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3. 7.달날. 모래구름

조회 수 735 추천 수 0 2016.03.26 06:14:21


날 푹한.

고마운.

2016학년도 봄학기 여는 날 ‘첫걸음 禮’.

이른 아침부터 먼지를 털고 입춘첩을 다는 마음으로 문을 열다.

10시 손에 한 가지씩 들고 사람들이 들어섰고,

난로에 구운 고구마를 다식으로 차를 내고,

국수를 한 그릇씩 말아먹었다.

따숩고 유쾌했다.

오후, 학교에서는 한 농가의 파지 곶감을 다듬는 일이

(종이 아니라도 이리 말하기도. 궂은 날들에도 몸 보전한 것들)

이번 학기 첫 노동이었다.


그리고, 나흘의 지리산행.

아, 학기를 열고 닫으며 하는 여느 해 같은 산오름은 아니고

지리산 아래 몇 곳에서 판소리며 서너 가지 문화예술활동이 이어질,

같이 수행하고 밥해먹으며 가르치고 배우고 나눌.

누구네집 부엌이면 어떠리, 비어있던 아주 커다란 공간들의 쌓인 먼지를 털고.

큰살림이라 공간 넓고 그런 만큼 널린 것 많으니 어수선하기 더했다.

잠자리도 정리하고, 자리를 확보하고, 쓸고 닦고,

날마다 차를 달일 준비도 하였네.


인터넷이 안 된다, 글을 쓰고 보내려는데.

가끔 산마을의 깊은 밤에 더러 만났던 현상이라

예도 그렇겠거니 하고 접다.

아침이면 또 어찌 되리, 문제라면 해결하면 될 것이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4294 2016. 4. 9.흙날. 흐림 옥영경 2016-04-14 755
4293 2016. 4. 8.쇠날. 갬 옥영경 2016-04-14 683
4292 2016. 4. 7.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6-04-14 772
4291 2016. 4. 6.물날. 저녁부터 비 옥영경 2016-04-14 739
4290 2016. 4. 5.불날. 충충해지는 오후의 하늘 옥영경 2016-04-14 758
4289 2016. 4. 4.달날. 잔비 내리다 갠 옥영경 2016-04-14 822
4288 2016. 4. 3.해날. 비 / 달골 명상정원 굴삭기 작업 세 번째, 이튿날 옥영경 2016-04-12 807
4287 2016. 4. 2.흙날. 맑음 / 달골 명상정원 굴삭기 작업 세 번째, 첫날 옥영경 2016-04-12 762
4286 2016. 4. 1.쇠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701
4285 2016. 3.3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700
4284 2016. 3.30.물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694
4283 2016. 3.29.불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748
4282 2016. 3.28.달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708
4281 2016. 3.27.해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686
4280 2016. 3.26.흙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683
4279 2016. 3.25.쇠날. 맑음 / 크루이프를 추모함 옥영경 2016-04-08 926
4278 2016. 3.2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6-04-08 681
4277 2016. 3.23.물날. 맑음 옥영경 2016-04-08 676
4276 2016. 3.22.불날. 맑음 / 달골 명상정원 큰 굴삭기 작업 두 번째, 사흗날 옥영경 2016-04-08 812
4275 2016. 3.21.달날. 맑음 / 달골 명상정원 큰 굴삭기 작업 두 번째, 이튿날 옥영경 2016-04-07 71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