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엇의 사람들이 한가위 인사를 다녀가고,

한가위를 쇠고 학교아저씨가 돌아오고,

낮에는 광목을 정련하느라 빨고 삶고 담그고 말리고 다시 씻고 삶고 담그고

그리고 표백제를 넣어 담가두었다.


저녁답에 무범샘이 한나가 쓰던 우크렐레며 곡주며들을 안고 한가위 인사를 왔다.

창고동에서 차를 냈다.

최근 한쪽에 다실이 생긴 셈이다.

진즉부터 다기를 하나씩 갖다 놓다 다탁이 생기고,

다완이며 잔이며 차호며 차츰차츰 자리를 잡더니 드디어 차를 달였다.

그래도 아직 차시며 거름망까지는 올려다 두지 못했으나,

그렇다고 차를 못 낼까,

백차 백호은침에 청차와 보이차도 마시고, 설국차도 마셨다.

한·중·일 문화의 차이랍시고 몇 마디.

“우리는 다례(더러 다도라고도 하지만)라 하는데...”

중국에서는 다법, 일본은 다도라 말한다.

검술(劍術)만 해도 그렇다.

더러 검도라고도 하지만, 술(術)이 재주로도 읽히니 결국 예(藝)술이라.

그런데, 중국에선 검법(劍法)이라고 일컫고, 일본에선 검도(劍道)라.

붓글씨도 그러하니,

우리가 주로 서예(書藝)라 말하고 중국은 서법(書法), 일본은 (書道).

그러니까, 우리는 예절이거나 예술로 보고 중국은 쓰임으로 보고 일본은 도로 보고.

아하, 말하고 보니 정말 그런 듯.

예술을 논했기보다 말잔치에 다름 아니었다 욕하면서도

또 야나기 무네요시를 들먹이지 않을 수가 없더라.

한·중·일 동양 3국의 도자기를 비교하면서

중국은 형태미가 완벽하여 저 높이 선반에 올려놓고 보고 싶고,

일본은 색채미가 깔끔하여 옆에 놓고 사용하고 싶어지는데 ,

한국은 선이 아름다워 어루만지고 싶어지게 한댔지.

음... 중국 것은 쓰고 싶어지고,

한국 것은 만지고 싶어지고,

일본 것은 놓고 보고 싶어진다, 그런 생각이 들데, 오늘 나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474 2008. 6.30.달날. 맑음 옥영경 2008-07-21 1130
4473 8월 23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5-09-11 1130
4472 [바르셀로나 통신 13] 2018.11.18.해날. 흐림 옥영경 2018-12-20 1129
4471 2012. 2. 3.쇠날. 흐려지는 저녁, 눈 옥영경 2012-02-17 1129
4470 가을 몽당계자 갈무리글(2011.10.23) 옥영경 2011-10-31 1129
4469 9월 빈들모임 갈마무리글 옥영경 2011-10-07 1129
4468 2010 겨울, 청소년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11-01-01 1129
4467 140 계자 닷샛날, 2010. 8.12.나무날. 갬 / 산오름 옥영경 2010-08-26 1129
4466 2009. 3.10.불날. 맑음 옥영경 2009-03-28 1129
4465 2011.10.15.흙날. 어제 종일 오던 비 그치고 말짱한 하늘, 그리고 다시 밤늦게까지 또 내리는 비 옥영경 2011-10-21 1128
4464 2011.10. 5.물날. 맑음 옥영경 2011-10-16 1128
4463 5월 빈들모임 이튿날, 2011. 5.28.흙날. 맑음 옥영경 2011-06-09 1128
4462 2008.11.18.불날. 낮 잠깐 흩날리던 눈, 초저녁 펑펑 옥영경 2008-12-06 1128
4461 2008. 6. 5.나무날. 비 부슬거리는 아침 옥영경 2008-06-23 1128
4460 2008. 2.10.해날. 맑음 옥영경 2008-03-05 1128
4459 2006.11. 3.쇠날. 맑음 옥영경 2006-11-07 1128
4458 2011.11.26.흙날. 비 오다가다, 그리고 찬 기운 없는 옥영경 2011-12-05 1127
4457 2010. 5.14.쇠날. 맑음 옥영경 2010-05-30 1127
4456 2008.11.11.불날. 맑음 옥영경 2008-11-24 1127
4455 2005.9.28.물날. 가끔 다녀가는 해 옥영경 2005-09-29 112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