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3.12.흙날. 맑음

조회 수 874 추천 수 0 2016.03.31 05:04:04


눈발 날리던 새벽이더니

아침에도 눈 살짝 팔랑거렸다.

그래도 마늘밭에선 마늘촉이 올랐더라.

씨감자도 왔다.

봄이 정말 오는 가부다.


바깥에서 좀 움직이다 주말이라고 가마솥방 난롯가에서 바느질감을 안고 앉았는데

마을 어르신 한 분이 찾는다.

엊그제부터 들어온 전화였는데 한숨 돌리고 하자던 것이 결국 전화 다시 받고 아차.

“어디여?”

혹 출장이라고 갔냐고.

“학교요.”

“집사람이 깻잎 좀 가져가라네.”

작년에도 재작년에도 그 댁에서 소금에 절인 깻잎을 얻어다 먹었다.

“쪘댜아.”

깻잎... 그걸 키우고 하나씩 따고 정리하여 한 묶음씩 실로 묶고

소금물에 절였다 건져 찌기까지 한 과정.

산골 먹을거리가 그러하듯 시간을 들이는 일들이다.

땁박땁박 받아먹기는 수월해도 그게 어디 보통 시간들일 것인가.

이번에는 찌기까지 하셨다네.

한통을 받아다 양념해둔다.

식구들도 오가는 이들도 잘 먹는 반찬이다.

이런 그늘로 또 산마을의 날들을 이어가노니.


그런 물건들이 있다,

무슨 대단히 기계적인 것이 아니어도 그러니까 아주 간단한 것인데

꽤 쓸모를 주는, 없으면 퍽 아쉬운.

가령 등을 긁는 효자손 같은.

파리채도 그렇지.

부엌에서 뜨거운 찌개냄비를 집어 옮기는 물건이 있다.

얼마 전부터 그 집게 그만 망가져 고치거나 구해야지 하고도 못 챙기고 있었는데,

하여 행주로 양 손잡이를 잡고는 하였는데,

기숙사에서 하룻밤 들어온 아들이 멀쩡하게 고쳐주었네.

대처 갔던 자식들이 고향집에 돌아와 돌보아주던

시골 할머니 생각키던 순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4294 2016. 4. 9.흙날. 흐림 옥영경 2016-04-14 755
4293 2016. 4. 8.쇠날. 갬 옥영경 2016-04-14 681
4292 2016. 4. 7.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6-04-14 771
4291 2016. 4. 6.물날. 저녁부터 비 옥영경 2016-04-14 739
4290 2016. 4. 5.불날. 충충해지는 오후의 하늘 옥영경 2016-04-14 757
4289 2016. 4. 4.달날. 잔비 내리다 갠 옥영경 2016-04-14 821
4288 2016. 4. 3.해날. 비 / 달골 명상정원 굴삭기 작업 세 번째, 이튿날 옥영경 2016-04-12 807
4287 2016. 4. 2.흙날. 맑음 / 달골 명상정원 굴삭기 작업 세 번째, 첫날 옥영경 2016-04-12 762
4286 2016. 4. 1.쇠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701
4285 2016. 3.3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700
4284 2016. 3.30.물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694
4283 2016. 3.29.불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748
4282 2016. 3.28.달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707
4281 2016. 3.27.해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685
4280 2016. 3.26.흙날. 맑음 옥영경 2016-04-11 681
4279 2016. 3.25.쇠날. 맑음 / 크루이프를 추모함 옥영경 2016-04-08 926
4278 2016. 3.2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6-04-08 680
4277 2016. 3.23.물날. 맑음 옥영경 2016-04-08 675
4276 2016. 3.22.불날. 맑음 / 달골 명상정원 큰 굴삭기 작업 두 번째, 사흗날 옥영경 2016-04-08 812
4275 2016. 3.21.달날. 맑음 / 달골 명상정원 큰 굴삭기 작업 두 번째, 이튿날 옥영경 2016-04-07 71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