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2.10.나무날. 비

조회 수 876 추천 수 0 2015.12.29 05:31:10


새벽부터 내리던 비.

오후 비는 거세졌다.


돌탑을 걷어낸 곳에 건너편의 단풍나무 자리를 옮기다.

그 둘레 돌을 쌓고 마무리.

삶터를 옮기는 일은 생이 흔들리는 일.

그에게 좋은 자리이기를.


종일 글과 씨름하다

시집 두 권을 곁에 두기도 했다.

젊은 시인 황인찬의 <구관조 씻기기>와 관록의 시인 신대철의 <무인도를 위하여>.

황인찬은 신대철에 많은 빚을 지고 있었다.


‘숲으로 이어지는 길이었다

그 사람이 들어갔다 나오지 않았다

옛날 일이다’


황인찬의 ‘무화과 숲’에서 신대철의 ‘칠갑산 2’를 보았다.


‘이른 아침 山 속에 들어간 사람은 영 나오질 않고 희마한 물소리, 물소리, 마을로 내려간

사람도 도중에 가을 山 속으로 들어갔는지? 소년들이 점점 평화로와지는 동안 山은 더 깊숙이

가을 속으로 들어간다. 山을 멀리 떠나 산 山사람들을 하나씩 가을 속으로 불러 들려 한번 들어가면

영영 나오고 싶지 않을 데를 찾아 미쳐 헤매게 한다’


황인찬의 ‘X’와 신대철의 ‘X’는 다른 걸 말하는 시였으나

같은 제목에서 같은 의미를 읽었다.

그렇게 맥을 이어가고,

그렇게 영향을 받고 훌륭한 시인이 태어나고.

사는 게 시이라, 시를 쓰지 않은지 오래다.

다시 시를 기웃거리고

그 바탕을 위해 책을 펼치기로 하는 날.

달래 아무것도 손에 잡히지 않는 마음결에 시가 이불이 되나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4225 2016. 1.18~22.달~쇠날. 눈과 바람과 가끔 다사로운 햇살 / 소리 공부 옥영경 2016-01-27 1004
4224 충남대 사범대 Work Camp(1.15~17) 갈무리글 옥영경 2016-01-19 888
4223 2016. 1.17.해날. 흐리다 눈 / Work Camp 닫는 날 옥영경 2016-01-19 774
4222 2016. 1.16.흙날. 맑음 / Work Camp 이튿날 옥영경 2016-01-19 786
4221 2016. 1.15.쇠날. 흐림 / Work Camp 여는 날 옥영경 2016-01-19 815
4220 2016. 1.13~14.물~나무날. 눈 내리는 저녁, 멎은 이튿날 아침 옥영경 2016-01-19 729
4219 2016. 1.11~12.달~불날. 맑음 / 야간 비행 같았던 홀로 오른 밤 산 옥영경 2016-01-15 933
4218 2016. 1.10.해날. 맑음 옥영경 2016-01-15 712
4217 2016. 1. 9.흙날. 맑음. 기온 뚝 옥영경 2016-01-15 709
4216 2015학년도 겨울, 161 계자(1.3~8) 갈무리글 옥영경 2016-01-09 1346
4215 161 계자 닫는 날, 2016. 1. 8.쇠날. 눈발 구경시켜준 이른 아침 옥영경 2016-01-09 925
4214 161 계자 닷샛날, 2016. 1. 7.나무날. 볕 좋은 오후 / 안락산으로 옥영경 2016-01-08 1049
4213 161 계자 나흗날, 2016. 1. 6.물날. 해 가끔, 소한 옥영경 2016-01-07 1073
4212 161 계자 사흗날, 2016. 1. 5.불날. 아주 가끔 해 옥영경 2016-01-06 936
4211 161 계자 이튿날, 2016. 1. 4.달날. 맑음 옥영경 2016-01-05 1125
4210 161 계자 여는 날, 2016. 1. 3.해날. 맑음 옥영경 2016-01-04 961
4209 2016. 1. 2.흙날. 맑음 / 161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16-01-04 849
4208 2016. 1. 1.쇠날. 맑음 / 革命? 위하여! 옥영경 2016-01-03 725
4207 2015.12.31.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6-01-03 702
4206 2015.12.30.물날. 밤 눈 옥영경 2016-01-03 70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