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위 장을 보고 들어왔다.

이번 명절에는 연휴 지나 주말에나 사람들이 들린다고들 한다.

설과 추석, 그렇게들 물꼬로 드는 이들이 늘 있다, 꼭 명절을 예서 쇠지 않더라도.

집안 어른들은 지난 주 뵙고 왔다.


이튿날, 한가위 연휴 첫날.

저녁상을 물린 뒤에 한가위 선물로 온 책 하나 펼쳤다.

큰 문학상을 받고 온 나라가 다 읽고 있던 책이라

외려 그 번잡한 때를 지나 읽지 싶던 책; 한강의 <채식주의자>.

아팠다.

세 편의 연작소설 그 첫 편 ‘채식주의자’.

영혜는 채식주의자가 되고자 한 게 아니라 되어버렸다.

대개 사람들은 스스로의 감정, 생각, 호불호를 자신과 동일시한다.

부처의 위대함은 이 통찰에 있었지.

인간의 진정한 행복은 이 주관적 느낌 감정과 무관하다는 걸 안 거다.

그래서 외적 어떤 성취를 향한 갈망만이 아니라 내 안에서 일어나는 갈망까지 ‘멈춘’ 것에

그의 위대함이 있다.

영혜는 ‘멈춘’ 것이다.

(그래서 영혜가 행복했느냐 하는 것은 논외다. 우문이다. 그런 것에도 ‘멈췄’으니까.

굳이 말한다면 나는 그것을 행복이라고 말한다. 불가식으로라면 열반?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부여하는 가치는 그것이 무엇이든 망상에 지나지 않으므로.

음, 이건 진즉에 유발 하라리도 말했네.)

영혜는 연작의 두 번째 편 <몽고반점>에서 그 멈춤을 보여준다.

되고자 해서 된 게 아니라는 것이 이 소설의 비범성이다.(라고 나는 생각한다.)

첫 편을 읽을 땐 채식주의자가 되는 영혜에게 관심이 당연히 기울었다.

하지만 두 편을 다 읽고 나면 영혜의 언니에게,

<나무불꽃>까지 읽고 나면 영혜의 언니가 꼭 세 번째 편의 화자라서가 아니라,

오히려 주인공이라는 생각이 든다.


'시간이 훌쩍 흐른 뒤에야 그녀는 그때(* 둘이 산에서 길을 잃었을 때 아홉 살이던 영혜가 우리 그냥 돌아가지 말자 했던)의 영혜를 이해했다. 아버지의 혼찌검은 유독 영혜를 향한 것이었다. 영호야 맞은 만큼 동네 아이들을 패주고 다니는 녀석이었으니 괴로움이 덜했을 것이고, 그녀 자신은 지친 어머니 대신 술국을 끓여주는 맏딸이었으니 아버지도 알게 모르게 그녀에게만은 조심스러워했다. 온순하나 고지식해 아버지의 비위를 맞추지 못하던 영혜는 어떤 저항도 하지 않았고, 다만 그 모든 것을 뼛속까지 받아들였을 것이다. 이제 그녀는 안다. 그때 맏딸로서 실천했던 자신의 성실함은 조숙함이 아니라 비겁함이었을 다는 것을. 다만 생존의 한 방식이었을 뿐임을'(p.191~192)


해설에서도 밑줄.

‘모두가 각자의 열정으로 나름의 고통을 겪고 있는 이 공간에서 누가 가장 고통스러운지를 묻는 것은 분명히 우문(愚問)일 것이다. 그러나 현답을 알려줄 누군가를 향해 이 우문을 그저 묻고 싶다. .....어쩌면 그녀가 가장 고통스러울지 모른다.’(p.238)


내게 성실함이 있다면 그 역시 비겁한 생존의 한 방식이지 않았을까...

좋은 영화 좋은 소설 좋은 예술품은 그것이 우리를 생각게 한다는 것이다.

전수일과 장률의 영화를 좋아하는데, 그것 역시 나를 생각하게끔 하기 때문이다.

(그 방식이 거칠긴 해도 김기덕 영화 역시)

<채식주의자>도 그래서 좋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2234 2016. 8.22.달날. 구름, 아주 가까운 마을도 소나기 내린다더만 대해리는... 옥영경 2016-09-08 817
2233 2016. 8.23~24.불~물날. 가끔 구름 지났고 맑은 / 국자 꼬랑지 옥영경 2016-09-08 791
2232 2016. 8.25.나무날. 빗방울 둘 옥영경 2016-09-18 799
2231 2016. 8.26.쇠날. 비 옥영경 2016-09-18 751
2230 2016. 8.27~28.흙~해날. 비 옥영경 2016-09-18 709
2229 2016. 8.29.달날. 맑음 옥영경 2016-09-18 846
2228 2016. 8.30.불날. 오후 빗방울, 비바람 치는 밤 옥영경 2016-09-18 808
2227 2016. 8.31.물날. 비바람 치다 갬 옥영경 2016-09-18 809
2226 2016. 9.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6-09-18 827
2225 2016. 9. 2.쇠날. 비 옥영경 2016-09-18 703
2224 2016. 9. 3.흙날. 화창! / 생태교육연수 여는 날 옥영경 2016-09-18 829
2223 2016. 9. 4.해날. 갰다 오후 마른비 / 생태교육연수 닫는 날 옥영경 2016-09-18 776
2222 생태교육지도 예비교사연수(9.3~4) 갈무리글 옥영경 2016-09-18 904
2221 2016. 9. 5.달날. 무지개 옥영경 2016-09-24 750
2220 2016. 9. 6.불날. 가끔 흐림 옥영경 2016-09-24 779
2219 2016. 9. 7~8.물~나무날. 가끔 흐리다 저녁 비내렸고 이튿날 갬 옥영경 2016-09-24 762
2218 2016. 9. 9~10.쇠~흙날. 뿌여나 맑았고 이튿날 저녁답 소나기 옥영경 2016-09-24 760
2217 2016. 9.11.해날. 비 주춤주춤 / 첫 수시 원서를 쓰다 옥영경 2016-10-04 830
2216 2016. 9.12.달날. 갬 / 무슨 놈의 대학 가는 게 그리 어렵대? 옥영경 2016-10-04 827
» 2016. 9.13~14.불~물날. 흐리다 맑음 옥영경 2016-10-04 70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