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2.19.해날. 저녁답 비

조회 수 1008 추천 수 0 2017.02.23 04:32:27


스멀거려 뒤척이기 시작하면 봄이 가까웠다.

겨울이 조금 맥이 풀렸다 싶은 어느 밤 몹시 치는 천둥도

그렇게 멀리 있는 봄을 부르는 소리였다.

저녁답에 비 뿌리기 시작하더니

자정을 넘기며 천둥도 쳤다.

봄이 언 산을 가르고 깨는 소린가 싶더라.


하오엔 달골 올라 화단의 마른 가지들을 쳤고,

햇발동 안의 화분들에 목을 축였다.

‘아침뜨樂’에 다녀간 겨울자리를 둘러보기도.

눈이 녹기 시작한 땅은 퍽 질퍽거렸다.

팻말들이 기울어져있기도 하고,

룽따 휘날리는 아래 기분 좋은 파란색으로 선명하던 ‘달골 명상정원 아침뜨樂’ 현수막도

그만 뚝 끊어져 더는 못 쓰게 되었다.

아마도 그 선명함 때문이었을 게다,

부러진 발목처럼 마음이 그만 접질려지더라.

‘아가미 못’은 가득 차 얼음 얼어있었고,

‘달못’은 올 봄 공사를 기다리고 있었다.

‘옴’자 머리 부분에 심은 차나무들은

겨울을 났는가 아직 더 기다려봐 얄 듯했으며,

측백나무며 다른 나무들 역시 봄바람 불어봐야 그 처지들을 알겠는.

봄을 기다리는 건 사람만이 아닌 게다.


북한에서 100권짜리 <김일성 전집>을 모르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던 시절,

한국에서 주사파가 아니어도 그 전집을 한번쯤 읽으려 들던 그런 청년들이 있었다.

김일성이 1945년 10월 3일 평양 노동정치학교에서 한 연설이

1990년대 간행된 <김일성전집>에 전문으로 실렸다.

앞서 그 연설문을 1980년에 나온 백과사전에서 뜬금없이 등장했다.

해방 후 김일성이 처음 대중 앞에 나타난 건

45년 10월 14일 평양 공설운동장에서 열린 김일성 장군 평양시 민중대회였다.

한홍구 선생에 따르면, 1949년판 <조선중앙연감>에는 그때의 연설문이

겨우 200자 원고지 두 장 분량 정도만이 남아있는데,

어떻게 앞서의 그 연설문이 전문이 남았을 수가 있냔다.

누가 그 전문을 썼을까, 남아있지도 않은 연설문이 어디서 튀어나왔을까.

얼마나 많은 일이 이러할 것인가.

내가 분명한 근거자료로 삼았던 것들이 겨우 몇 해 전에 만들어진 허구라면?


“부담스러웠다...”

한 남자가 연인 앞에서 말했다.

그 말을 한 남자가 떠났는지, 그 말을 들은 여자가 떠났는지는 모르겠다.

무엇이 부담스러웠다는 말일까...

살기가 힘들어진 탓일까...

그것도 아니면 다만 관계가 건조해진 까닭일까.

그게 무엇이든 의무나 책임이 무거워지더란 말인 듯은 하다.

언젠가 사랑의 책임이란 게 무엇이라 생각하느냐 어떤 이가 물어온 적이 있다.

무어라 답했는지는 되짚어지지 않는다.

어렴풋이, 누구를 사랑하는 일은 결국 책임지는 것 아니겠는가 답했던 듯도.

그래서 우리는 사랑을 자주 입에 올리지만 결국 사랑을 하지 못하는 게 아니겠냐며.

혹 부담이란 결국 사랑이 예전 같지가 않을 때 생기는 마음은 아닐까...

생을 걸 수 있느냐, 스스로에 대한 이 물음이야말로

내가 그를 사랑하는가에 대한 대답 아닐지.

무엇을 주어도 아깝지 않을 때, 그때 우리 사랑한다고 할 수 있지 않을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3794 2012. 1. 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3-01-09 1008
3793 2012. 6. 8. 쇠날. 비 옥영경 2012-06-12 1008
3792 2010.12.29.물날. 눈 2011-01-03 1008
3791 2010.11.23.불날. 맑음 옥영경 2010-12-12 1008
3790 6월 빈들모임 갈무리글 옥영경 2010-07-12 1008
3789 2009.12.17.나무날. 눈발 날리는 아침 옥영경 2009-12-30 1008
3788 2009. 7. 1.물날. 다시 볕은 뜨겁다 옥영경 2009-07-10 1008
3787 2009. 5.19.불날. 맑음 옥영경 2009-06-06 1008
3786 162 계자 나흗날, 2016. 8.10.물날. 폭염이라는데 / 보글보글과 도깨비몰이, 그리고 반딧불이 옥영경 2016-08-17 1007
3785 2013. 3.10.해날. 맑음 옥영경 2013-03-25 1007
3784 예비 실타래학교 여는 날, 2013. 1.14.달날. 맑음 옥영경 2013-02-01 1007
3783 2009.10.13.불날. 꾸물거리는가 싶더니 한 밤 번개동반 쏟아지는 비 옥영경 2009-10-28 1007
3782 2009. 7.24.쇠날. 흐리다 잔 비 옥영경 2009-07-31 1007
3781 2012. 7. 8.해날. 불안한 볕이나 고마운 옥영경 2012-07-20 1006
3780 2012. 3.14.물날. 햇살 따스하나 바람 찬 / 류옥하다 옥영경 2012-04-07 1006
3779 2012. 1.21.흙날. 잔 비 옥영경 2012-01-31 1006
3778 2009. 9.22.불날. 맑음 옥영경 2009-10-06 1006
3777 2013. 1. 2.물날. 맑음 옥영경 2013-01-09 1005
3776 2012. 5.20.해날. 맑음 옥영경 2012-06-02 1005
3775 2010. 7. 2.쇠날. 굵은 비 옥영경 2010-07-14 1005
XE Login

OpenID Login