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7~19] 6월 빈들모임

조회 수 1524 추천 수 0 2016.05.23 00:36:33



6월 빈들모임
- 시인 이생진 선생님이 있는 산골 저녁답 -




올 6월 빈들모임의 하루 저녁답에도 시인 이생진 선생님께서 동행하십니다.
다섯 해째가 되는군요,
시와 노래가 우듬지 같은 초여름 저녁답이 참으로 흥건도 하겠니이다.


빈들을 채우듯 달마다 한 차례 조그맣게 모여
철마다 이 산골에서 할 수 있는 놀이와 일, 수행을 하며
물꼬가 하는 생각, 물꼬가 사는 방식을 나누는 자리,
해마다 4월 아주 크게 치러왔던 ‘학교문연날잔치’ 대신
2008년 11월 예비모임을 하고 이듬해 2월부터 해오는 빈들모임입니다.
애도 오고 어른도 오고,
홀로도 오고 아이를 업거나 걸려서도 오고,
벗과도 연인과도 함께 왔더랍니다.
‘아이들의 학교’이자 ‘어른들의 학교’!


걸음 서둘러 풀샐러드 먹을 저녁 밥상도 함께 준비하고
이른 아침 수행도 같이 하며
밭 매고 풀 벤 뒤 소금꽃이 된 몸으로 계곡에도 뛰어들면 어떨지요.


기다리겠습니다...


 
○ 때: 2016년 6월 17일 쇠날 저녁 6시부터 19일 해날 낮 12시까지

       (시인 이생진 선생님과 함께하는 ‘詩원하게 젖다’는 6월 18일 흙날 17:00~18:30)


○ 곳: 자유학교 물꼬의 학교 마당과 달골 명상정원 ‘아침뜨樂’의 아고라


○ 뉘: 관심 있는 누구나, 아이든 어른이든 서른 남짓
 
○ 봇짐: 일을 위한 옷과 편한 신발, 같이 나누고픈 이야기나 글(시),
            몇 사람이 나눠먹을 수 있는 반찬류를 비롯한 먹을거리
            (밑반찬에서부터 곡주든 생선이든 과일이든 주전부리거리든 무엇이나),
            그리고 쌀쌀한 밤을 위한 긴팔 옷, 씻을 도구.
            * 이생진 선생님의 시집을 가져와 사인을 받는 것도 좋겠습니다.
 
○ 신청: 6월 15일 물날 자정까지 이메일( mulggo2004@hanmail.net )로만 받으며
            방문 경험이 있으신 분은 전화로도 가능합니다.
 
○ 모임값: 형편대로 하시면 되겠지요. (농협 319-01-248875 자유학교 물꼬)
 
○ 교통편: 들어오는 버스는 영동역 길 건너에서 낮 11시, 4시 20분에 대해리행,
               나가는 버스는 대해리발 12시 20분입니다.
               그러므로 떠나는 기차는 영동역발 1시 20분 이후여야 될 겝니다.
              (들어오는 버스를 놓치는 경우;
               면소재지 임산까지 버스로 와서 다음은 대해리 물꼬까지 택시 1만 2천원,
               영동역-물꼬, 택시 3만 1천원)


○ 그래도 궁금한 게 있네!: mulggo2004@hanmail.net / 당일 연락 010.4596.9592
  
* 들어오는 시간은 사정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마치는 시간은 일정에 따르셔야 합니다.
* 미리 연락을 하신 경우에만 오실 수 있습니다. (느닷없이 불쑥 오기 없기요!)
* 다음 빈들모임은 10월 28일 쇠날 ~ 30일 해날에 있습니다.


-------------------------------------------


시인 이생진 선생님


Dz1UWyigmCf2AAAAAElFTkSuQmCC


《현대문학》을 통해 김현승 시인의 추천으로 등단.
평생을 섬으로 떠돌며 섬사람의 고독에서 섬에서 피고 지는 야생화의 고독까지 섬에 관한 시를 많이 썼다.                  


그의 시에서는 섬, 수평선, 등대를 바탕으로 한 '고독'이 주제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나는 시를 읽고 싶게 쓰지 않고 가고 싶게 쓰나보다. 왜냐하면 내가 가고 싶은 데를 찾아가서 시를 쓰니까, 나는 늘 가고 싶은 데를 가고 있다. 그것도 번화한 데가 아니라 조용하고 쓸쓸한 데를 찾아가고 있다.'(이생진, 시집 <먼 섬에 가고 싶다> 후기 가운데서)


1929. 2. 21(음력)(호적상 10. 1) 충남 서산에서 태어남
1949 서산 농림학교(6년) 졸업
1951∼1954 군복무
1965∼1969 국제대학 영문학과 수학
1969∼1970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언어학과 중퇴
1954∼1993 중고등학교 교사 생활
1996년<먼 섬에 가고 싶다>(1995)로 윤동주 문학상,
2002년 <혼자 사는 어머니>(2001)로 상화尙火 시인상을 수상.
2001년<그리운 바다 성산포>(1978)로 제주도 명예 도민증 받다.


시집

1955 <산토끼>

1956 <녹벽(綠壁)>

1957 <동굴화(洞窟畵)>

1958 <이발사(理髮師)>

1963 <나의 부재(不在)>

1972 <바다에 오는 이유(理由)>

1975 <자기(自己)>

1978 <그리운 바다 성산포(城山浦)>

1984 <산(山)에 오는 이유(理由)>

1987 <섬에 오는 이유>

1987 <시인의 사랑>

1988 <나를 버리고>

1990 <내 울음은 노래가 아니다>

1992 <섬마다 그리움이>

1994 <불행한 데가 닮았다>

1994 <서울 북한산>

1995 <동백꽃 피거든 홍도로 오라>

1995 <먼 섬에 가고 싶다>

1997 <일요일에 아름다운 여자>

1997 <하늘에 있는 섬>

1998 <거문도>

1999 <외로운 사람이 등대를 찾는다>

2000 <그리운 섬 우도에 가면>

2001 <혼자 사는 어머니>

2001 <개미와 베짱이>(곤충시집: ‘내 울음은 노래가 아니다’ 증보판)

2003 <그 사람 내게로 오네>

2004 <김삿갓, 시인아 바람아>

2006 <인사동>

2007 <독도로 가는 길>

2008 <반 고흐, ‘너도 미쳐라’>

2009 <서귀포 칠십리길>

2010 <우이도로 가야지>

2011 <실미도, 꿩 우는 소리>

2012 <기다림>

2012 <골뱅이 이야기>

2014 <어머니의 숨비소리> <기다림>


시선집

1999 <시인(詩人)과 갈매기>

2004 <저 별도 이 섬에 올 거다>


시화집

1997 <숲속의 사랑>(시: 이생진/사진: 김영갑)

2002 <제주, 그리고 오름>(시: 이생진/그림: 임현자)

2016 <오름에서 만난 제주> (시: 이생진/그림: 임현자)


수필집 및 편저

1962 <아름다운 천재(天才)들>

1963 <나는 나의 길로 가련다>

1997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

2000 <걸어 다니는 물고기>


공동 시집

2003 <영혼까지 독도에 산골하고>


시화전

1971 시화전


동인 활동

1971∼1985 ‘분수’ 동인(신협, 윤강로, 이봉신, 김준회, 신용대, 이생진) 활동

1986∼2006 ‘우이시’ 동인(임보, 채희문, 홍해리, 이생진) 활동


시낭송 활동

1995~2000 성산포, 아끈다랑쉬오름, 마라도, 안면도, 실미도, 만재도, 우이도 등 섬에서 시낭송

2000~2011 인사동에서 시낭송, 2014 지금도.


추천·수상

1969 ≪현대문학≫으로 등단

1996 윤동주 문학상 수상

2001 ‘그리운 바다 성산포’와의 인연으로 제주도 명예도민이 됨

2002 상화(尙火)시인상 수상

2008 도봉문학상 수상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후원] 논두렁에 콩 심는 사람들 [13] 관리자 2009-06-27 35848
공지 긴 글 · 1 - 책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한울림, 2019) file 물꼬 2019-10-01 19046
공지 [긴 글] 책 <모든 사람의 인생에는 저마다의 안나푸르나가 있다>(옥영경/도서출판 공명, 2020) file 물꼬 2020-06-01 17140
공지 [펌] 산 속 교사, 히말라야 산군 가장 높은 곳을 오르다 image 물꼬 2020-06-08 16625
공지 [8.12] 신간 <다시 학교를 읽다>(한울림, 2021) 물꼬 2021-07-31 16497
공지 2020학년도부터 활동한 사진은... 물꼬 2022-04-13 16153
공지 물꼬 머물기(물꼬 stay)’와 ‘집중수행’을 가릅니다 물꼬 2022-04-14 16173
공지 2022 세종도서(옛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선정-<다시 학교를 읽다>(옥영경 / 한울림, 2021) 물꼬 2022-09-30 15105
공지 [12.27] 신간 《납작하지 않은 세상, 자유롭거나 불편하거나》 (한울림, 2022) 물꼬 2022-12-30 13337
공지 2024학년도 한해살이;학사일정 (2024.3 ~ 2025.2) 물꼬 2024-02-12 5440
846 [3/17] 물꼬 부설 ‘큰바다(가칭)산촌유학센터’ 관련 한데모임 물꼬 2014-03-12 1373
845 [8.24~31] 베짱이 주간 (그리고 가을학기) 물꼬 2015-08-14 1374
844 160 계자 신청자 가운데 홍선미님! 물꼬 2015-07-27 1375
843 10월 빈들모임 일정 문의에 물꼬 2015-10-14 1375
842 2016 여름 계자 밥바라지 file 물꼬 2016-06-22 1376
841 157 계자 그때, kbs 1tv <6시 내고향>이... 물꼬 2014-01-15 1379
840 [7.10~] 달골 기숙사 뒤란 공사 물꼬 2015-07-12 1381
839 172계자 통신·5 – 계자 사후 통화(8월 14일 09~24시) 물꼬 2023-08-12 1381
838 여름방학 일정 예비안내 물꼬 2014-06-12 1382
837 [10.21~23] 10월 빈들모임 file 물꼬 2016-10-05 1384
836 2014 여름 계절자유학교(계자) 자원봉사 file 물꼬 2014-06-30 1389
835 부탁하셨던 주례사와 강의록 둘 '댓거리'에 올려놓았습니다 물꼬 2014-09-03 1390
834 [10/3~7] 난계국악축제에 물꼬 2013-10-07 1393
833 [8.16~17] 2014 여름 청소년 계절자유학교 file 물꼬 2014-06-30 1401
832 2023학년도 겨울계자(초등) 밥바라지 자원봉사(1.6~12, 6박7일) 물꼬 2023-11-23 1401
831 [9.15] 2014학년도 가을학기 열기 물꼬 2014-09-01 1404
830 [10.4] 중국황실다례 시연회 물꼬 2014-10-05 1404
829 2월에는 닷새의 '실타래학교'를 열려 합니다 물꼬 2014-02-01 1406
828 [11.14~15] 달골 명상정원 손보태기 물꼬 2015-10-27 1408
827 2016학년도 겨울 계자 밥바라지 file 물꼬 2016-11-04 140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