 불합격하고 밀려서 남느냐 그런.


아이를 제도학교에 보내지 않았다. 그렇다고 대안학교에 보낸 것도 아니다.

한 때 내가 꾸리는 대안학교에 구성원이었지만,

물꼬가 졸업과 입학이 있는 상설과정을 포기하면서 자연스레 아이는 가정학교를 시작했다.

(아주 잠깐 읍내의 한 초등 교장샘의 부탁으로 4학년 2학기에 잠시 제도학교를 다닌 적은 있다.

 하지만 한 달을 다니고 안 가고 싶다 했다.

 뭘 한다 했으면 한 학기는 다녀봐야지 했더니- 아침에 똥도 못 누고 가고, 아직도 애국조회하고, 아침 자습이라고 문제집 베껴쓰고, ...-

 A4 여섯 장이던가 자기가 학교에 다니지 않아야 할 사유서를 내밀며 어미를 설득하고 그만 두었다.)

대단한 신념이거나 특별한 대안이 있어서도 아니었다.

나는 학교에 아이를 보내는 부모들이 더 대단해보였다.

난 그럴 수 없어, 포기해서 아이랑 산골에서 살았다는 말이 옳다.

도저히 그 대열에 설 수 없어서.

산골에 사는 건 그냥 살면 되었지만

학교에 보내는 것이야말로 내게 용기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러니까 실패자였던 거다, 어떤 의미에서.

좋게 말하면, 경쟁대열에서 이길 자신 없으니 아주 다른 방식을 택했다고 볼 수도.

어쨌든 내가 가장 쉬운 길을 택했던 거다.

아이는 가끔 일 시킬라고 아무래도 울 엄마가 저를 학교 안 보낸 것 같다느니,

내 교육에도 신경 좀 써달라느니 했다.

그럴 때마다 내가 뭘 가르치냐, 나나 똑바로 살게,

나는 내 인생도 중요했던 거다.

그 앞서 내가 제대로 사는 것을 그가 보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교육이라고 생각한 것도 있다.(그렇다고 제대로 산 것도 아닌!)

고백컨대, 나는 부모의 헌신 그런 거 잘 모른다.


산골에서 우리들의 공부는 그저 삶을 사는 것이었다.

심심하고 심심하니 책은 최고의 친구였을 테고,

아이에게 꼭 해라 한 건 살아가는 행위(부모 일 도와라)에 함께하는 것이었고,

겨우 글쓰기 정도가 지속적으로 한 주문이었다.

그리하여 뭐 공부하러 굳이 학교까지 가냐 암묵적으로 거의 동의상태였던 것인데,

하기야 내일 일을 누가 알랴만.

아이의 격랑기도 한 몫.

8학년 나이부터 갈등이 시작되고 있었다. 그 잘난 사춘기 말이다.

그러더니 검정고시 준비를 몇 달 하고, 고등학교 입학시험을 치고,

학교를 갔다.

그리고, 심지어는 영어 학원도 하나 댕기기 시작했다.

아니, 학원이라니!

나도 사교육의 대열에 서다니.


어, 그런데, 이제 대학도 간다네. 이런!

이 시대 대학이 무엇이냐.

불안하니 가지, 그렇다고 불안이 덜어지는 것도 아닌.

누구 말마따나 너나없이 내 아이는 상위 몇 퍼센트가 가능하리라는 묻지마 투자를 하고

그 퍼센트는 이미 굳건하고 진입할 부류 혹은 숫자도 다 채워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인데,

그래도 불나비처럼 대학으로 대학으로 대학으로.

혹 상위에 들어간다고 따 논 당상 같은 삶이 있던가, 어디.

여전히 우리는 불안할저.

방법은 열등감 없이 살기. 오직 제 길을 갈 것, 누가 뭐라든!

그런데 이 아이 뇌과학, 그러니까 의대도 아니고 순수과학을 하러 대학을 갈 거란다,

학교에 다니는 게 그 길을 가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고

돈도 덜 든다며.


학교에 잘 가긴 했다.

공부가 가장 쉬웠어요, 그거다.

공부를 밀고 가는 힘의 근간이 바로 일을 하며 기른 게 아니겠는가 싶더란다.

그렇지, 그렇지,

일머리를 아는 건 그 일을 어떻게 해야 할 지를 가늠하는 방향성과 행동성이 되니까.

부모에 대한 자랑스러움도 커졌다.

자기가 산마을에서 그간 얼마나 훌륭한 경험들을 했는가 확인하는 과정이기도 했더란다.

물꼬가 귀하고, 훌륭하더란다.


그리고 낼모레 12학년, 그 유세 많은 고 3.

지독하게 공부를 한다. 그것도 아주 잘하고 싶어 한다.

시험을 치자면 그것에 이르기 위한 객관적인 공부의 양이란 게 있지.

터무니없이 모자라는 공부의 양은,

때론 넘들 12년 할 거 3년 하니 열심히 할 거라지만,

아이를 힘겹게 하고 있었다.

무엇보다 그런 공부를 하겠다는 아이와

뭘 그리 애를 쓰냐 말리는 엄마의 목소리가 쨍쨍한 시간들이 있었다.

그만큼만 해도 여태 학교를 다닌 것도 아닌데 대단하지 않은가.(좀 한다. 하지만, 그래봐야 시골 학교이다.)

“그렇게까지 해야 해?”

“어머니 아버지는 잘하셨잖아요.”

우리 좀 하기는 했다. 못하진 않았지. 그렇더라도 그게 공격점이 되다니.


그런데, 그 아이 한 해를 보내고 정말 이놈의 학교를 다녀야 하는가 고민하더니

다시 또 한 해를 보내고 현재 괴로워하는 중.

학교라는 제도가 이렇게 비인간적이고 심지어 비합리적이냐,

사회성을 기른다니 관계란 게 학교에서 얼마나 허망하고 허울뿐인 줄 아느냐,

교사는 직업의 하나일 뿐이라고 절망하고,

한 생을 이런 식으로 공부하며 허비해야 하는가 다시 목하 고민 중.

“언제든 그만 둬.”

선택이란 게 이거 아니면 저거지.

45%와 55%만 되어도 선택은 쉽지,

대개의 선택은 49%와 51%의 싸움.

그러면 까짓 겨우 2% 내지 근소의 차이일 때 우리는 갈등을 하는 바

어느 걸 택하든지 매일반일지라.

하든가, 말든가!

조만간 학교를 그만두었다는 소식이 들리려나.


아이에게 말했다.

한 번 뿐인 생, 네 욕망을 똑바로 보아라.

혹시 잘난 위치를 선점해서 저만 잘 먹고 저만 잘 살고 저만 잘난 체 하려는 건 아닌지.

자신에게 거짓말하지 말자, 우리.

어쨌든,

“그러므로(사유하므로) 너는 건강하고, 잘 살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4214 161 계자 닷샛날, 2016. 1. 7.나무날. 볕 좋은 오후 / 안락산으로 옥영경 2016-01-08 1049
4213 161 계자 나흗날, 2016. 1. 6.물날. 해 가끔, 소한 옥영경 2016-01-07 1072
4212 161 계자 사흗날, 2016. 1. 5.불날. 아주 가끔 해 옥영경 2016-01-06 936
4211 161 계자 이튿날, 2016. 1. 4.달날. 맑음 옥영경 2016-01-05 1125
4210 161 계자 여는 날, 2016. 1. 3.해날. 맑음 옥영경 2016-01-04 961
4209 2016. 1. 2.흙날. 맑음 / 161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6-01-04 849
4208 2016. 1. 1.쇠날. 맑음 / 革命? 위하여! 옥영경 2016-01-03 725
4207 2015.12.31.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6-01-03 701
4206 2015.12.30.물날. 밤 눈 옥영경 2016-01-03 701
4205 2015.12.29.불날. 맑음 옥영경 2016-01-03 760
4204 2015.12.28.달날. 아침 잠깐 눈발 뒤 맑음 옥영경 2016-01-03 745
4203 2015 겨울 청소년 계자(12.26~27) 갈무리글 옥영경 2015-12-31 809
4202 2015 겨울 청계 닫는 날, 2015.12.27.해날. 저 파아란 하늘 좀 보렴 옥영경 2015-12-31 747
4201 2015 겨울 청계 여는 날, 2015.12.26.흙날. 맑음 옥영경 2015-12-31 799
4200 2015.12.25.쇠날. 터질 것 같은 보름달! 옥영경 2015-12-29 731
4199 2015.12.2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12-29 692
4198 2015.12.23.물날. 비 옥영경 2015-12-29 723
4197 2015.12.21~22.달~불날. 비 옥영경 2015-12-29 726
4196 2015.12.17~20.나무~해날 / 제주 올레길 나흘 옥영경 2015-12-29 1220
4195 2015.12.15~16.불~물날. 바람 불고 이튿날 밤 눈 옥영경 2015-12-29 68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