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2. 2.나무날. 맑음

조회 수 752 추천 수 0 2017.02.15 11:34:55


새벽 영하 12도.

아침 댓바람부터 온 아이의 전화.

“운동하고 과외가요.”

욕본다. 곧 대학 입학을 앞두고 이제 집을 떠난 아이는 그렇게 제 삶을 꾸리고 있다.

“웬?”

가르치는 것, 교육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단다.

어머니가 나를 잘 키웠구나고도 생각한다나.

“애들이 공부를 정말 안 해요...”

과외하길 참 잘했다, 엄마를 많이 생각한다는 전언이었다.

아버지가 어머니랑 왜 결혼했는지 알겠다, 요새는, 그런 덕담(?)도.

“그런데, 아이들에게 의욕을 어떻게 키워줄 수 있을까요?”

그건 일반론의 범주가 아니다. 개별적인, 너무나 개별적인.

그를 관찰하고, 알고, 이해하고, 애정해야.

“라포(rapport)형성이 중요하지 않을까 싶어.”

그래야 내 말이 그에게 설득력이 있는.


니시카와 미와 감독의 <아주 긴 변명> 시사회.

아내의 지지로 시작해 20여 년 글을 쓰며 유명작가가 된 사치오는

친구와 여행을 떠난 아내를 겨울 눈 덮인 산길에서 버스 전복 사고로 잃는다.

갑작스레 아내를 잃은 남자는

같은 사고로 역시 갑자기 아내를 잃은 트럭운전사 요이치와

엄마를 또한 잃은 요이치네 남매, 그들 가족들 삶으로 들어간다.

여러 날 일을 떠나는 요이치를 대신해 남매를 돌보며(또 하나의 새로운 가족공동체쯤)

여러 계절을 지난다.

해체된 가족들이 어떻게 재구성되는가에 개인적인 관심도 많고,

여러 영화들도 보았다, 가족이란 게 무엇인가를 묻는.

나만 관심있었던, 하지만 자존감은 바닥이었던 남자에게

새 가족 안에서의 삶은 아내가 사고를 당할 때, 혹은 자신의 삶에 긴 변명이 된 셈.

고레다 히로카즈 감독의 냄새가 짙었다.

아니나 다를까 그의 사단이었던 미와였다.

내 인생의 영화 몇에 꼽기에 주저치 않을 고레다의 <아무도 모른다>.

길로 내몰린, 그러나 그들이 어떻게 사는지 아무도 모르는, 아이들 넷의 생존기록.

담담하게 그려서 처연하게 슬펐던,

절제의 미학이라면 그런 걸 거다.

무거운 주제를 건조하게 푸는 것과 달리

이 영화는 훨씬 더 섬세한 결로 그리고 있었다.

감독이 여성과 남성이라는 차이일 수도.

직접 소설을 쓰고 그것을 영화로 만드는 이와 그렇지 않은 이의 차이일 수도.

<아주 긴->은 감독의 동명소설을 영화로 만든.

인간의 불행이고 한편 다행함은 우리가 가장 절망적인 순간에 가장 깊이 배운다는 것.

떠나고서야 소중한 줄 안다. 언제나 후회와 깨달음은 시간적으로 끝에 위치한다.

먼저 오기 어려운. 하지만, 그나마 또 다른 시작일 수 있는 게 위로인!

곁에 있을 때 잘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으리.

절필을 선언해야겠다 생각할 정도로 더는 글이 나아가지 않던 사치오는

이제 다시 글을 쓴다. 그 글의 시작은 ‘인간은 타인이다’라는 문장이었다.

결국 인간은 관계망 안에 있다는 것일 터.

타자를 통해 내가 드러나고 나를 구현하는.

미용사 아내가 죽은 뒤 한 해 동안 자라있던 머리를

아내의 동료, 장례식 날 당신은 아내를 얼마나 이해했느냐 비난하던, 에게 맡기는 사치오,

인간은 타인이다...


100자 안내: 아내의 갑작스런 죽음 앞에서도 보이는 자신의 모습만을 챙기던 철없는 작가가

같은 사고로 아내와 엄마를 잃은 가족들 속에서 자신과 혹은 타인과 화해하고 성장하는,

결코 평면적이지 않은 영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4594 2017. 3.18~19.흙~해날. 맑음 옥영경 2017-04-19 791
4593 2017. 3.16~17.나무~쇠날. 맑음 / 기억 옥영경 2017-04-19 865
4592 2017. 3.15.물날. 맑음 / 줄선 날들 줄 맞추기 옥영경 2017-04-19 788
4591 2017. 3.14.불날. 맑음 / 숲속 학교의 성자 옥영경 2017-04-19 818
4590 2017. 3.13.달날. 맑음 / "첫걸음 禮" 옥영경 2017-04-19 796
4589 무사귀환, 그리고 옥영경 2017-04-06 1752
4588 2월 22일부터 3월 12일까지 ‘물꼬에선 요새’를 쉽니다. 옥영경 2017-02-23 1151
4587 2017. 2.21.불날. 맑음 옥영경 2017-02-23 944
4586 2017. 2.20.달날. 저녁답 비 / 홍상수와 이언 맥퀴언 옥영경 2017-02-23 2230
4585 2017. 2.19.해날. 저녁답 비 옥영경 2017-02-23 1007
4584 2017. 2.16~18.나무~흙날. 밤비 내린 뒤 거친 바람 / 영월 내리 안골 옥영경 2017-02-23 839
4583 2017. 2.13~15.달~물날. 흐림, 맑음, 가끔 흐림 / 청량산과 병산서원 옥영경 2017-02-22 969
4582 2017. 2.12.해날. 맑음 옥영경 2017-02-21 761
4581 2017. 2.11 흙날. 눈싸라기 몇 날린 낮, 그리고 보름달 / 정월대보름제 옥영경 2017-02-21 880
4580 2017. 2.10.쇠날 / 부디 읽어주시라, <거짓말이다> 옥영경 2017-02-20 864
4579 2017. 2. 9.나무날. 눈발 얼마쯤 옥영경 2017-02-20 848
4578 2017. 2. 8.물날. 흐림 옥영경 2017-02-20 886
4577 2017. 2. 7.불날. 맑음 / 오랜 농담 하나 옥영경 2017-02-20 825
4576 2017. 2. 6.달날. 맑음 옥영경 2017-02-16 804
4575 2017. 2. 5.해날. 눈비 옥영경 2017-02-16 90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